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번역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동 번역중입니다. 번역이 정확하지 않을 경우가 있습니다.
It is under automatic translation using Google translation system. The result may not be accurate.


물어보세요!진주톡포유

진주 두방사 다층석탑(晉州 杜芳寺 多層石塔)

이미지 갤러리

  • 명칭 : 진주 두방사 다층석탑(晉州 杜芳寺 多層石塔)
  • 주소 : 문산읍 동부로 781(두방사) 길찾기 복사
  • 관리기관 : 문화예술과 문화유산팀
  • 전화번호 : 055-749-5312
  • 이용료 : 전화문의 바람
  • 문화유산지정 :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
  • 이용시간 : 전화문의 바람

소개

두방사 다층석탑(杜芳庵 多層石塔)은 본래 신라시대(新羅時代)에 창건되었다고 전하는 이웃의 법륜사(法輪寺)에 건립되어 있었으나 임진왜란으로 인하여 절이 폐허가 되자 그 터에 남아 있

두방사 다층석탑(杜芳庵 多層石塔)은 본래 신라시대(新羅時代)에 창건되었다고 전하는 이웃의 법륜사(法輪寺)에 건립되어 있었으나 임진왜란으로 인하여 절이 폐허가 되자 그 터에 남아 있던 그 석탑을 일제시대에 현재의 위치로 옮겨왔다.

이 석탑의 재료는 점판암이다. 점판암재 석탑은 석재의 돌 빛이 푸른색을 띠어 일명 청석탑(靑石塔)이라고 하는데 석질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탑신은 상자와 같이 되고 옥개석(屋蓋石)은 한 장으로 되어 얇고 작은 석재로 차곡차곡 쌓은 것 같은 소형탑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제약에서 이루어진 청석탑은 다른 탑에 비해 외관상 전혀 다른 느낌을 주게 되는데, 기단만은 대부분 화강암으로 조성된 것 역시 석재의 견고성 때문이라 하겠다. 청석탑은 주로 통일신라(統一新羅) 말기부터 조성되기 시작하여 고려시대(高麗時代)에 유행하는데 해인사(海印寺) 원당암(願堂庵), 금산사(金山寺)의 청석탑이 대표적 예에 속한다.

이 석탑은 각 옥개를 4각으로 처리하여 해인사(海印寺) 원당암(願堂庵) 다층 석탑과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그 재료와 각 부재의 결구방식이 특수하여 주목되고 있다.

간혹 이 탑을 13층 석탑으로 보는 견해가 있는데 이것은 잘못된 견해로 연화문이 새겨진 기단부의 갑석(甲石)까지도 옥개석으로 보고 층수에 포함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다른 탑재가 더 있었을 가능성도 없지 않으나 현재의 상황으로는 9층으로 보는 것이 옳다 하겠다. 다른 청석탑에 비해 보존상태가 매우 양호한 탑이며, 이 탑의 건립시기는 청석탑이 유행하던 고려시대(高麗時代) 초기의 수작으로 추정된다.

주변 정보

관광지


페이지담당 :
문화유산과 유산관리팀
전화번호 :
055-749-5312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십니까?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