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번역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동 번역중입니다. 번역이 정확하지 않을 경우가 있습니다.
It is under automatic translation using Google translation system. The result may not be accurate.


진주톡포유
참진주 Today 여닫기 창의도시 진주 TOP
참진주 Today
현재 시각 AM 04:46 2025/05/02 Fri

  • 본 란은 진주의 발전을 바라는 네티즌 여러분이 시장에게 꼭 하고 싶은 말씀이나 시정에 대한 제안, 개선사항, 비전등을 제시하는 코너입니다.
  • 단순진정, 질의, 민원처리를 원하시면 민원상담(신문고)를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욕설, 비방, 개인사생활,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상업적 성격의 민원 글은 진주시 인터넷 시스템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제6조에 따라 예고없이 삭제됩니다.
  • 특히,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70조(벌칙)에 따르면
    • 사람을 비방할 목적으로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공공연하게 사실을 드러내어 다른 사람의 명예를 훼손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 사람을 비방할 목적으로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공공연하게 거짓의 사실을 드러내어 다른 사람의 명예를 훼손한 자는 7년 이하의 징역, 10년 이하의 자격정지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라고 규정하고 있사오니 진주시 홈페이지가 시정에 대한 건전한 비판과 제도개선의 공간이 될 수 있도록 이용자 여러분의 많은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민원사무처리에 관한 법률 및 관련 법령에 따라 게시일로부터 7일(공휴일, 토요일 제외, 법령해석·시책·제도개선사항 14일)이내에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현재 작성하신 글을 확인하실려면 현재 게시물 보기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민족가수 남인수 선생 문화행사 계속 이어주시길...

번호
22145
작성일
2005-09-11 04:13:46
작성자
전○○
조회수 :
954
남인수 선생님은 진주만의 자랑이 아닙니다
우리 민족 전체의 자랑입니다
목포가 이난영 여사의 진실을 알고 그를 결사적으로 지켜주었듯이
남인수 선생의 고향인 진주에서 그의 민족적인 애환을 달래준 공로로
남인수 문화행사 및 생가 문화재 유산 등록되었음을 알아주시고
일부 시대적인 상황을 잘모르고 무슨 애국자인양 소영웅심리에
빠진 사람들에 현혹되어 남인수 문화행사를 철폐하는 어리석음을 범하지 말아주세요
수많은 민중들이 예의 주시하고 있으며 반대여론이 지배적으로 강한
만큼 여론을 우습게 보지 마세요

지켜 보겠습니다


남인수(南仁樹, 1918~1962) 대중 가수. 한국(韓國) 가요사상(歌謠史上) 제1세대 가수. 세칭(世稱) '가요 황제(歌謠皇帝)'. 경남 진주(晉州) 출생. 아명(兒名)은 최창수(崔昌洙)로서, 최씨 집안에서 태어났으나, 갖은 우여곡절(迂餘曲折)이 있어 강씨 문중(姜氏門中)에 양자(養子)로 입적(入籍)하면서 '강문수(姜文秀)'로 등재(登載)된다. 어려운 가정 형편 속에서 불우(不遇)한 유년 시절을 보내고 진주 제2공립심상소학교(現 '진주봉래초등학교')를 졸업한 후―여기서부터, '가난과 구박을 못 이겨 무작정 일본으로 건너가 전구 공장(電球工場)에 취직하였다는 설(說), 이 곳 저 곳 떠돌며 소년 노동자 생활을 하였다는 설(說) 10대 후반 제철 공장(製鐵工場)에 취업하기도 했다는 설(說), 일본에서 동해상업학교(東海商業學校)를 졸업했다는 설(說) 등 분분(紛紛)한 이야기가 있으나 모두 확인할 수 없는 설(說)들―, 18세(1936) 되던 무렵, 이전(以前)부터 항일(抗日) 운동을 위해 밀파(密派)할 재목(材木)으로 보고 중국(中國) 항주군관예비학교(杭州軍官豫備學校) 입교(入校)를 주선(周旋)했던 인사(人士)가 일경(日警)에 피검(被檢)되는 와중(渦中)에 그를 면회(面會)하러 대구(大邱)로 갔다가 서울로부터 인편(人便)을 통해 기별(寄別)을 띄운 동향(同鄕) 출신(出身) 작곡가(作曲家) 탁성록(卓星祿)의 부름을 받고 상경(上京), 시에론레코드사에서 작곡가(作曲家) 박시춘(朴是春)을 만나게 되고, 그의 노래 솜씨에 쾌재(快哉)를 부르며 탄복(歎服)한 박시춘의 발탁(拔擢)으로 '눈물의 해협(海峽)', '비 젖는 부두(埠頭)' 등을 취입(吹入)함으로써 가수 생활을 시작하였다. 그 후 작사가(作詞家) 강사랑(姜思浪)에 의해 오케레코드로 스카웃되어 예명(藝名)을 '남인수(南仁樹)'로 하여 '범벅 서울'(1936), '돈도 싫소 사랑도 싫소'(1936)', '항구의 하소'(1937), '눈물의 사막 길'(1937) 등을 발표한 데 이어서, 박시춘과 다시 조우(遭遇)하여 본격적인 콤비를 이루는 계기가 되는 '물방아 사랑'(1937), '인생 극장(人生劇場)'(1937), '유랑 마차(流浪馬車)'(1937), '천 리 타향(千里他鄕)'(1937), '잘 있거라'(1937), '북국(北國)의 외론 손'(1937) 등을 잇달아 히트함으로써 일약 '스타덤'에 올랐으며, 1937년 12월에는 '눈물의 해협'을 개사(改詞)한 '애수(哀愁)의 소야곡(小夜曲)'이 출반(出盤)되어 공전(空前)의 대 히트를 기록함으로써 이난영(李蘭影) 등과 함께 가요계 최고 스타로 급부상(急浮上), '대중 가수 제1호'라는 채규엽(蔡奎燁), 서너 해 앞서 등장하여 '타향(뒤의 '타향살이')', '짝사랑' 등을 불러 한창 상승세를 타고 있는 고복수(高福壽) 등의 인기(人氣)가 일거(一擧)에 퇴조(退潮)하게 되는 계기를 만들기도 한다. '범벅 서울'은 답답한 시대 현실을 뛰어넘어 버리기라도 하려는 듯 청춘[젊음]의 열정과 사랑, 술과 낭만이 서양(西洋) 춤과 노래·율동·패션 등으로 범벅이 된 채 넘쳐흐르던 1930년대 초반 당시 서울의 거리 풍경을 노래한 것이며, '물방아 사랑'은 황금(黃金)에 멍들어 속절없는 사랑에 빠져 버린 기녀(妓女)의 애련(愛戀)을 통해 허망(虛妄)하고 무상(無常)한 세상(世上) 인정(人情)과 사랑의 모습을 노래함으로써 시대상(時代相)과 맞물려 크게 인기를 끌었고, '애수의 소야곡'은, "이 밤"으로 표상(表象)되는 현실(現實) 즉 암흑 시대(暗黑時代)에 부재(不在)하는 "사랑·청춘" 등의 상실(喪失)한 대상(對象)을 "눈물·애타는 숨결·고독한 흐느낌"을 안고 찾아 헤매는 서정적(抒情的) 자아(自我)의 애처롭고 고적(孤寂)한 내면적(內面的) 침잠(沈潛)과 달관(達觀)한 듯한 자기 위무(自己慰撫)의 애련(哀憐) 정서(情緖)를 담은 노랫말이 '상실의 시대'를 사는 민족(民族)의 보편적(普遍的) 정서(情緖)에 직핍(直逼)함은 물론, 이전(以前)의 여느 가수(歌手)와도 확연(確然)히 다른 발군(拔群)의 세련미(洗煉味)·신선미(新鮮味)를 갖춘 미성(美聲)에 실려 은근(慇懃)히 다가드는 구수한 맛과 호소력(呼訴力), 어루만지듯 속삭이듯 울려 오는 가창(歌唱)의 마력(魔力)에 끌려 "외로이 잠 못 드는" 민족(民族)의 가슴을 촉촉히 적시면서 위안(慰安)의 공감대(共感帶)를 폭넓게 형성(形成)해 냄으로써 끝도 없이 애창되었다.
