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介人庭園

개인정원

숲과 함께하는 하룻밤의 평화가 있는 곳

수진정원

자연은 기다림을 통해 사람과 물들어 가는 것이다.

자원과 함께 한숨 머물렀다 갈 수 있는 곳
자연과 동물, 모든 생명체가 한 곳에서 숨쉬며 살아가는 정원

01.jpg

 

 

대개 정원이란 잠깐의 머무름을 위한 공간이기에, 떠난 후의 여운 또한 길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런 점을 놓고 보아, 정원과 함께 숙소를 갖추고 있는 ‘수진정원’은 느긋한 머무름으로 쌓은 시간이 더욱 긴 여운으로 이어진다는 점이 장점이자 핵심이라 할 수 있다. 더불어 10kg 이하의 소형 반려동물까지도 출입이 가능하다고 하니,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도 함께 정원을 보고 즐길 수 있다는 점이  ‘수진정원’ 의 매력이라 할 수 있다.

이번에는 ‘수진정원’ 류여정 대표와의 인터뷰를 통해 숙박과 정원을 같이 운영하게 된 이유와 자연과 반려동물에 얽힌 이야기까지 다양하게 들어보는 시간을 가졌다.

 

 

02.jpg

 

 

Q. 정원을 만들게 된 계기

A. 처음 시작은 600평의 넓은 대지에 집을 짓고 나서 생긴 빈 땅에 꽃을 좋아하던 남편이 20대에 살던 집에 심었던 나무를 옮겨와서 심은 것이었습니다. 해마다 피는 꽃을 보고 제가 더 꽃을 늘리자고 제안했고, 그렇게 조금씩 나무들을 심은 것이 지금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

 

Q. 정원 이름의 유래

A. 남편 이름(이수관)의 ‘수’자와 진주의 ‘진’을 붙여 ‘수진정원’ 이 되었습니다. 고향이 부산인 남편이 처가인 이곳 진주에 터를 잡고 정원을 만들고 싶어한 뜻을 담은 이름입니다.

 

 

03.jpg

 

Q. 정원 아이템 중 가장 애착이 있는 것과 가장 신경 쓴 포인트를 각각 말씀해 주세요.

A. 황토벽돌을 깔아서 만든 원형 휴식 공간이 의자에 앉아서 정원의 꽃들을 바라보면 행복해지는 장소라서 가장 애착이  가는 곳입니다.
이와는 별개로 피고 지는 꽃들의 자연스러움이 정원에서 가장 신경 쓴 포인트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정원을 가꾼다는것은 시간과 기다림이 필요한것 같습니다. 식물도 사람도 천천히 스며들게 되는것 같아요. 그래서 단지 피었을 때만 아름다운 것이 아닌, 자연의 흐름에 의해 꽃이 지는 것 또한 자연스러운 아름다음이 되길 바랐습니다.

 

Q. 정원숙소라는 개념이 생소한데...?

A. 저는 내동면 유수리에서 태어나 중, 고등, 대학, 직장까지 이곳 진주에서 생활했습니다. 전문직으로 워킹맘으로 쉬지 않고 달려오다 40대 말 어느 순간 고향에 살고 싶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렇게 찾은 땅이 내동면 독산리 산강마을입니다.
집을 짓기도 전부터 갖가지 어려움을 겪었고, 처음 계획과는 다르게 60평 단독주택을 짓게 되었습니다. 부부 두 사람만 살기엔 큰 집이라 생각했고, 진주를 찾는 여행자들에게 정원 속에서 휴식과 힐링을 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여유공간을 농가민박으로 준비하였습니다.

 

04.jpg

 

Q. 텃밭과 반려동물에 관해

A. 600평의 큰 면적이라 처음에는 고추, 고구마, 콩 등의 농사로 시작했는데 상품으로 만들기에는 한계를 느꼈습니다. 그러다 블루베리 120주를 심게 되었고, 6월엔 블루베리 따는 체험도 할 수 있고, 건강에도 좋은 먹거리라 계속 하고 있습니다.
시골로 오기 전, 뜻하지 않은 교통사로고 10년 이상 함께 해온 반려견이 무지개 다리를 건너게 된 일이 있었습니다. 죄책감에 슬픈 시간을 보내던 중 어린 차우차우를 분양받아 키우던 후배가 자꾸 커져가는 덩치를 감당하지 못해 저희 부부가 이 차우차우를 입양하게 되었고, 농가 민박을 준비하게 되면서는 자연히 반려견 동반가능 숙소가 되었습니다.
반려견 전용 숙소가 아니라서 10kg 이하의 소형견만 허용하고 있지만, 저 또한 반려견과 함께 하고 싶은 여행자분들의 마음을 이해하기에 기쁜 마음으로 함께 맞이하고 있습니다.

 

 

05.jpg

 

 

Q. 정원 조성에 대한 앞으로의 목표

A. 끊임없이 가꾸고 더욱 알차게 조성해 보는 게  소망이자 목표입니다. 조금만 소홀하면 꽃과 나무가 병충해와 잡초의 제물이 되기 때문에 정원을 꾸미는 것은 자신과의 부단한 싸움인 것 같습니다.

 

Q. 예비 정원주 분들께 한마디

A. 처음에는 작게 주변에 쉽게 보이는 나무나 꽃들로 시작해서 그 지역의 기후에 맞는 식물을 선택해 폭을 넓혀 나가고, 많은 분들의 정원을 구경하다 보면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정원 주소내동면 독산리 789 문의전화010-2591-4798
정원 주소내동면 독산리 789
문의전화(010-2591-47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