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시 보건소는 기온상승에 따라 여름철에 많이 발생하는 수족구병이 유행할 우려가 있다고 보고 현재까지 수족구병에 대한 백신이나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아 감염예방을 위해서는 올바른 손씻기 방법을 익히고 이를 생활화하는 등 개인위생관리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고 당부하고 있다.
수족구병은 콕사키바이러스A16, 엔테로바이러스71 등의 장내바이러스에 의해 미열과 함께 손, 발, 입에 발진이 생기는 질환으로 주로 어린 아이들이 걸리며, 감염증상은 주로 미열과 함께 혀, 잇몸, 뺨의 안쪽 점막과 손, 발 등에 빨갛게 선이 둘린 쌀알 크기의 수포성 발진이 생기며 발진은 1주일 정도 지나면 호전되며 대부분 가벼운 감기증상으로 끝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엔테로 바이러스71 등의 바이러스에 감염된 경우는 드물지만 무균성뇌수막염이나 뇌염 등 신경계 합병증이 발생하여 사망할 수도 있으므로 특히 면역체계가 아직 발달되지 않은 신생아의 경우는 주의를 요한다고 밝혔다.
전파경로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의 대변이나 호흡기 분비물(침,가래 콧물)을 직접 접촉하거나 이러한 것으로 오염된 물건(물수건, 장난감등)과의 접촉을 통해 전파되며, 잠복기는 약3~7일로 발병 1주일간이 가장 전염력이 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