이어서 '장전(長箭) 바닷가'(1938), '꼬집힌 풋사랑'(1938), '청노새 탄식'(1938), '울리는 만주선(滿洲線)'(1938), '항구(港口)마다 괄세[恝視]더라'(1938), '기로(岐路)의 황혼(黃昏)'(1938), '정한(情恨)의 국경(國境)'(1939), '인생(人生) 간주곡(間奏曲)'(1939), '오로라(aurora)의 눈썰매'(1939), '청춘 야곡(靑春夜曲)'(1939), '감격 시대(感激時代)'(1939), '꿈인가 추억인가'(1939), '뒷골목 청춘'(1939), '초록색 해안선'(1939), '항구 일기(港口日記)'(1939), '항구의 청춘시(靑春詩)'(1939), '안개 낀 샹하이(上海)'(1939), '울며 헤진 부산항(釜山港)'(1939) 등 히트 곡을 연발하면서 1930년대를 가요의 황금기로 장식하는 데 주역(主役)을 담당하게 된다. 특히 '꼬집힌 풋사랑'은 제1절을 통해 가해자(加害者), 즉 배덕(背德)·배신자(背信者)의 내뱉듯 쏟아 내는 자학적(自虐的)인 선언(宣言) 내지 변명(辨明) 같은 것이 계속(繼續)되다가 재2절부터 대사(臺詞) 부분까지는 피해자(被害者), 즉 기녀(妓女)의 처절(悽絶)한 독백(獨白)이 항변(抗辯)인 듯 하소연[호소(呼訴)]인 듯 이어지고 제3절에 이르러서는 피해자(被害者)의 골수(骨髓)에 사무치는 처절(悽絶)한 회한(悔恨)의 눈물을 내레이션으로 보여 주는데, 일차적(一次的)으로는 기녀(妓女)의 숙명적(宿命的)이고도 기구(岐嶇)한 '풋사랑'을 노래한 듯하면서도, 기실(其實) 일본 제국주의자(日本帝國主義者)들의 꾐(속임수)에 넘어가 결국 헤어나지 못할 지경(地境)의 사련(邪戀)['풋사랑']에 범접(犯接), 밀착(密着)해 버린 부일(附日) 매국노(賣國奴)가 그나마 마음의 심층(深層)에 남아 있는 일말(一抹)의 본심(本心) 때문에 느끼는 일제(日帝)에 대한 배신감(背信感)을 숨기지 못한 채 통절(痛切)한 자학적(自虐的) 회한(悔恨)에 젖어 괴로와하는 심경(心境)을 연출자적(演出者的) 관점(觀點)에서 풍자(諷刺)한 것으로 보이기도 하고, 어리석기 짝이 없는 인간 존재(人間存在)에 잠재(潛在)해 있는 본질적(本質的)·근원적(根源的)인 모순(矛盾)과 여리박빙(如履薄氷)의 인생(人生) 역정(歷程)에서 자칫 빠지기 쉬운 '사랑'의 원죄론적(原罪論的) 공범 의식(共犯意識) 같은 것을 담고 있기도 하는 등의 함의(含意)가 많은데다 타고난 미성(美聲)에 절절(切切)한 호소력(呼訴力)을 담은 독보적(獨步的) 가창력(歌唱力)으로 폭발적(爆發的)인 인기(人氣)를 모았으며, '울리는 만주선(滿洲線)'은 '북국(北國)의 외론 손'과 맥락(脈絡)을 같이하는 노래라 할 수 있는 것으로, 1931년 9월에 중국 동북 지방 침략 전쟁을 일으켜 괴뢰(傀儡) "만주국(滿洲國)"을 세운 일제(日帝)가 스스로 그 행위를 "만주 사변(滿洲事變←支那事變)"으로 개칭한 이후 10 년 간 이어 가는 중국 침략 전쟁의 깊은 수렁, 일제의 대륙 침략 정책을 "충실히 수행하는 데 필요한 후방의 보급 창고" 격으로 완전히 병참 기지화(兵站基地化)한 조선 강토(朝鮮疆土), 한편으로는 "만주국 건국"과 함께 "대대적으로 장려하는 조선인의 만주 이민 정책" 강제 추진, 유랑인(流浪人)의 자의적(恣意的) 이주(移住)와는 성격이 전혀 다른 '조선 총독부(朝鮮總督府)'에 의한 '대규모 강제 집단 이주 정책(大規模强制集團移住政策)' 등을 사회적·시대적 배경으로 하여 정든 고향 땅을 눈물어린 눈으로 돌아보며 떠나야 하는 유랑민(流浪民)의 설움 위에 덮쳐 오는 불확실성(不確實性)과 전도(前途)에 대한 예측 불허(豫測不許)의 만주행(滿洲行) 기차(汽車) 안에서 표출되는 자포자기적(自暴自棄的) 불안 심리(不安心理)와 착잡(錯雜)한 내면적(內面的) 갈등(葛藤) 등을 직·간접적(直間接的)으로 표출(表出)한 노래로서 일제(日帝)에 대한 민족적(民族的) 반감(反感)을 대변(代辯)했고, '감격 시대(感激時代)'는 이미 '신춘(新春)의 도래(到來)'를 예언(豫言)했던 '기미년(己未年) 선언(宣言)'의 '감격(感激)'이 있은 이래(以來) 한 동안 침체(沈滯)와 칩거(蟄居)의 시대를 넘어 이제 일제(日帝)의 '중일 전쟁(中日戰爭, 1937.7)' 도발(挑發)로 조선 민중(朝鮮民衆) 사이에서 끊임없이 확신(確信)에 근접하며 예단(豫斷), 회자(膾炙)되던 '일제 패망'―'조국 광복'의 고무적(鼓舞的)인 분위기가 전쟁 경과(經過) 2 년에 가까워지는 시점(時點)에서 더욱 확고(確固)하게 적중(敵中)되어 가는 시대적(時代的) 기운(機運)과 아울러 기미년(己未年) 그 해로부터 꼭 20 년 만에 맞이하는 의미(意味) 깊은 새 봄[신춘(新春)]의 도래(到來)라는 또 하나의 '감격(感激)'을, "환희(歡喜)에 빛나는 숨쉬는 거리"의 "속삭이는 미풍(微風[살랑살랑 불어 주는 봄바람])", "(희망에) 불타는 눈동자", 피압박 민족(被壓迫民族)이 지닌 유일(唯一)한 자산(資産)이라 할 "내일(來日)의 청춘(靑春)"·"정열(情熱)의 바다"·"희망(希望)의 대지(大地)·꽃 피는 마을" 등으로 더없이 강렬(强烈)하게 압축(壓縮)된 노랫말을 행진곡풍(行進曲風)의 가락에 얹어 노래함으로써 일제 당국(日帝當局)의 검열(檢閱)을 보기 좋게 따돌리며 민중(民衆)에게 새로운 '힘[활력(活力)]'을 선사함과 아울러 참신(斬新)한 시의성(時宜性)과 시대 감각(時代感覺)·다의성(多義性) 등을 한껏 뿜어내면서 묘(妙)한 여운(餘韻)을 단 채 '참요(讖謠)'인 듯이 애창(愛唱)되기 시작했다. 