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 명예, 존중: 榮光, honor(glory, kudos, privilege), 光荣[guāngróng], えいこう, gloire[glwaːʀ](laurier, auréole[ɔ[o]ʀeɔl]), gloria/aureola, Glorie/Herrlichkeit
☺ 2005년 Stanford대학교 졸업 축사에서 Steve Jobs는 “세계적인 대학 졸업식에 제가 여러분과 함께해서 영광입니다. 저는 대학을 졸업하지 못했습니다. 진실로 말하면 대학 졸업식에 처음으로 이렇게 가깝게 접해 보네요. 오늘 내 삶에 대한 세 가지 얘기를 하고 싶군요.”
“I am honored to be with you today at your commencement from one of finest universities in the world. I never graduated from college. Truth be told, this is the closest I’ve ever gotten to a college graduation. Today I want to tell you three stories from my life.” (Steve Jobs at 2005 Stanford Uni. commencement speech)
☺ 고대 그리스 비극시인인 Sophocles는 “사기로 성공하느니 명예롭게 실패하라.”
“Rather fail with honor than succeed by fraud.” (Sophocles)
☺ 영국 수상 W. Churchill은 “모든 위대한 일은 단순하다. 한마디로 표현하건대, 자유, 정의, 명예, 의무, 자비, 희망이다.”
“All the great things are simple, and many can be expressed in a single word: freedom, justice, honor, duty, mercy, hope.” (Winston Churchill)
☺ 미국 강연자요 정치인인 Les Brown은 “빈틈 없이 약속을 존중하라.”
“Honor your commitments with integrity.” Les Brown (1945 - ) - an American motivational speaker, author, radio DJ, former television host, and former politician.
☺ “덕을 심은 자에 영광이 돌아온다.”
“Who sows virtue reaps honor.” Leonardo da Vinci (1452 – 1519)
☺ 미국 축구 코치였던 J. Paterno는 “명예롭지 못한 성공은 양념하지 않은 음식 같아 배고픔은 면하지만 영 맛이 없지요.”
“Success without honor is an unseasoned dish; it will satisfy your hunger but it won’t taste good.” (Joe Paterno (1926 – 2012) - an American college football player, athletic director, and coach.)
☺ 속담이 이르길 “명예로운 사람들과 어울리고 싶거든 자신을 명예롭게 여기시오.”
“Be honorable yourself if you wish to associate with honorable people.” Proverb
☺ 미국 4성 장군이요 조지 부시 행정부 국무장관을 역임했던 C. Powell은 “ 리더는 그의 핵심 가치를 존중하지만 융통성 있게 수행한다.”
“Leaders honor their core values but they are flexible in how they execute them.” Colin Powell (1937 - ) - an American statesman
☺ “나의 자긍심은 엄청나지, 왜냐면 나 자신을 명예롭게 여기기 때문이지.”
“My self-esteem is high because I honor who I am.” (Louise Hat) Bunny ear hat.
☺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신학자인 폴 틸리히는 “외로움은 혼자라는 고통으로 표현되고 고독은 홀로 존재하는 영광을 표현한다.”
“Loneliness expresses the pain of being alone and solitude expresses the glory of being alone.” (Paul Tillich (1886 – 1965) - a German-American Christian existentialist philosopher.)
(Loneliness is marked by a sense of isolation. Solitude, on the other hand, is a state of being alone without being lonely and can lead to self-awareness.)
☺ “참을성은 힘든 일을 참고해내기보다 그 일을 영광으로 바꾸는 능력이다.”
“Endurance is not just the ability to bear a hard thing, but to turn it into glory.” (William Barclay (1907 – 1978) - a Scottish author, radio and television presenter, professor)
☺ 영국의 시인이자 교회음악 작사가인 W. Cowper는 “이기적인 원칙 위에 세운 영광은 수치스럽고 죄악이다.”
“Glory, built on selfish principles, is shame and guilt.” (William Cowper (1731 – 1800) - an English poet and hymnodist.
☺ 로마 마지막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아침에 일어날 때 살아있고, 숨 쉬고, 생각하고, 즐거워하고, 사랑하는 귀중한 특권을 누리는지 생각하라.”
“When you arise in the morning, think of what a precious privilege it is to be alive - to breathe, to think, to enjoy, to love.” (Marcus Aurelius (121 – 180 AD) - Roman emperor from 161 to 180)
++++++++++++++++++++++++++++++
사전에 Honour-즉 명예, 영광, 존중, 우등이 내포(內包)하는 근간(根幹, 뿌리, 바탕)에는 존경(respect), 뿌듯함(being proud), 그리고 정직(honesty)이 자리하고 있다. 윌리엄 쿠퍼가 전하는 대로 “이기적인 원칙 위에 세운 영광은 수치스럽고 죄악이다.”라고 하지 않는가.
자화자찬(自畵自讚)으로 자기의 명예를 드높이고자 하는 소인배(小人輩)가 너무나 넘쳐흐르는 것 같아 씁쓸하다.
‘하루를 살아도 명예롭게 살아라.’ ‘그 자리가 뭐라고 양심을 팔려고 하나.‘
너무 작은 것일 수도 있지만 오래전 캘리포니아대학교 재학 시 최고 학점은 4.0이다. 평점(G.P.A; grade point average)이 A 학점이면 4.0이다. 그러나 성적표에 학점을 보면 A⁺가 있다. 그것은 평점에 계산되지 않은 honour 학점이다. 이왕이면 4.3 만점(straight A’s)으로 표시해 주면 안 될까? 명예를 실리보다 앞세우기 때문 아닐까?
여러분이 당사자라면 무엇을 받고 싶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