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농기계 안전사고 예방·대처 요령
□ 예방수칙
○ 농기계는 도로교통법상 단속대상이 아니며 특별한 면허규정이 없어 운전자 스스로가 안전수칙을 지키는 노력이 필요
○ 음주 후 농기계를 운전하지 말아야 함
○ 올바른 농기계 사용법과 취급법을 꼭 알아둘 것
○ 긴소매 옷이나 큰 장갑 등은 회전 부위에 말려들 수 있기 때문에 상해방지용 모자와 작업에 맞는 옷과 신발을 착용
○ 경운기 후미등, 방향지시등 및 야간 반사판 등화장치 부착상태를 확인
○ 기계에는 어린이를 태우거나 접근을 금지
○ 엔진이 뜨거운 상태나 운전 중에는 급유 금지
○ 야간도로 주행시 등화장치(전조등, 방향지시등, 작업등, 제동등)를 반드시 확인
○ 운전석에서 내릴 때는 반드시 엔진을 끄고 주차브레이크를 채우고 엔진 스위치를 빼고 어쩔 수 없이 경사지에 주차할 경우 받침목을 고여둘 것
○ 기계를 싣거나 내릴 때에는 평탄하고 안전한 곳을 이용
○ 두렁이 높은 곳에 출입시 반드시 미끄럼 방지판을 사용하고 전복·추락 등에 주의
○ 비상시를 제외하고 운행·작업 중에 기계에 뛰어오르거나 내려서는 안
○ 작업기 밑에 머물거나 발을 넣으면 위험
□ 사고발생시 행동요령
○ 가장 먼저 119로 연락
○ 이때, 응급환자의 상태를 자세히 말하고, 지시내용에 따라 응급처치를 하는 것이 좋음
※ 정확한 응급처치는 병원 전 단계에서 환자의 생명을 보존하거나 상태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지만 부적절한 응급처치는 환자의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음
○ 화상을 당했을 경우
- 10분 이상 화상부위를 흐르는 찬물 속에 넣어 진정
- 화상 부위의 상처가 부풀어 오르기 전에 반지, 시계, 벨트 또는 꽉 끼는 옷을 조심스럽게 제거
- 상처부위는 깨끗하고 가능하면 멸균 처리된 보푸라기가 없는 거즈로 덮어야 함
- 물집은 터뜨리지 말고, 화상부위에 딱 붙어 있는 물질들은 떼어내지 말 것
- 로션을 바르거나 연고, 기름 같은 것도 바르지 말 것
- 환자를 빨리 병원으로 옮겨야 함
○ 골절상을 당했을 경우
- 먼저 심한 출혈을 멈추게 한 후
- 환자가 불필요하게 움직이는 것을 막아야 함
- 골절부분의 고정은 부상부위의 위, 아래 관절을 포함하여 가능하면 길게 대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