또, '울며 헤진 부산항(釜山港)'에는 일제(日帝)의 온갖 수탈(收奪)과, "징병(徵兵)·징용(徵用)·징발(徵發)" 등쌀에 견딜 수 없어 피눈물을 뿌리며 정든 고향 땅을 뒤로한 채 해외(海外)로 떠나고 끌려가는 절박(切迫)한 상황(狀況) 하(下)에 뿌리뽑힌 유랑민(流浪民) 신세(身世)로 전락(轉落)한 이 땅의 가련(可憐)·처절(悽絶)한 식민지(植民地) 민생(民生)의 모습이 투영(投影)되어, 피압박(被壓薄) 민중(民衆)의 한(恨)이 많은 이별(離別) 내지 고별(告別)의 노래로 한(限)없이 불렸다.
1940년대에 들어서 더욱 가속화(加速化)되는 일제(日帝)의 최후(最後) 발악(發惡) 속에서도, '꽃없는 화병(畵甁)'(1940), '진주(晋州)의 달밤'(1940), '눈 오는 부두'(1940), '불어라 쌍고동'(1940), '눈 오는 네온가(neon街)'(1940), '무너진 오작교(烏鵲橋)'(1940), '분 바른 청조(靑鳥)'(1940), '수선화(水仙花)'(1941), '여인 행로(女人行路)'(1941), '처(妻)의 면영(面影)'(1941), '무정 천 리(無情千里)'(1941), '청춘 항구(靑春港口)'(1941), '집 없는 천사(天使)'(1941), '인생'(1941), '포구(浦口)의 인사(人事)'(1941), '인생 출발'(1941), '비 오는 상삼봉(上三峰)'(1041), '달려라 노새'(1941), '황성(荒城) 옛터'(1941), '지평선아(1942)', '낙화유수(落花流水)'(1942), '남매(男妹)'(1942), '인생선(人生線)'(1942), '청년 고향(靑年故鄕)'(1942), '어머님 안심하소서'(1942), '서귀포 칠십 리(西歸浦七十里)'(1943). '남아 일생(男兒一生)'(1943), '일가 친척(一家親戚)'(1943) 등의 민족 의식이 짙은 노래 800여 곡을 불러 크게 인기(人氣)를 모으는 동시에, '오케 그랜드쇼'(일명 '조선 악극단')의 톱 스타로 무대에서도 화려한 활동을 펼치는 한편으로 남만주(南滿洲)·중국(中國) 일대(一帶)를 누비는 순회 공연(巡廻公演)도 활발하게 병행(竝行)했다. 이 즈음을 전후하여, 무대에 서서 노래를 할 때마다 청중(聽衆)의 "재창['앙코르']" 요청(要請)이 쇄도(殺到)하는 속에 진행자(進行者)가 다음 순서(順序)를 진행할 수가 없을 정도로 인기(人氣)가 가(可)히 폭발적(爆發的)이었다. '황성 옛터'는 15 년 전인 1926년, 당시로서는 '아마추어'에 불과한 막간(幕間)의 여가수(女歌手) 이애리수(李愛利秀)가 처음 부르기 시작하여 1932년에 빅터레코드에서 취입했던 '황성(荒城)의 적(跡)'을, 1941년 12월에 이 노래의 작사자(作詞者)인 왕 평(王平)의 사후(死後) 업적(業績)을 기리고 추모(追慕)하는 뜻으로 취입하는 음반(오케레코드) '오호(嗚呼)라 왕 평(王平)'의 출반을 계기로 제명(題名)을 "황성 옛터"로 바꾸고 본격적(本格的)인 '프로 가수'의 목소리로 새롭게 취입함으로써 노래의 분위기가 남성(男聲)으로 일신(一新)되어 더욱 널리 불리는 기반(基盤)을 마련했으며, '낙화유수(落花流水)'는 자연의 순환 이치에 따라 도래(到來)한 춘삼월(春三月)의 풍정(風情)을 맞아 피어오르는 청춘(靑春)의 꿈과 낭만의 풍부( 富)한 서정성(抒情性)·풍류성(風流性)이 짙게 배여 있는 이면(裏面)에 또한 숨길 수 없이 엄습(掩襲)해 오는 인생(人生)과 세월(歲月)의 덧없음[무상감(無常感)]·서글픔 등이 시대상(時代相)과 결합(結合)되어 폭(幅) 넓은 공감(共感)을 환기(喚起)함으로써 널리 불리는 명가요(名歌謠)가 되었고, '서귀포 칠십 리(西歸浦七十里)'는 본래의 순결하고 정갈한 제 모습만큼은 기필코 지니고 있어야 할 조국 강토(祖國疆土)의 궁벽(窮僻)한 무명(無名) 어촌(漁村) 서귀포(西歸浦)도 불행(不幸)한 시대(時代)의 마수(魔手)가 할퀸 상흔(傷痕)에서 온전히 자유로울 수 없다는 애처롭고 적막(寂寞)한 심사(心思), 상실(喪失)해 가는 것에 대한 애달픈 향수(鄕愁), 형언할 수 없을 만큼의 안타깝고 애타는 그리움의 정서(情緖) 등을 착잡(錯雜)하게 압축(壓縮)해 있는 노랫말과 구슬픈 서정적(抒情的) 가락에 실어 전(傳)한 것으로 식민지 시대(植民地時代) 최후(最後)의 대표적(代表的) 저항 가요(抵抗歌謠)인 동시에 불후(不朽)의 명가요(名歌謠)가 되었으며, '청년 고향(靑年故鄕)', '어머님 안심(安心)하소서', '남아 일생(男兒一生)', '일가 친척(一家親戚)' 역시 고향(故鄕)과 모정(母情)을 향한 귀소 의식(歸巢意識), 민족(民族)[피붙이]에 대한 짙은 애착(愛着)을 드러내고 있었다.
