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 紐帶, 결속, 응집 bond(association, solidarity, cohesion, link, tie, vinculum), niǔdài, ちゅうたい(つながり[繫がり]), attaches, vínculo(lazo), Engagement
☺ 미국의 42대 대통령이었던 Bill Clinton은 “세계는 더 이상 적대적인 그룹으로 나뉘지 않습니다, 대신 이제 우리는 한때 적이었던 나라와 유대관계를 만들어가고 있지요.”
“The world is no longer divided into hostile campus. instead, now we are building bonds with nations that once were our adversaries.” (Bill Clinton)
☺ 미국의 작가 리처드 바크는 “진정한 가족으로 연결하는 유대는 혈연이기 보다 각자의 삶에 있어 존경과 기쁨이지요.”
“The bond that links your true family is not one of blood, but of respect and joy in each other's life.” (Richard Bach (1936 - ) - an American writer)
☺ 레바논 출신 미국 작가 칼릴 지브란은 “서로 사랑하지만 사랑의 속박으로 옭아매지 마시오, 오히려 영혼의 기슭 사이에 자유로운 바다가 되게 하시오.”
“Love one another, but make not a bond of love: Let it rather be a moving sea between the shores of your souls.” (Khalil Gibran (1883 – 1931) - a Lebanese-American writer, poet, visual artist and Lebanese nationalist.)
☺ 미국 철학자, 교육자인 모티머 애들러는 “사랑은 되돌려 받음 없이 주는 것이지요. 빚지지 않고 주는 것이요, 다른 사람에게 주기로 한 것이 아닌 것이지요. 그래서 진정한 사랑이란 결코 유용성이나 쾌락과 연계되는 것처럼 공정한 교환에 바탕을 둔 게 아닙니다.”
“Love consists in giving without getting in return; in giving what is not owed, what is not due the other. That's why true love is never based, as associations for utility or pleasure are, on a fair exchange.” (Mortimer Adler (1902 – 2001) - an American philosopher, educator, and popular author)
☺ 9년간 유엔 사무총장을 역임한 반기문 총장은 “기후 변화는 국경도, 우리가 부자건 가난하건, 작고 크건 상관하지 않아요. 그래서 우리는 전 지구적인 연대를 필요로 하는 ‘글로벌 도전’이라 하지요.”
“Climate change does not respect border; it does not respect who you are - rich and poor, small and big. Therefore, this is what we call 'global challenges,' which require global solidarity.” (Ban Ki-moon (1944 - ) - a South Korean diplomat who was the eighth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from January 2007 to December 2016.)
☺ 미국 배우 윌 로저스는 “사람은 두 가지 방법으로 배웁니다. 하나는 독서요, 하나는 똑똑한 사람들과 교류입니다.”
“A man only learns in two ways, one by reading, and the other by association with smarter people.” (Will Rogers (1879 – 1935) - an American stage and motion picture actor)
☺ 로마 시대 학자인 키케로는 “끼리끼리 모인다.” ‘유유상종(類類相從)’
“Like associates with like.” Cicero
☺ 본명이 사무엘 클레멘스인 마크 트웨인은 “우리는 이상한 존재이지요, 자유로운 것 같지만 얽혀서 가고 있지요. 교육, 습관, 관습, 유대, 환경의 사슬에, 즉 상황에 얽혀 있지요. 이 유대 관계에 반(反) 해서 가장 강한 자는 헛발질하지요.”
“We are strange beings, we seem to go free, but we go in chains - chains of training, custom, convention, association, environment - in a word, Circumstance, and against these bonds the strongest of us struggle in vain.” (Mark Twain (Samuel Langhorne Clemens (1835 – 1910) - an American writer, humorist, entrepreneur, publisher, and lecturer)
☺ 호주의 미래학자 말 플레처는 “응집력이란 서로 존중받는 다양성입니다. 나약한 관용 그 이상이랍니다.”
“Cohesion means respectful diversity, which is about much more than the weak-kneed tolerance.” (Mal Fletcher (1957 - ) - a media/social futurist and commentator)
+++++++++++++++++++++++++++++++++++
생명은 유, 무형(有, 無形)의 서로 연결된 유대관계에서 출발한다고 봅니다. 혈연(血緣), 지연(地緣), 학연(學緣), 등등. 우주 만물의 생물, 무생물, 환경, 등등 그 끈의 세기, 정도 등은 맺는 이의 관계(relationship)에 따라 정해지겠지요. 그 관계의 고리가 잘못 연결되어 ‘members only’ 유대가 되어서는 안 되지요.
고(故) 최인호 작가는 그의 책 ‘인연’에서 “그대, 억겁의 세월을 건너 나에게 온 사람아”
“우리 모두는 밤하늘에 떠 있는 별이다. 이 별들이 서로 만나고 헤어지며 소멸하는 것은 신의 섭리에 의한 것이다. 이 신의 섭리를 우리는 ‘인연’이라고 부른다.
인생의 밤하늘에서 인연의 빛을 밝혀 나를 반짝이게 해준 수많은 사람들, 그리고 삼라와 만상에게 고맙고 고맙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
좋은 유대관계를 맺고 유지하십시오. 최후의 순간 남는 것은 좋은 인연이요 유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