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INJU
NAMGANG
YUDEUNG
EXHIBITION HALL
도면 속 번호를 클릭 시
해당 전시 정보가 안내됩니다
세부적인 주요 전시 정보를 알고 싶은 분은
스크롤 해서 아래 정보를 확인해주세요.
계단전시
대한민국 등 공모대전 역대 수상작
「대한민국 등(燈) 공모대전」은 진주의 대표 축제인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세계화와 함께 국내 전통공예의 발전을 위해 마련된 등(燈) 공모전이다. 2014년을 시작으로 매년 개최되고 있으며, 등 제작에 관심 있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는 ‘열린 공모전’이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있다. 계단전시 공간과 로비 복도에는 2014년부터 2022년까지 역대 「대한민국 등(燈) 공모대전」 수상작과 함께 올해 수상한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이번 해 대상을 받은 위세복 작가의〈일월〉은 진주를 대표하는 역사적인 인물 ‘김시민 장군’과 ‘논개’를 형상화한 작품이다. 특히 철 프레임의 라이트 패널 위에 바느질 하듯 실을 중첩 시켜 표현한 김시민 장군의 초상은 위치에 따라 이미지의 지각 여부가 달라져 재미를 더한다.
유등전시 1
희망의 강, 빛을 띄우다(미디어 영상)
유등전시 1관의 「희망의 강, 빛을 띄우다」는 임진왜란의 폐허에서 삶의 터전을 다시 일구고 문화예술도시의 꽃을 피워 미래로, 우주로 나아가는 진주문화의 전성기를 표현하였다. 왜장을 끌어 안고 투신한 의기 논개의 물방울, 푸른 물결의 진주 남강을 가로지르는 희망의 돛단배 위 촉석루, 진주 태생의 서양화가 이성자 화백의 작품에서 볼 수 있는 상징 요소 등과 함께 거울로 둘러 싸인 전시공간은 영상의 몰입감을 한껏 높여준다.
실크 소망등 터널
빛, 사랑으로 나리다
「빛, 사랑으로 나리다」의 실크 소망등 터널은 ‘진주 실크’로 만든 실크 등 터널이다. 진주 실크등은 2023년 브라질 상파울루 한국문화원에서도 전시된 바 있는데, 당시 많은 관람객의 눈길을 사로잡으면서 현지 언론에서도 주목하는 등 높은 관심을 실감하게 했다.
미디어전시실
유등의 연원(애니메이션)
유등(流燈)은 등(燈)을 물에 띄워 보내는 것으로, 그 연원은 임진왜란 진주성전투에 있다. 1592년 10월 진주목사 김시민 장군과 3,800여명의 군사들은 진주성을 침공한 2만명의 왜군에 맞서 6일간의 제1차 진주성 전투에서 크게 승리했다. 이듬해인 계사년(1593)에 왜군은 보복하고자 총공세를 펼쳤고 수성군과 진주시민은 최후까지 항전하게 된다.
이듬해 1593년 6월 진주성은 재침공한 10만 왜군에 점령당했다. 진주사람들은 현재까지 이 일을 계사순의(癸巳殉義)로 기리고 있으며 당시 순국한 7만명의 넋을 추모하기 위해 남강에 등을 띄웠다. 이 전통이 이어져 오늘의 진주남강유등축제로 자리 잡았다.
매년 10월이면 진주성 촉석루 밤하늘에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시작을 알리는 불꽃놀이가 시작된다. 진주남강유등축제에 마련된 모든 등에 처음으로 불을 밝히는 초혼점등 행사이다. 수백만명의 관람객이 하나가 되어 신호를 하면 화려한 불꽃놀이와 함께 남강의 유등은 일제히 불을 밝힌다. 전쟁의 폐허에서 기적처럼 되살아난 이 땅에 평화를 기원하는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시작이다.
임진·계사년 진주성전투에서 순절한 7만의 넋을 추모하는 것에서 기원한 <진주남강유등축제>는 해가 갈수록, 더욱 화려하고 아름답게 남강을 수놓는다. 진주시의 중심을 따라 흐르는 남강은 형형색색의 유등으로 빛나고, 그곳에 각자의 소원을 담은 등에 불을 밝히면 남강은 어느새 소원으로 향하는 길이 된다.
진주남강유등축제는 세계축제도시 진주의 역사성을 브랜드화한 대민한국 최초의 야간축제이다. 진주성과 남강에 다양한 주제를 담은 화려한 유등을 선보이고, 드론 라이트쇼, 미디어 아트쇼 등 다양한 콘텐츠와 추억의 유등띄우기, 소망등 달기 등 다채로운 체험행사로 해를 거듭할수록 풍성하게 치러진다.
키즈라운지
놀이하며 상상하는 유등정원
정진경 <나빌레라>, 2023, 혼합재료, 가변설치
정진경 작가의 〈나빌레라〉(2023)는 동화 속에 들어온 듯한 상상을 불러일으킨다. 반짝반짝 빛나는 빛과 함께 감상을 넘어 오감으로 체험해보면서 예술적 상상력을 자극한다. 따스하게 품어줄 수 있는 곳, 동화 속 정원에서 나비처럼 날아올라 동심의 나래를 마음껏 펼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