이보다 수년(數年) 앞서 패색(敗色)이 짙어 오던 일제(日帝)는, 드디어 1941년 말(末)에 '대동아(大東亞) 공영권(共榮圈) 신질서(新秩序) 구축(構築)'이라는 참람(僭濫)한 구호(口號)를 앞세우고 단말마적(斷末魔的) 발악(發惡)을 위장(僞裝)한 '태평양전쟁(太平洋戰爭, 1941.12.)'을 도발(挑發), 이 땅의 애국 지사·민족 지도자 들은 물론 문화 예술인들이 도저히 빠져나갈 수 없는 간교(奸巧)한 폭압(暴壓)의 감시망(監視網)을 쳐 놓고는, 마침내 당대 최고의 인기를 구가하던 대중 연예인(작사·작곡가·가수)들에게도 생사(生死)의 기로(岐路)를 헤매게 하는 '기예증(技藝證)' 발급 제도, 피를 말리는 검열(檢閱) 제도(制度)에다, '징병제(徵兵制) 실시와 징용(徵用)·정신대(挺身隊) 징발(徵發)' 등 온갖 간악(奸惡)하고 비열(卑劣)한 위협 수단을 구사(驅使), 소위 '시국가(時局歌)'·'국민가(國民歌)'·'국민 가요(國民歌謠)'·'애국가(愛國歌)'·'주제가(主題歌)'·'개병가(皆兵歌)', '가요곡(歌謠曲, 오케·태평레코드의 일부 극소수)', '신가요(新歌謠, 콜럼비아레코드의 일부 극소수)' 따위의 이름으로 그들 '전시 동원 체제(戰時動員體制)의 시국(時局)'을 찬양(讚揚), 고무(鼓舞)하는 목적 가요(目的歌謠) 제작에 혈안(血眼)이 됨으로써, 나라 잃은 설움을 안은 채 의지할 곳 없는 가요인(歌謠人)들도 강제 동원(强制動員)되면서, 한편으로는 민족의 설움과 시대(時代)의 울분(鬱憤)을 은밀(隱密)히 담은 '유행가(流行歌)'를 사이사이에 교차(交叉) 취입(吹入)할 수밖에 없는, 말하자면 이전(以前)의 참요(讖謠)를 되씹어 노래하듯 "울지도 웃지도 못하는" '촌극(寸劇) 연출'의 곤욕(困辱)을 감내(堪耐)해야 했고, 이후(1944)부터는 일체(一切)의 음반 취입을 봉쇄(封鎖)당한 채, 광복(光復) 때까지 간헐적(間歇的)인 공연 활동으로 간신히 버텨 내는 암흑기(暗黑期) 속의 암흑기(暗黑期)를 헤매야만 했다.
광복(光復)이 되자, 극심한 자재난(資材難)으로 음반 제작이 불가능한 현실 여건 속에서도 활동은 바로 이어져 가요계 최초로 '희망 삼천 리(希望三千里)'(1945)를 불러 조국 광복의 환희와 새로운 결의(決意)를 다지는가 하면, '가거라 삼팔선(三八線)'(1946) 등으로 조국 강토(祖國疆土)의 분단(民族分斷)과 민족 이산(民族離散)의 통한(痛恨)을 노래하여 온 겨레의 심금(心琴)을 울리는 동시에(1947년 중반 무렵 음반 발매 개시 추정), '흘러온 남매(男妹)'(1947), '영자(英子)야 가려무나'(1948), '흘겨본 삼팔선(三八線)'(1948) 등에 이어, 이른바 '찬탁(贊託)'·'반탁(反託)' 등과 이데올로기('좌우' 이념) 대립으로 민족(民族) 분열(分裂)이 더욱 심각한 상황으로 치닫고 있을 때는 '달도 하나 해도 하나'(1949)로써 이 겨레가 하나의 혈맥(血脈)으로 뻗친 단일 민족(單一民族)이므로 결코 둘이 될 수 없음을 호소(呼訴)하여 또 한 번 모두의 가슴을 뭉클하게 함과 아울러, 여순반란사건(麗順叛亂事件)의 희생물(犧牲物)로 전락한 어느 아낙네의 피맺힌 절규(絶叫)와 넋두리를 대변(代辯)한 '여수 야화(麗水夜話)'(1949)를 비롯하여, '해 같은 마음'(1949), '고향 산천(故鄕山川)'(1949), '망향(望鄕)의 사나이'(1950) 등으로 절실(切實)한 현실 인식(現實認識)과 시대상(時代相)을 예리(銳利)하고 적확(的確)하게 집어 내고 반영하는 그의 특징은 한결같이 두드러지게 되었다. 1950년에 발발(勃發)한 동족 상잔(同族)의 비극(悲劇) '6·25' 전란 중(戰亂中)에도 '한(恨) 많은 누님'(1950), '4백 환(四百 )의 인생 비극(일명 '한 많은 네 청춘')'(1950), '향수(鄕愁)(1952)', '청춘 무성(靑春茂盛)'(1952) 등으로 시대(時代)의 아픔과 삶의 정한(情恨)을 노래하면서도 그것을 