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시 보건소에서는 최근 질병관리본부 발표와 언론에 연일 5세 미만의 영유아가 자주 걸리는 수족구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보도가 있어 재차 수족구병 예방을 위한 홍보 강화에 나섰다.
수족구병은 잠복기가 3~7일이며, 발병 1주일이 가장 전염력이 강하며 따라서 손발에 묻은 바이러스를 통해 전염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수족구병에 걸린 환자의 대변 또는 침, 가래, 수포의 진물 등과 직접 접촉하거나 이러한 것으로 오염된 물건(물수건, 장난감 등)과의 접촉을 통하여 전파된다.
현재까지 수족구병에 대한 백신이나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아 감염예방을 위해서는 올바른 손 씻기 방법을 익히고 이를 생활화하는 등 개인위생 관리에 힘써야 하므로 아이들뿐 아니라 가정에서 아이들을 돌보는 어른들의 손 씻기 실천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교육·홍보하고 있다.
수족구병은 주로 콕사키바이러스 A16 또는 엔테로바이러스 71형 등 장내 바이러스에 의해 여름과 가을철에 영․유아 등 어린아이들이 많이 걸리는 질환이며, 일년 중 특별히 유행하는 시기는 없으나 일반적으로 여름과 가을에 발병률이 높다.
수족구병에 걸리면 가벼운 미열과 함께, 혀, 잇몸, 뺨의 안쪽점막과 손, 발 등에 빨갛게 선이 둘린 쌀알 크기의 수포성 발진이 생기며 이 발진은 1주일정도 지나면 호전되며, 일부의 경우에서는 손, 발의 물집 없이 입안에만 포진이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수족구병과 경과는 동일하며 이러한 병은 포진성 구협염이라고 한다.
대부분 가벼운 증상으로 끝나지만, 엔테로바이러스 71형의 경우 드물게는 뇌수막염, 뇌염, 마비증상 등이 동반될 수 있으며 면역체계가 아직 발달되지 않은 어린영아의 경우 합병증의 발생 가능성이 더 높다.
수족구병이 의심될 때는 신속하게 전문의의 진료를 받고, 진단받았을 때는 타인에게 전염되지 않도록 유의하고 자녀들이 수족구병에 감염된 것으로 의심될 때는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학원 등에 보내지 않아야 한다.
집에서 격리 중 아이가 열이 높고 심하게 보채면서 잦은 구토를 하는 등 증상이 나빠질 때는 최대한 빨리 병원을 방문하여야 한다.
수족구병 전염은 수족구병 환자 또는 감염된 사람의 대변 또는 분비물(침, 가래, 코, 수포의 진물 등)과 직접 접촉 또는 이러한 것으로 오염된 물건(수건, 장난감, 집기 등) 등을 통하여 전파되며, 발병 1주일간이 가장 전염력이 강하고, 잠복기는 약 3~7일이다.
수족구병은 대개 손발에 묻은 바이러스를 통해 전염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병에 걸린 어린이와의 접촉을 피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주로 여름과 가을철에 영․유아 또는 어린이 보육시설, 유치원 등 어린이가 많이 모인 곳에서 급속히 확산되는 경향이 있고, 일반적으로 동일시기에 지역사회 내에서도 발생이 증가한다.
현재까지 수족구병에 대해서는 예방백신이나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아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며, 감염예방을 위해서는 올바른 손 씻기 방법을 익히고 이를 생활화하는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철저한 손 씻기는 아이들뿐만 아니라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나 학원, 그리고 가정에서 아이들의 실천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반드시 예방수칙을 준수하도록 해야 한다.
보건행정과(☎749-4933)
(과장 양균석 전염병관리담당 이충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