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介人庭園

개인정원

그림 같은 정원과 정원 같은 갤러리가 공존하는 곳

페레그리노

사람의 마음도 아름답고 붉게 물들어가는 장미 정원

“정원을 가꾸는 것도 인생의 순례다.”
아름답게 수놓은 장미들의 꽃잎처럼 화려하게 개화(開花)한 정원

01.jpg

 

 

‘페레그리노’ 는 다른 어떤 꽃보다 장미꽃에 집중한 것이 특징인 정원이다. 장미는 기독교에서 그리스도의 피에서 유래된 꽃이며 '은총', '자선', '순교' 를 의미하기도 하며, ‘페레그리노’ 라는 정원 이름이 ‘순례자’라는 뜻을 담고 있다. 이처럼 '페레그리노'는 지금까지 방문한 그 어떤 곳보다도 이름부터 꽃의 선정까지 컨셉이 매우 뚜렷한 정원이라 할 수 있겠다.

 

‘페레그리노’ 김규리 대표와의 인터뷰를 통해 어떤 이유로 장미를 집중적으로 가꾸기 시작했는지, 그리고 정원에 대한 본인만의 철학과 역사를 듣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02.jpg

 

 

Q. 정원을 만든 계기와 이름의 유래

A. 나만의 정원을 가지는 것이 원래 나의 꿈이었고 로망이었다. 은퇴 후에 조그마한 갤러리를 하나 가지고 싶어 지금의 정원이 있는 땅을 8년전에 구입하였고 재작년부터 본격적으로 정원을 건설하기 시작했다. 정원을 건설하면서도 내가 계획하고 있는 컨셉이랑 정원의 구조를 계속 머릿속으로 구상하고 있었고 지금의 정원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페레그리노’ 라는 말은 스페인어로 ‘순례자’ 라는 뜻을 담고 있다. 정원을 가꾸는것도 우리 인생의 순례가 아니지 않나 생각한다.
사실 정원을 붙일 이름을 여러 가지 찾기는 했는데 정원 안에 갤러리도 있고 해서 너무 가벼운 이름 보다는 좀 진지한 뜻이 담겨있는 정원 이름이 어울릴 것 같아서 선택하게 되었다.

 

Q. 정원을 꾸밀 때 제일 강조한 포인트

A. 유럽 스타일 정원을 겨냥하고 꾸몄기 때문에 당연히 장미가 제일 핵심 포인트이다. 그렇기에 가끔씩 방문하는 사람들이 유럽 정원 같다고 이야기 할 때 뭔가 내가 원했던 정원의 컨셉을 알아봐주는 것 같아서 뿌듯한 느낌이 들 때도 있다.

 

Q. 정원을 꾸밈으로서 생기는 장점

A. 사실 정원을 꾸미는게 내 만족을 위해 꾸미는 것도 있지만 이런 땅을 만지고, 나무를 심고, 식물을 이렇게 보살피게 되면서 느끼는 건 사람들과의 소통도 좋지만 식물들과의 소통을 통하면서 식물들이 이런 보살핌에 대한 답을 줄 때, 그런 점이 정원을 가꾸는데 있어서 장점이나 큰 보람이 아닐까 생각한다.

 

 

03.jpg

 

 

Q. 유리온실이 특히 눈에 띈다.

A. 사실 정원에 유리 온실을 두는 것이 개인적인 로망 중 하나였다. 지금도 유리 온실은 유용하게 이용하고 있는데 월동이 안되는 식물들을 유리 온실로 옮겨서 내년 봄까지 가꿀 수 있고 가끔씩 지인들이랑 유리 온실에서 식사도 하면서 여러 방면으로 잘 활용하고 있는 건물 중 하나다.
꼭 집안으로 들어가지 않더라도 야외 공간에서 누릴 수 있는 온실이 있다는게 참 좋은 것 같다.

 

Q. 카페 내 전시관을 운영하게 된 계기는?

A. 사실 미술쪽에 큰 관심은 없었지만 이것도 애초에 정원 및 건물을 건축하면서 계획한 프로젝트 중 하나였다. 처음 정원을 가꾸기 시작할 때부터 ‘정원이 있는 갤러리’를 목표로 잡고 가꾸어 나가기 시작했다. 갤러리는 딱히 장르를 가리지 않고 작가분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며 사람이 제일 많이 정원에 방문하는 5월에는 내년, 내후년까지 이미 전시를 원하는 작가분들의 그림이 풀로 예약이 꽉 차있을 정도다.

 

 

04.jpg

 

 

Q. 정원이나 원목과 같은 자연분위기의 장점

A. 요즘 ‘힐링’ 이라는 단어를 많이 쓰는데, 굳이 힐링이란 말을 안 쓰더라도 자연과 정원에서 오는 위로와 위안 그리고 치유 같은 것들은 식물이 자라면서 꽃을 보여주고 또 겨울이 되면 얘네들이 동면에 들어가서 봄 되면 또 올라오고, 이런 것들을 관찰하고 만지고 하는 것 자체가 우리 인생에서 가장 큰 행복을 주는 요소이자 장점이라고 생각한다.

 

Q. 앞으로의 목표와 하고 싶은 말

A. 아직까지 별다른 목표는 없지만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아직 내가 접해보지 못한 식물들을 한번 심어보고 싶다.
아무것도 없이 이루어지는 정원은 없다고 생각한다. 땅만 가지고 있다고 해서 정원이 이루어지는게 아니라 내가 어떠한 취향을 가지고 있는데, 나의 성향이 어떤지, 내가 뭘 좋아하고, 내가 뭘 하고 싶은가에 대해 가지고 있어야지만 정원을 만들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고 생각한다.

정원 주소경남 진주시 평거동 1083-6 문의전화010-6740-7003
정원 주소경남 진주시 평거동 1083-6
문의전화(010-6740-7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