희망(希望)과 의지(意志)의 환기(喚起)로 극복(克服)해 나가려는 몸부림 속에서, 1953년에는, 오랜 동안의 피란(피난)살이를 끝낸 후의 환도(還都)·환고향(還故鄕)과 이별(離別)의 희비(喜悲)가 교차(交叉)하는 시대적 분위기를 담은 또 하나의 대표적 절창(絶唱) '이별(離別)의 부산 정거장(釜山停車場)'의 '빅 히트'로 전후(戰後)의 어수선한 분위기와 피폐(疲弊)한 사회적(社會的) 여건(與件) 속에서도 음반(音盤) 판매고(販賣高) 10만여 장을 훌쩍 뛰어넘은 경이(驚異)로운 기록을 세우며 건재(健在)를 과시(誇示)함은 물론, 다시 한 번 거의 절대적(絶對的)이라 할 인기(人氣)로 '제2기 황금 시대'를 만들어 가게 되는바, 연타(連打)하게 되는 '고향은 내 사랑'(1953), '추억(追憶)에 운다'(1953), '미련(未練)만 남았소'(1953), '청춘 고백(靑春告白)'(1953), '고향의 그림자'(1954), '기다리겠어요'(1954), '가을인가 가을'(1954), '추억(追憶)의 소야곡'(1955), '휴전선(休戰線) 엘레지'(1955), '내 고향 진주(晋州)'(1956), '청춘 무정(靑春無情)'(1956), '나는 사람이 아니외다(재취입 음반 표제 '임의 통곡')'(1956), '무정 열차(無情列車)'(1956), '작별(作別)'(1957), '산유화(山有花)'(1957), '어린 결심'(1957), '다정(多情)도 병(病)이런가'(1957), '울리는 경부선(京釜線)'(1958), '고향 친구'(1958), '인생의 귀향지'(1959), '4월의 깃발'(1961), '무너진 사랑탑'(1961), '눈 감아 드리오리'(1962) 등의 수많은 히트 곡들이 이를 더욱 확고히 뒷받침해 준다.
민족(民族)의 극한적(極限的)인 수난 시대를 살아 오는 와중(渦中)에서 울분(鬱憤)으로 응어리진 지식·문화 예술인들 사이에 유행(流行)처럼 만연(蔓延)되었던 폐결핵(肺結核)을 시대와 역사의 짐인 양 온몸으로 안은 채 버티어 오다 1962년 6월 26일 타계하기까지 30 년 가까운 그의 가요 인생은 한결같이 찬란(燦爛)했던 것으로 기록되어 오거니와, 최초(最初)의 '한국연예협회장(韓國演藝協會葬)'으로 치러진 그의 영결식(永訣式)과 장의 행렬(葬儀行列) 또한 모든 가요계(歌謠界) 인사(人事)·연예인(演藝人), 그리고 그의 죽음을 애도(哀悼)하는 수많은 일반 국민(一般國民)들로 충무로(忠武路) 상가(喪家)에서부터 태고사(='조계사', 당시 중동고·숙명여중고 앞에 위치해 있었음) 영결식장은 물론, 홍제동 고개 너머까지 인산인해(人山人海)를 이루었던 것으로 또한 유명하다. 광복 후(光復後)부터는 작곡가 박시춘(朴是春)과 함께 '제7천국', '은방울 쇼' 등을 조직, 운영하기도 하고, 직접 음반사('아세아레코드사')를 설립(1949), 운영하는 등 '쇼 비지니스 맨'으로서도 탁월한 솜씨를 발휘하였으며, 6·25 전란 중에는 국방부(國防部) 정훈국(政訓局) 선전과(宣傳課) 직속(直屬) 문예 중대 제2소대 소속 문관(文官)으로 종군(從軍)하면서 군을 위문하는 데 앞장섰고, 전란(戰亂) 이듬해(1951)에는 백인엽(白仁燁) 장군 휘하의 제주도 모슬포 제1훈련장에 입대하여 늦깎이 군대 생활도 했다. '대한(한국)가수협회' 초대 회장(1958), '전국공연단체연합회' 회장(1960), '한국무대예술협회' 이사(理事), '한국연예협회' 부이사장(1961) 등을 역임하였으며, 역사상(歷史上) 박해(迫害)와 수난(受難)이 극심(極甚)했던 시대를 헤치면서 1,000여 곡이 넘는 방대(尨大)한 가요를 불러 남겼을뿐더러, 30 년 가까이 침체기(沈滯期) 없는 히트곡 연발의 찬란(燦爛)한 활약상(活躍相)을 펼쳤다는 면에서 '가요사상(歌謠史上) 전무후무(前無後無)한 기록을 남긴 가수(歌手)'이기에, 생전(生前)에 이미 '가요 황제(歌謠皇帝)'라는 세평(世評)이 저절로 따라붙었던 것이다.
