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번역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동 번역중입니다. 번역이 정확하지 않을 경우가 있습니다.
It is under automatic translation using Google translation system. The result may not be accurate.


물어보세요!진주톡포유
참진주 Today닫기보기
참진주 Today
현재 시각 AM 02:41 2025/05/03 Sat
관심정보를 설정해보세요.맞춤진주 TOP

진주 성전암 목조여래좌상(晋州聖殿庵 木造如來坐像)

이미지 갤러리

  • 명칭 : 진주 성전암 목조여래좌상(晋州聖殿庵 木造如來坐像)
  • 주소 : 이반성면 장안로 65번길291(성전사) 길찾기 복사
  • 관리기관 : 문화예술과 문화유산팀
  • 전화번호 : 055-749-5312
  • 이용료 : 전화문의 바람
  • 문화유산지정 :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
  • 이용시간 : 전화문의 바람

소개

성전사 대웅전에 봉안된 이 여래상(如來像)은 높이 60㎝, 폭 43㎝의 나무로 만든 조그만 불상이다. 전체적으로 불상의 상태는 아주 양호한데, 머리에 상투모양〔肉髻〕과 구슬〔髻珠〕

성전사 대웅전에 봉안된 이 여래상(如來像)은 높이 60㎝, 폭 43㎝의 나무로 만든 조그만 불상이다. 전체적으로 불상의 상태는 아주 양호한데, 머리에 상투모양〔肉髻〕과 구슬〔髻珠〕이 표현되어 있고 입은 꼭 다문 모습이다. 옷자락(法衣)은 양쪽 어깨에 걸쳐서〔通肩〕 U자 모양으로 흘러내리고 있다. 손 모양은 아미타여래의 9가지 손 모양〔阿彌陀九品印〕중 하품중생인(下品中生印)을 연출하였다.

불상의 배 안에서 불상을 만들 때 남긴 기록과 경전 등이 발견되었는데, 그 기록에 따르면 이 불상은 1644년(인조 22)에 조성되었다고 한다. 따라서 이 불상은 제작 연대를 정확히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조선 중기의 불상을 연구하는데 아주 중요한 자료이다.

성전사는 879년(신라 헌강왕 5)에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창건한 절이다. 도선은 우리나라를 풍수지리상으로 해석하여 백두산의 정기가 백두대간(白頭大幹)을 타고 내려오다 한강(漢江) 이북인 서울 삼각산(三角山)에 한 지맥이 머물렀고 남강(南江)의 물을 끼고 있는 여항산에 와서 다른 한 지맥이 맺혔다고 보았다. 그리하여 도선은 이곳에 암자를 짓고 ‘성인이 살던 곳’이라는 뜻으로 ‘성전암’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이후 절의 내력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인조가 능양군(綾陽君)으로 있을 때 이곳으로 피신하여 국난 타개를 위해 백일기도를 올린 뒤 왕위에 올랐다고 전한다. 이 절은 이것을 기리기 위해 인조각(仁祖閣)을 세웠으며, 오늘날까지도 제향(祭享)을 올리고 있다.


페이지담당 :
문화유산과 유산관리팀
전화번호 :
055-749-5312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십니까?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