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불상은 용암사지(龍岩寺址)내 승탑(僧塔)과 함께 남아 있는 것으로 방형대좌(方形臺座) 위에 결가부좌(結跏趺坐)하고 있다.
얼굴은 오른쪽이 파손되었으나 눈가에 어린 미소는
이 불상은 용암사지(龍岩寺址)내 승탑(僧塔)과 함께 남아 있는 것으로 방형대좌(方形臺座) 위에 결가부좌(結跏趺坐)하고 있다.
얼굴은 오른쪽이 파손되었으나 눈가에 어린 미소는 불성을 충분히 느끼게 해 준다. 머리 부분은 지장보살(地藏菩薩)이 두건(頭巾)을 쓰고 있는 것처럼 조각하였다. 법의(法衣)는 통견(通肩)으로 매우 사실적으로 표현하였으며 가슴 앞을 넓게 파지 않아 인도식(印度式)의 착의법(着衣法)임을 알 수 있다. 두 손은 가슴 앞에서 맞잡고 있어 지권인(智拳印)을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하체는 무릎 일부가 파손되었으나 전반적으로 마멸이 심한 편은 아니다. 따라서 전체적인 조각수법으로 보아 고려시대(高麗時代)의 작품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