그러나 한편, 특히 일제 강점(日帝强占)의 시대(時代)에 그가 부른 노랫말의 대부분을 작사(作詞)했던 시인(詩人) 조명암(趙鳴岩, 예명 '금운탄·조영출·이가실·김다인' 등)을 비롯, 박영호(朴英鎬, 예명 '처녀림·불사조' 등) 등의 광복 직후(光復直後) 월북 사건(越北事件)이 있고, 그로부터 한참 뒤에는 "남조선 해방"을 표방한 북녘 공산군의 불법 남침('6·25')이 자행(恣行)된 이후, '승공(勝共)·멸공(滅共)'의 기치(旗幟)를 높이 든 자유당 정권(이승만)의 '치안관계법'에 의한 '가거라 삼팔선' 제1절 끝 부분 노랫말("헤맨다") 시비(是非) 및 개사(改詞) 강요(强要) 등과 '월북 작가(越北作家)'―광복 직후, '이북(以北) 땅이 문화 예술 활동의 천국(天國)이 될 것'이라는 공산당의 선전(宣傳)·선동술(煽動術)에 속아서 북(北)으로 간 대부분의 문화 예술인―관여 작품의 상당수에 대한 금지 조치의 발동(發動) 등 가요에 대한 당국(當局)의 직·간접적 간섭에 이어, '반공(反共)'을 '국시(國是)'로 표방하며 등장한 5·16 군사 혁명 정권(박정희)이 1960년대 초·중반(1965.3.)부터 1970년대 중반(1974.4.∼1975.6.)에 이르기까지 '방송윤리위원회'(약칭 '방륜')·'예술문화윤리위원회(약칭 '예륜')'·'공연윤리위원회'(약칭 '공륜')·'방송심의위원회'(약칭 '방심') 등의 이름으로 이른바 '가요 정화 대책'을 발표하면서, 자유당 정권보다 더 구체적·조직적으로 '월북 작가(越北作家)'가 관여(關與)한 가요(歌謠)부터 무조건(無條件) 금지(禁止)하는 바람에, '돈도 싫소 사랑도 싫소', '인생 극장(人生劇場)', '천 리 타향(千里他鄕)', '물방아 사랑', '잘 있거라', '꼬집힌 풋사랑', '청노새 탄식', '항구마다 괄세(←괄시)더라', '기로(岐路)의 황혼(黃昏)', '청춘 야곡(靑春夜曲)', '안개 낀 샹하이', '울며 헤진 부산항(釜山港)', '눈 오는 네온가', '무정 천 리', '청춘 항구', '포구(浦口)의 인사', '인생 출발', '낙화유수(落花流水)', '남매(男妹)', '인생선(人生線)', '어머님 안심하소서', '서귀포 칠십 리', '남아 일생(男兒一生)' 등 한 세대를 울렸던 그의 수많은 절창(絶唱) 명가요(名歌謠)들이 '모든 방송(放送)·음반(音盤) 및 가요 관계 출판물(出版物) 제작(製作)·유포(流布) 금지(禁止)'라는 제재(制裁)의 철퇴(鐵槌)를 맞아 사라지게 될 운명(運命)에 처하게 되자, 이에 위기 의식을 느끼며 명가요들을 지켜야 한다는 뜻을 가진 반야월(半夜月) 등 가요계의 일부 유명 작사가(作詞家)나 작곡가들은 원작자(월북 작가)의 이름을 사실상의 가공 인물(架空人物) 이름로 바꾸는가 하면 노랫말에 나오는 삼팔선(三八線) 이북(以北)의 지명(地名)까지 금기(禁忌) 대상(對象)에 넣고 남한(南韓)의 지명으로 급조(急造)하는 등의 개·보사(改補詞) 및 편곡(編曲)을 서둘러 단행(斷行)하게 됨으로써 1980년대 말(1988.5.)까지 무려(無慮) 한 세대(世代)가 훨씬 넘는 기간(期間)에 걸쳐 한국 가요사(韓國歌謠史)는 정통 명맥(正統命脈)이 단절(斷絶)되다시피 하는 일대 훼손(一大毁損)의 비색(丕塞)한 운명(運命)을 맞게 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애당초 대중적(大衆的) 호응(呼應)을 크게 받지 못했던 노래가 그런 와중(渦中)의 틈새[공간]를 비집고 예외(例外)처럼 뒤늦은 유행(流行)의 물결을 타는 이변(異變)이 나타나기도 하는데―대표적인 예(例)로서는, 당시 이북(以北)의 지명(地名)이 등장하면서도 유일하게 개사(改詞) 대상(對象) 리스트에 오르지도 못할 만큼 관심 밖이었으나, 1957년 1월 중순부터 '음악방송위원회'('가요심사위원회'의 전신)를 구성하고 대중 가요 심의 제도(大衆歌謠審議制度)를 처음으로 만들었던 KBS('서울중앙방송국')가 일찌감치(1964.5.18.) 라디오의 일일(日日) 반공(反共) 단막극(정식 명칭 '5 분 드라마 김삿갓 북한 방랑기') 시그널 뮤직으로 채택, 감미로운 아코디언 선율에 실어서 거의 매일 방송 전파를 타게 함으로써 널리 알려지게 된 '눈물 젖은 두만강'(1938, 김용호 작사, 이시우 작곡, 김정구 노래)을 비롯하여, 1960년대에 대거 등장하여 인기를 얻기 시작한 남성 중창단('봉봉4중창단'·'불루벨즈'·'쟈니부라더스')들에 의해 리바이벌됨으로써 널리 불리게 된 '바다의 교향시(交響詩)'(1938) 등을 들 수 있는바, 이는 일제 강점기(日帝强占期)의 명가요들에 익숙한 구세대(舊世代)의 갈증(渴症)을 그나마 풀어 줄 수 있는 '대타(代打)' 격(格)으로서 늦바람을 탄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과정(過程)에서 정작 이전(以前)의 명가요들은 대중의 뇌리(腦裏)에서 서서히 멀어져 가는 듯한 세월이 이어지다가, 해금(解禁)된 1980년대 말(末)부터 표면적으로는 명맥(命脈)이 간신히 되살아난 것이지만, 이미 훼손(毁損), 단절(斷絶)되다시피 한 가요사(歌謠史)를 복원(復元)하는 데 그 역량의 한계를 특히 많이 안고 있는 전파 매체(라디오·텔레비전 등)의 '한국적(韓國的) 속성(屬性)'이라든지 '모창 음반'의 횡행(橫行)으로 대중의 귀를 뜨이게 하지는 못하고 있다가, 곧(1990년대 초·중반에 들어서면서) 이어지는 '노래방 문화'의 확산과 함께 그의 많은 명가요들의 이름이 다시 부각(浮刻)되기는 했으나, 노래 자체는 이미 생소(生疎)해진 상태가 되었고, 게다가 '다투어부르기 좋아하는 쪽'에 속하는 세대로의 급속한 교체(交替)가 진행되면서 이미 창법(唱法)이 단조롭고 안이(安易)한 곡(曲)의 노래가 휩쓸고 있는 시대로 접어든데다, 그의 노래는 특히 '흉내내어부르기[모창(模唱)]'도 어렵거니와 여간 뛰어난 가창력(歌唱力)이 아니고서는 노래 자체를 망쳐 놓기 십상(十常)인 고난도(高難度)의 다이내믹한 가락이 대부분이라는 특성 등의 허다한 요인으로 말미암아 그의 많은 노래가 더욱 오랜 세월 동안 묻혀 버린 듯한 느낌을 준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실로 반 세기(半世紀)가 넘게 경과(經過)해 버린 1990년대 후반부터 소수(小數)의 특정(特定) 음반사(音盤社)들에 의해 SP음반(속칭 '유성기판') 수집(蒐集)과 원음(原音)의 복각(復刻)이 '불완전(不完全)하게나마' 이루어진 것을 기폭제(起爆劑)로 하여 제2세대(第二世代) '올드 팬'을 비롯한 메니어(mania) 층(層)이 두텁게 형성(形成)되면서 다시 각광(脚光)과 주목(注目)을 받게 된다.
