신선농산물 수출 제1의 도시로 농산물수출을 주도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진주시는 최근에 타결된 한미FTA 파고를 넘기는데 농산물 수출을 유효한 대안으로 제시하면서 지난해 신선농산물 3,127만달러 등 총4,100만 달러를 넘어섰다.
13일 시에 따르면 시의 우수한 품질과 안전성에 힘입어 큰폭의 수출실적 증가를 이뤄낸 진주시의 지난해 농임수산물 수출실적을 보면 신선농산물 3,127만달러, 가공농산물 336만달러, 임.수산물 642만달러 등 총 4,105만달러의 수출실적을 달성하였다.
신선농산물의 경우 1995년 3만불의 수출을 시작으로 2001년에 1,000만불을 달성하였으며 2011년도에는 전년도 보다 500만불이 증가한 3,100만불을 돌파하는 쾌거를 이룩하였다.
진주시의 신선농산물 수출을 주도하는 품목으로는 딸기, 파프리카, 꽈리고추, 새송이버섯, 배, 단감 등이 있으며 이 중 딸기와 파프리카는 지난해 각각 1,743만불, 960만불을 수출함으로써 진주시의 대표 품목으로서 전체 수출금액의 86.4%차지하고 있다.
1999년부터 수출을 시작한 파프리카는 전량 일본으로 수출되었으나 최근에는 호주, 캐나다등 세계 6개국으로 수출대상국이 확대되고 있으며, 딸기는 2000년 홍콩시장을 시작으로 현지 특판전을 통한 지속적인 홍보와, 맛과 향이 우수한 품종을 앞세워 수출을 추진함으로써 홍콩과 싱가포르를 비롯한 동남아 쪽으로 급속히 성장하게 되었다.
또 최근에는 두바이 특판전을 계기로 중동시장으로 딸기, 파프리카, 배등 품목의 수출확대가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농산물수출의 목표 달성을 위해 진주시는 수출농가 난방기 지원사업, 물류비 지원 등의 수출농업 경쟁력제고 사업으로 지난해 16종에 걸쳐서 총 66억원을 지원하였다. 그리고 진주시는 자체적으로 수출에 기여한 농가에 대하여 수출탑 시상을 통해 농산물 수출에 대한 자부심을 갖게 하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수출농가 해외연수를 추진하여 우리농산물과 외국 농산물을 직접 비교 체험함으로써 농업의 세계화 마인드를 유도하였다.
또한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서 지난해 10월에 일본수출상담회를 참가하여 1,100만불 , 11월에 진주국제농업박람회 수출상담회에서는 1,600만불, 중국 상해 식품박람회와 중동 두바이 농산물특판전에서는 각각 60만불과 70만불의 MOU를 체결함으로서 왕성한 시장개척활동 실적을 올린바 있다.
특히 올해는 지난해 두바이 특판전 개최에 이어 두바이 식품박람회에 참가함으로써 중동시장으로의 진출 본격화를 모색할 예정이다.
최근에는 세계적으로 농산물 잔류농약이 새로운 무역장벽으로 부각됨에 따라 진주시는 자체적으로 잔류농약검사실 운영 연간 300여점의 수출농산물에 대해 수시로 잔류농약검사를 실시하여 사전에 출하연기 등의 조치를 취함으로써 잔류농약으로 인한 수출중단 피해를 최소화 하고 있다.
최근 FTA 체결로 인한 농산물 시장개방 및 농자재 가격 인상으로 농업의 여건이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에서 농업이 살 수 있는 방안은 부가가치가 높은 수출 농산물을 개발하여 수출을 추진함으로써 국내 농산물 가격 안정화 및 수출농가의 소득증대를 꾀하는 것이 길이라고 보고 농산물수출을 위한 적극적인 시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진주시는 밝혔다.
농산물유통과(☎749-5524)
(과장 김근규, 농산물수출담당 손태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