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 人生, life(living, existence), 生[shēng](日月[rìyuè]), せい[生], vivre[vivʀ], vida(existencia), Leben
▶ 노벨 문학상을 수여한 아일랜드의 극작가 버나드 쇼는 “삶이란 자신을 발견하는 것에 관한 것이 아니라, 자신을 창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Life isn't about finding yourself. Life is about creating yourself.” (George Bernard Shaw (1856 – 1950) - an Irish playwright, critic and polemicist)
▶ “결국, 당신의 인생에서 살아온 세월이 아니라, 그 세월동안 어떤 삶을 사느냐 이지요..” 링컨의 말입니다.
“In the end, it's not the years in your life that count. It's the life in your years.” (Abraham Lincoln)
▶ Steve Jobs는 2005년 Stanford 대학교 졸업 연설에서 “오늘 나는 내 인생에서 3가지 얘기를 하려고 왔습니다. 첫째는 점을 잇는 것에 관한 것이고, 둘째는 사랑과 상실에 관한 것이고, 세 번째는 죽음에 관한 것입니다.”
“Today I went to tell you three stories from life.
The first story is about connecting dots.
My second story is about love and loss.
My third story is about death.“ (Steve Jobs at 2005 Stanford Commencement Speech)
매일 아침 거울을 보면서 자신에게 묻기를 “만약 오늘이 내 인생에 마지막 날이라면, 나는 오늘 하려고 하는 일을 하길 원할까?”
I have looked in the mirror every morning and asked myself: “If today were the last day of my life, would I want to do what I am about to do today?” (Steve Jobs)
▶ Seven Words to Live(옆에 두고 살아야할 일곱 가지 단어) by John W. Gardner에 보면 “치열하게 살아라, 진실로 사랑하라, 끊임없이 배워라.” 어느 독자이건 친구와 함께 확인하면 그들 세 단어에 상당한 동의를 얻을 것이다. 그 다음은 뭐지? 미국 철학회 회원들의 4번째 인기 있는 격언의 선택은 “사고하라, 이해하라, 또는 알아라, 기부하라, 도와라, 봉사하라, 나누어라, 웃어라, 미소 지어라, 놀아라, 즐겨라” 등이다. 삶을 이끌어 줄 일곱 가지 단어로 ‘살아라, 사랑하라, 배워라, 생각하라, 내어 주어라, 웃어라, 시도하라. 더 나은 충고가 있는가?
“Live, Love, Learn. Any reader who checks with friends will find considerable agreement on those words. What’ next?” The most popular 4th Maxim choice for members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was “Think”, “Understand”, or “Know”, “Give”, “Help”, “Serve”, “Share”, “Laugh”, “Smile”, “Play”, and “Enjoy”.
Live, love, learn, think, give, laugh, try. Can you pack better advice into seven words? (Seven Words to Live by John W. Gardner)
▶ Yippies족의 창시자 A. Hoffman은 “오늘은 남아있는 내생의 첫날이랍니다.”
“Today is the first day of the rest of your life.” (Abbie Hoffman (1936 – 1989) - an American political and social activist, anarchist, Yippies) ‘오늘은 어제 죽은 자가 그토록 살고 싶어 했던 내일이라고 ...’
▶ 르네상스시대 이태리 천재 L. Da Vinci는 “잘 보낸 하루가 행복한 잠을 주듯이 잘 사용한 인생이 행복한 죽음을 가져다줍니다.”
“As well-spent day brings happy sleep, so life well used brings happy death.” (Leonardo Da Vinci (1452 – 1519) - an Italian Renaissance polymath whose areas of interest included invention, painting, sculpting, architecture, science, music, mathematics, engineering, literature, anatomy, geology, astronomy, botany, writing, history, and cartography.
▶ 쿠바 출신 미국 작가인 A. Nin은“인생의 참된 의미는 고통과 상실, 역경을 견대내고, 패배로 시작 패배에 휘청거린 사람만이 알게 된다.” 아픈 만큼 성숙 한다고 하잖아요.
“Life is truly known only to those who suffer, lose, endure adversity and stumble from defeat to defeat.” (Anais Nin (1903 – 1977) - an essayist and memoirist born to Cuban parents in France, where she was also raised. American author)
▶ 자메이카 출신 레게음악인 B. Marley는 “살아가는 인생을 사랑해요, 사랑하는 삶을 살아요.”
“Love the life you live. Live the life you love. ”(Bob Marley (1945 – 1981) - a Jamaican singer-songwriter, musician and guitarist)
▶ “생각컨대 여러분의 삶이 참으로 비참하다하드라도, 매일 잠에서 깨어 여러분이 가진 것에 감사하십시오. 어느 누군가는 어디에선가에 단순히 살아남기 위해 싸우고 있습니다.” (미상(未詳)
“No matter how bad you think your life, wake up each day and be thankful for what you have. Someone somewhere is fighting just to survive.”
(Unknown)
tkftkfa
★ 여러분은 한번쯤 사는 게 뭘까? 내 삶은, 내 인생은 하고 자문(自問)해 보시나요. 지금 여러분은 삶의 행로(行路)에서 어디 쯤 가고 있습니까? 인생 설계기(life planning stage), 시행착오기(trial and error), 저돌적(daredevil) 시기, 원숙기(mature), 이순(let it be), bucket list기...
열심히 달리다가..
한번쯤 언덕에 올라 지그시 올라온 길을 되돌아도 보기도 하고 눈을 들어 더 올라 갈 언덕을 바라봐 보세요. 그리고 눈을 감고 그 길을 연결해 보십시오. 그 무엇이 보이는 것 같습니까? 아무 것도 안 보인다구요?
그것이 인생이고 삶인지도 모르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