그는 타고난 미성(美聲)에다 폭발(爆發)하는 듯한 발성법(發聲法), 듣는 이의 폐부(肺腑)를 찌르는 가창력(歌唱力)으로 타(他)의 추격(追擊)을 불허(不許)함으로써, '가요 황제(歌謠皇帝)'라는 자연스런 애칭 외에, '가요계(歌謠界)의 기린아(麒麟兒)', '불세출(不世出)의―100 년에 하나 나올까 말까 한― 가수(歌手)', '영원 불멸(永遠不滅)의 청년 가수(靑年歌手)', '만년 가수(萬年歌手)', '서정 가요(抒情歌謠)의 대부(代父)', '가수(歌手)의 상징(象徵)', '가요사(歌謠史)에 전무후무(前無後無)할 거성(巨星) 가수(歌手)' 등의 전설적(傳說的)인 세평(世評)들과 더불어 '판소리 등 국악(國樂) 명창(名唱)들까지도 주눅들게 하는 목소리라는 이야기를 비롯해서, 특히 "일본 본토에서는 왜 이만한 가수가 나오지 않는지 통한(痛恨)할 노릇이다. 참으로 100 년에 하나 나올까 말까 한 가수다."라고 한 '일본 엔카[演歌]의 대부(代父)'라는 고가 마사오(古賀政男, 1904-1978)의 자조(自嘲) 섞인 언급(言及) 등은 유명하다. 고음(高音)에서는 쇳소리가 울리듯 쟁쟁(錚錚)하고 카랑카랑하게 듣는이의 폐부(肺腑)를 파고드는가 하면, 저음(低音)에서는 속삭이듯 흐느끼듯 하면서 부드러움과 감미(甘味)로움을 안겨 주는 매혹적(魅惑的)인 미성(美聲), 폭발적(爆發的)이고 정열적(情熱的)이며 순발력(瞬發力)이 뛰어난 창법(唱法), 무려(無慮) '세[三] 옥타브(octave)'까지 거침없이 넘나드는 자유자재(自由自在)한 발성 능력(發聲能力), 정확한 가사 전달력(발음) 등은 거의 완벽성(完璧性)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평가(評價)될뿐더러, 절망(絶望)과 실의(失意)에 빠졌거나 현실 생활(現實生活)에 지친 민중(民衆)에게는 활력(活力)을 실어 주는 마력(魔力)을 발휘(發揮)함으로써, 질곡(桎梏)의 시대(時代) 일제 강점기(日帝强占期)부터 그의 인기(人氣)는 거의 '절대적(絶對的)'이었다는 말로 흔히 표현되고 있다.
따라서, 사후(死後)에는 자연(自然)히 그의 노래를 모창(模唱)하는 후배(後輩) 가수(歌手)들, 이를테면 남강수(南江樹)―1950년대 말(末)에 미도파레코드사('지구래코드'의 前身)에서 '추억의 소야곡' 재취입(모창)을 위해 기용(起用)한 가수로서 초기에는 '이청봉(李淸峰)'으로 음반 레이블에 자세한 배경과 함께 기재되었던 가수―를 비롯해서, 김광남(金光男), 고대원(高大遠) 등이 대거(大擧) 등장(登場)하여 '모창 음반(模唱音盤)'을 끊임없이 내놓음으로써 대중(大衆)의 귀를 현혹시키는가 하면, 이름을 드러내지 않고 음반사를 가리지 않으며 '남인수'라는 이름을 내걸고 음반에 그 목소리가 실린 무명(無名)의 모창 가수(模唱歌手)도 일일이 들 수 없을 정도로 많았고, 방송극(放送劇, 방송 드라마)이나 영화(映畵), 심지어 '……기록(記錄)', '……실록(實錄)' 하는 것들을 포함한 '다큐멘터리' 등에 삽입(揷入)되는 노래는 물론, 스테레오 시스템이 일반적 추세로 자리잡는 70∼80년대에는 거의 모든 방송(放送)에서 "남인수"의 이름을 빌린 정체(正體) 모를 목소리들이, 늘어지고 쳐진 목소리와 창법에 실려서 "남인수 노래(목소리)"로 둔갑(遁甲)한 채 판을 쳤거니와, 젊은 방송 제작자나 진행자 들은 이를 모른 채 "남인수 선생의 노래"라고 소개하면서 방송 전파에 싣는 '진풍경(珍風景)'까지 벌어지기도 했다. 첨언(添言)해서 두말할 것도 없이, '남인수 모창 음반', 즉 '가짜 남인수 음반'은, 말하자면, 오늘날 여전히 기승(氣勝)을 부리고 있는 '익명(匿名)의 모창 가수(模唱歌手)를 이용한 음반(音盤) 제작(製作)·발매(發賣) 등의 원조(元祖)' 격(格)이 되고 있기도 하다.
