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혈액 속에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같은 지방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를 뜻하며 심뇌혈관질환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됩니다.
(단위:mg/dL)
구 분 | 정상 수치 | 위험 수치 |
---|---|---|
총 콜레스테롤 | 200 미만 | 240 이상 |
중성지방 | 150 미만 | 200 이상 |
고밀도 콜레스테롤(HDL) | 40~60 이상 | 40 미만 |
저밀도 콜레스테롤(LDL) | 130 이하 | 160 이상 |
※ 12시간 공복 후 혈액검사 실시
구 분 | 정상 수치 | 위험 수치 |
---|---|---|
어육류 및 해물류 | 어류, 콩류, 두부, 조개류, 게, 해조류, 지방을 제거한 살코기와 껍질을 제거한 닭고기 | 지방이 낀 육류, 갈비, 삼겹살, 곱창, 소시지, 베이컨, 새우, 낙지, 오징어, 햄 |
우유 및 유제품 | 저지방 우유, 저지방 요거트, 저지방 치즈 | 어란, 크림, 초콜릿, 아이스크림 |
난류 | 달걀 흰자 | 달걀 노른자 |
유지류 | 대두유, 참기름, 들기름, 마가린, 올리브유, 견과류 | 버터, 돼지기름, 쇠기름 |
곡류 | 통밀빵, 강냉이 오트밀 | 크림빵, 도넛, 케이크, 라면, 스낵 |
채소 및 과일류 | 모든 생과일과 채소류 | 버터나 크림 및 마요네즈를 곁들인 채소 |
레몬, 귤 오렌지, 그레이프 후르츠(자몽)등의 감귤류 | (비타민C, 이노시돌 등) |
---|---|
땅콩, 아몬드, 호두 등의 견과류 | (비타민E, 베타카로틴 등) |
곶감, 풋콩, 황마, 우엉 등의 섬유질 식품 | (섬유질 등) |
당근, 토마토, 호박, 시금치, 피망 등의 녹황색 채소 | (비타민C, 베타카로틴, 비타민 E 등) |
정어리, 고등어, 꽁치 등의 등푸른 생선류 | (EPA, DHA, 오메가-3 등) |
딸기, 블루베리, 로즈베리, 블랙커렌트 등의 딸기류 | (색소, 성분, 비타민C, 폴리페놀의 일종인 안토시안 등) |
오징어, 낙지, 굴, 모시조개, 참치 등의 어패류 | (타우린 성분 등) |
청국장 | (나토키나제-혈전 용해 작용) |
현미, 보리 | (섬유질, 비타민E, 설레늄, 페놀, 비타민B1, 비타민B2 등) |
은행잎 추출액 | (플라보노이드, 징코라이드, 테포닌 등) |
식사조절, 활동량 늘리기 등의 비약물요법 후에도 콜레스테롤 수치가 충분히 저하되지 않을 경우는 지질 강하제를 복용하면서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도록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