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사에 노출 피하고 노출된 물품은 철저히 세척해야 -
올해 최대의 황사피해가 우려된다는 예보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진주시는 봄철의 불청객인 황사로부터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황사발생 시 단계별 대처요령을 안내하고 시민들의 적극적인 실천을 당부하고 있다.
황사로 인하여 발생되는 각종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황사에 노출되지 않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며, 특히 천식환자나 노인, 영아, 호흡기질환이 있는 환자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황사가 발생할 때는 황사가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을 철저히 닫아 두고, 부득이 외출을 해야 할 경우에는 보호안경과 마스크, 긴소매 옷을 입도록 하고, 포장되지 않은 식품은 위생용기에 넣어 보관해야 한다.
또 외출 후 귀가하는 즉시 미지근한 물로 눈을 비롯하여 몸 전체를 깨끗이 씻고 양치질을 해야 하며, 실내에는 공기정화기나 가습기를 가동해 충분한 습도와 쾌적한 실내공기를 유지해야 하고, 황사에 노출된 채소나 과일 등 농산물은 충분히 세척 후 섭취하고, 식품을 제조·가공하거나 조리하기 전에 손을 깨끗이 씻고 기계·기구류 등도 깨끗이 씻은 다음 사용해야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어린이집과 유치원, 초등학교에서는 영·유아와 학생들의 실외활동을 금지하고 심할 경우 수업단축 또는 휴업 조치해야 하며, 방목장의 가축은 축사 안으로 신속히 대피시켜 황사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비닐하우스, 온실 및 축사 등의 출입문과 창문을 닫아 외부 공기와의 접촉을 가능한 적게 하고, 야적된 사료용 건초, 볏짚 등은 비닐이나 천막 등으로 완전히 덮어야 한다.
또, 황사가 지나간 뒤에는 실내 공기의 환기와 함께 집 안팎에 청소를 실시하고, 황사오염 물품 등은 깨끗이 세척 후에 사용해야 하며, 어린이집과 유치원, 학교 등에서는 실·내외 방역과 청소를 실시하고, 특히 감기·안질환자 등은 쉬게 하거나 일찍 귀가 조치해야 하며, 비닐하우스·축사 등 시설물, 방목장 사료조, 가축과 접촉되는 기구류 등은 세척 및 소독을 실시하고 가축의 질병발생 유무를 관찰하여 병든 가축 발견 시 즉시 방역당국에 신고해야 한다.
황사 발생관련 상황은 TV나 라디오의 일기예보를 청취하거나 기상청(www.kma.go.kr) 및 국립수의과학검역원 홈페이지(www.nvrgs.go.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기상청(☎02-841-0011), 국번없이 지역번호+131, 국립수의과학검역원(☎031-467-1851)에 전화문의하면 알 수 있다.
재난안전관리과(☎749-2283)
(과장 김성철 방재담당 이창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