사후(死後)인 1960년대 초반부터는 각각(各各)의 음반사(音盤社)들끼리 그의 최종(最終) 취입곡(吹入曲)임을 내세우며 경쟁적(競爭的)으로 대표 타이틀에 올린 노래들이 출반(출盤)되기 시작했는데, 그 곡목(曲目)들로는, '4·19' 의거(義擧)에 목숨 바친 어린 학생들의 넋을 기린 '사월(四月)의 깃발'(미도파레코드 출반)을 비롯하여, '눈 감아 드리오리'와 '불효자(不孝子)는 떠납니다'(이상 아세아레코드사 출반), '한 많은 네 청춘'(프린스레코드사 출반), '고향등(故鄕燈)'(LKL레코드사 출반), '꽃 피는 청춘 마을'(오스카레코드사 출반) 등이 있거니와, 물론 어느것이 그의 최후 취입곡(最後吹入曲)인가를 확실하게 판단활 수 있는 자료는 현재로서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사후(死後) 한 동안은, 그를 기리는 추모의 열기가 고조되어, 1960년대 중반(中盤)부터 '선창(船艙)'을 부른 고운봉(高雲峰), '울고 넘는 박달재'를 부른 박재홍(朴載弘) 등 후배 인기 가수들에 의해 가요계 최초로 '남인수 노래비' 건립안(建立案)이 제기되고, 1968년에는 '남양흥업'이란 영화사에 의해 분단 상황(分斷狀況)에서 이산(離散)의 고통(苦痛)과 고독(孤獨)·모진 세파(世波)를 헤쳐 오며 노래 인생을 함께하던 이난영(李蘭影)과의 아픈 사랑 이야기를 담은 '이 강산 낙화유수'(감독 조길현, 극본 이두현, 제작 이지룡, 김진규·문정숙·김성호 등 출연)라는 영화가 제작, 개봉되기도 했으며, 1981년에는 생전(生前)부터 그를 흠모(欽慕)하는 가수(歌手) 신해성(申海成)의 주도(主導)로 '예도 매미회'('남인수 기념 사업회'의 전신)가 결성되면서 '남인수 노래비' 건립(建立) 사업에 가속도(加速度)가 붙어 마침내 1987년 4월 5일에는 '애수(哀愁)의 소야곡(小夜曲)' 노래비가 경기도 양주군 장흥면 일영리 밤나무골 유원지에 건립되었다(1998년에는 제 8회 '남인수 가요제'를 계기로 하여 '서울 드림랜드'로 이전, 현재에 이름). 이보다 앞서(1980), 가수 신해성은 '아, 그 이름 남인수'라는 노래를 취입하여 그를 기리는 일에 앞장서고 있으며, 그의 주도(主導)로 1991년(6. 26)부터는 해마다 '남인수 가요제'가 개최되고 있다. 그러나, 가장 획기적인 일은, 2000년(9월)의 '남인수 팬클럽'(현재 회원 수 400여 명) 결성 초기부터 '남인수 전집'(제1차분, CD 8 장 및 172 쪽 분량의 책자 1 권)을 발간, 그가 취입해 남긴 가요(歌謠) 가운데, 우선 227 곡을 발굴, 정리하였다는 점이며, 2001년(6. 26)에는 세계적으로도 아직 그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대중 가수로서도 처음인, 한 독지가(篤志家)에 의한 '남인수(南仁樹) 동상(銅像)'의 건립―'진양호'(진주 남강 댐) 호반(湖畔)―이라 할 것이다.
그의 유적지로는 생가(진주시 하촌동 195번지 소재)가 아직 남아 있으며(문화재청(文化財廳)에 의한 '근대 문화 유산' 등록, '문화재 153호' 지정 고시<2005년 4월 15일자>), 강씨 문중 소유의 한 산(山)에 묘소(진주시 장재동 산 49번지 소재)가 있다(2004년 4월, '남인수 팬클럽'에 의한 묘소 정화와 추모비 건립 작업 완료).
***********************
≪ 참고 자료(연대순) ≫
現代流行歌映畵小曲集(선문당, 昭和六年)
朝鮮總督府時局對策調査會 會議錄諮問答申書(民俗苑 影印本, 昭和十三年)
一線記者의 告白(新聞記者手帖 姉妹篇, 모던出版社, 檀紀四二八二年)
最新流行歌謠集[附 군가·잡가](문성당서점, 4284(1951))
最新傑作流行歌集(裵誠道, 版權所有 太陽堂書店, 大邱府, 1947.9)
新聞記者가 엮은 解放十年史(金剛文化硏究社, 檀紀四二八九年)
韓國演藝大鑑(成榮文化社, 1962)
大抒情 韓國레코오드歌謠史―解說書―(姜史浪 編著, 韓國各레코오드會社合同製作­社團法人音盤製作家後援, 1967)
大東亞戰爭秘史(朝日新聞從軍記者團, 노벨文化社, 1971)
靑春挽章―太平洋戰爭에 끌려갔던 學兵手記集―(1·20同志會 編, 1972)
남기고 싶은 이야기 (中央日報社, 1973)
韓國放送史(非賣品)(韓國放送公社, , 1977)
韓國人名大事典(新丘文化社, 1980)
朝鮮民衆의 中日戰爭觀―'流言蜚語'를 中心으로―(宮田節子, 청아신서, 1985)
불멸의『애가』반야월 명작 가요 전집―고희 기념―(반야월, 후반기출판사, 1986)
日本帝國主義의 朝鮮支配(청아신서 19, 朴慶植 著, 청아출판사, 1986)
(그 노래 그 사연) 歌謠夜話(반야월 지음, 세광음악출판사, 1987)
韓國放送六十年史(韓國放送公社, 한국방송사업단, 1987)
풀려난 공연·방송 금지 가요(부록 '금지곡과 해금곡 총목록', 세광음악출판사, 1987)
日帝末期 파시즘과 韓國社會(청아신서?, 최원규 엮음, 청아출판사, 1988)
大韓民國建國靑年運動史(建國靑年運動協議會總支部, 1989)
유성기 음반 가사집Ⅰ·Ⅱ·Ⅲ·Ⅳ·Ⅴ·Ⅵ(한국고음반연구회, 民俗苑, 1990∼)
손목인의 인생 찬가 '못다 부른 타향살이'(손목인 씀, 도서출판HOTWIND, 1991)
어느 광대의 사랑―김희갑 자전 회고록―(金喜甲, 삼진기획, 1992)
유성기로 듣던 가요사 첫째(一九二五∼一九四五)·둘째(1945∼1960)(신나라레코드, 1992·2000)
유성기로 듣던 不滅의 名歌手(신나라레코드, 연대 미표기)
한국 가요사(박찬호, 현암사, 1992)
湧金屋時代―詩人 李容相의 酒興半世紀―(李容相, 서울신문社, 1993)
한국사 1∼27(한길사, 1994)
한국 유성기 음반 총목록(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民俗苑, 1998)
留聲器音盤總覽資料集1907▷1943(金占道 編著, 신나라뮤직, 2000)
남인수 전집(南仁樹全集, 남인수팬클럽 편, 2001)
음악 교육의 지역화에 관한 연구(조성환, 2002)
http://www.gayo114.com('가요백년사'<이준희> 기타)
남인수팬클럽회보 제1∼18집(남인수팬클럽, 2002. 9.∼2005. 1)
각종 신문(1930∼50년대의 朝鮮·東亞日報 및 1930∼40년대의 京城日報, 1940년대의 每日申報 등)
각종 신문·잡지 연재물과 기획 기사 및 방송을 비롯한 각종 다큐멘터리 및 여타 기록물들.
녹음 자료(① "故南仁樹 장례식에 참석하고"<작곡가 李龍俊> ② '남인수 라이브'(부산 국제극장 무대, 1959. 12.) 등.
기타 집필자(執筆者) 사유(私有) 자료(가요 관계 필사본, 'SP·LP' 음반 자료 기타)



|

담당부서
( ☎ )
만족도 조사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