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설을 사용하는 경우, 특정기관, 단체, 부서를 근거없이 비난하는 경우, 특정인을 비방하거나 명예훼손의 우려가 있는 경우(비속어, 은어 사용 등 포함)
음란물 등 불건전한 내용, 연습성, 오류, 장난성 글, 저작권을 침해할 수 있는 내용 등 기타 해당 게시판의 취지와 부합하지 않을 경우
구인구직은 해당 게시판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분야별정보>취업정보>구인/구직) 구인/구직에 필요한 정보가 누락될 수 있으므로 자유게시판에 작성 시 삭제됩니다.
게시판의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6개월이 지난 게시물은 삭제되오니 시민 여러분의 많은 양해 부탁드립니다.
이제는 법정 금리를 올려야 할 때
작성일
2023-10-18 09:39:26
작성자
장○○
조회수 :
169
상대적으로 금융취약층을 보호하는 취지로 법정 금리는 단계적으로 인하를 했습니다.
십수년전의 고금리 때는 연 이율이 50%가 넘었으며, 이는 대출 이용자들의 큰 부담으로 작용을 했습니다
현재 법정 금리는 연 20%이하입니다
고금리 상태가 국제적으로 지속되고 있고, 고물가 상태의 국내 경기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은행 연체가 늘면서 은행대출이 좀 더 까다로워졌습니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저축은행, 캐피탈마저도 대출 심사가 엄격히 변화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부업권에서는 시장을 철수한다는 뉴스마저 나왔습니다
현재의 연 20% 이하의 법정금리 하에서는 대부업체의 사업성이 낮아져 신규대출을 꺼리는게 사실입니다
따라서 금융약자들이 사금융시장으로 내몰리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에 각계 각층에서 법정금리를 올려야 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일부는 시장에 아예 맡기자는 말도 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법정금리를 올려서 금융취약층의 어려움을 덜어줘야 맞다고 봅니다
법정금리를 내렸을 때의 단점을 몇가지 살펴보겠습니다
법정 금리 인하는 중앙 은행이나 정부 당국에 의해 정해진 최저 금리를 낮추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정책은 경제 활동과 금융 시스템에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나 법정 금리 인하에는 몇 가지 잠재적인 문제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1. 물가 상승 압력: 법정 금리 인하로 인해 과도한 통화 공급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물가 상승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과도한 금리 인하는 인플레이션을 촉진할 수 있으며, 소비자 가격 상승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2. 저축 및 투자 감소: 낮은 금리는 저축자나 고정 수입을 받는 사람에게는 부정적일 수 있으며, 저축과 투자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저렇게 되면 개인 및 기업의 재무 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금융 불안: 과도한 법정 금리 인하는 금융 불안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낮은 금리 환경에서 투기적 투자와 위험부담이 증가할 수 있으며, 금융 시장의 불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4. 은행 수익 하락: 은행은 대출에 대한 이자로 수익을 창출합니다. 금리가 너무 낮아지면 은행의 대출 이자 수익이 줄어들 수 있으며, 이는 은행의 금융 건전성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5. 물가격 과부하: 낮은 금리로 인해 부동산 시장 등에서 물가격이 급상승할 수 있습니다. 이는 주택 가격 폭등 등의 현상을 야기할 수 있으며, 주택 시장의 거품 형성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6. 저축자 부담: 낮은 금리는 저축자에게 이자 수입을 제공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재무적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고정 소득을 받는 노후자에게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7. 저금리의 한계: 금리가 이미 낮은 경우, 추가적인 법정 금리 인하가 경제에 미치는 효과가 한계에 부딪힐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정책 메이커들이 경제 정책을 다양화하고 다른 수단을 고려해야 할 수 있습니다.
법정 금리 인하는 경기 부양, 신용 접근성 증대, 경제 성장 촉진 등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그 영향과 부작용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중요한 것은 금리 정책의 조절을 신중하게 하고 경제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