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시는 최근에 내린 집중호우와 고온으로 인하여 관내 벼 포장에 혹명나방, 흰잎마름병 등 병해충 발생 증가로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예방위주의 철저한 관리와 초기 방제에 힘써줄 것을 당부했다.
시에 따르면 흰잎마름병은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병으로 최근 발생면적이 증가하여 벼 재배 농가에 큰 피해를 주었고 쌀 품질을 저하시켜 고품질 쌀 생산에 막대한 지장을 준 바 있으며 병원균은 주로 농수로나 논의 물속에서 증식하고, 벼 잎이 증식된 병원균에 감염되어 병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강우가 지속된 고온 다습한 기상조건에서 병의 확산이 빠르고 발병 후에는 방제가 어려운 병으로 발생되기 전에 세심한 관찰과 예방이 필요하며 발병 상습지 혹은 발병 시에는 약제방제를 신속히 실시하여야 하며 약제 살포 시에는 논이나 농수로의 물 보다는 병원균에 오염되지 않은 지하수나 깨끗한 물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고압분무기를 이용할 때에는 잎에 상처를 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고, 특히 아침 이슬이나 강우 후 잎의 물기가 마른 다음에 방제작업을 실시하여 2차 감염을 방지하여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혹명나방은 중국 남부지역에서 장마전선을 타고 날아와 벼가 자라는 논에 정착한 후 2~3세대를 거치면서 7월 하순부터 9월 하순까지 피해를 주며 벼 출수 전보다 출수 후에 더 큰 피해를 주므로 지금부터 철저한 예찰과 방제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한편 한태영 기술보급과장은 벼 생육시기에 따라 피해 정도가 다르고, 등숙기 전에 피해를 입으면 수량 감소율이 가장 크다면서 특히 어린벌레 때 방제를 못하면 방제가 어려우니 피해 잎이 1~2잎 보일 때 적용 약제로 바로 방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효율적인 병해충 방제가 될 수 있도록 농가 재배현장 지도 및 홍보를 강화하고, 지속적인 예찰활동과 병해충 정보를 제공하여 피해가 최소화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