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어보세요!진주톡포유

검암리(檢岩里)

검암리는 본래 진주군 송곡면(松谷面)과 금동어면(金冬於面)의 지역으로 마을 어귀에 큰 바위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 하며 바위의 이름은 검바위 또는 검암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송곡면 송곡동(松谷面松谷洞)·홍정동(鴻亭洞), 금동어면 검암동(金冬於面檢岩洞)·가토동(佳吐洞) 각 일부로서 검암리(檢岩理)라 하고 오늘에 이르며 바위는 아직도 남아 있다.
검암리는 엄정, 운문, 차현, 신담 4개 마을이 있고 다시 엄정에 화박골, 나래골이 딸려 있고 운문에 오도방, 오도실, 운수동이 있다. 차현은 수레재와 서삼이로 나누어지고, 신담은 거문당과 더불어 두 마을을 이룬다.

엄정(嚴停)

엄정은 옛날 엄씨가 살았다고 하여 엄정이라 불렀다고 한다. 한편으로는 마을 앞에 큰 정자가 엄히 서 있었기에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도 있다. 현재 살고 있는 하씨는 영조시대 운문 큰댁에서 초계공(草溪公)이 처음으로 분가하여 살기 시작하였고 반(潘)씨가 그전부터 살았다고 한다. 류(柳)씨는 100 년이 조금 넘었고 정(鄭)씨는 100 년도 되지 않는다.

체봉골(替封谷)

문자 그래도 봉분을 계속 바꾸어 만들었다는 뜻에서 생긴 이름이다. 이 골은 엄정 바로 위 동쪽에 위치한 골로서 옛날에 돌림병이 들면 한 마을에 많은 사람이 희생되었다. 병에 죽은 사람은 바로 산소를 못 만들고 일정한 장소에 묻었다가 일정한 기간이 지나서야 다시 매장하고 산소를 썼으므로 붙여진 이름이다. 체봉골이란 말로서 당시의 시대상을 알 수 있다.

양목골(羊牧谷)

체봉골 동쪽 위에 있는 골이다. 엄정 맞은 편에 사는 형제가 양목골에 와서 염소를 길렀다는 전설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양목골에는 옛날에 큰 소나무가 쟁반 같은 형상을 하고 있어서 반송정이란 이름이 붙여졌다 하고 그 유래로 인하여 반송정(盤松亭)이란 이름이 전한다.

화박동(和璞洞)

일명 화박골이라고도 한다. 엄정 마지막 안골이다. 화박(和璞)이란 본 뜻은 다듬지 않은 옥돌이 잘 어울렸다는 뜻이므로 화박에는 많은 인재가 날 것이라는 암시가 내포되어 있다. 한글학회 발행 지명총람의 花朴은 오기이다. 화박에는 옛날에 사람이 살지 않았다고 하며 약 백오십년 전에 비로소 엄정에 살던 하석현(河碩顯)이 처음으로 마을을 이루어 열집이 넘도록 살았으나 지금은 한집이 살고 있을 뿐이다. 일제 말기에 만든 소류지로서 화박저수지가 있다.

용당골(龍당谷)

용이 살던 못이 있었다는 뜻에서 전해진 이름이다.

희농골

일명 백룡골 또는 백룡곡(白龍谷)이라고도 하다. 옛날에 흰룡이 살았다는 전설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한글학회 발행 지명총람의 히농골은 한문을 모르는 사람들이 아무렇게나 부르는 이름을 본떠서 붙인 오기로 추측된다. 엄정 맞은편 남쪽 골짜기이다.

성지골

마을 맞은편에 있는 골이다. 형제가 살았다는데서 유래하며 성지란 형제의 방언이다.

라학동(羅鶴洞)

통칭 나래골 또는 나리골이라고 불리어지고 있다. 학이 나래를 편다는 듯이므로 나래골이라고 불러야 맞는 말이다. 행정상으로는 검암리에 속하고 외부에 알려지기는 엄중부락으로 통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엄정마을과 두문마을 중간에 위치한 독립된 마을이다. 옛날 어느 선인이 말하기를 마을의 형국이 학이 나래를 펴는 것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학이 나래를 편다는 것은 착지와 비상의 준비가 되어있다는 뜻이다. 다시 말하면 학은 폭풍우가 일면 은인자중(隱忍自重) 칩거할 것이며 화창한 좋은 날씨면 총공을 높이 비상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는 난세일 때는 있는 듯 없는 듯 숨어있지만 평화가 와서 태평성세가 되면 그 이름이 사방에 떨치는 위인이 태어날 것이고 또한 나래를 편다는 뜻은 알을 품었다는 뜻과도 통하여 자손이 대대손손 번창하여 후세에 널리 이어진다는 전설이 전하여온다. 그런지 몰라도 다른 자연부락은 해방 후 인구가 계속 줄어들었으나 나래골만은 계속 늘어서 해방당시보다 3배 가량 많다. 전설로는 나래골은 맨손으로 들어와도 부를 쌓고 자손이 번창한다고들 한다. 약 2백전 전에는 부자가 살았다는전설도 있다. 나래골에는 다시 네 개의 골이 있다. 「여시골」의 여시는 여우의 방언이다. 여우가 살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옛날 안쪽에 절이 있었다 하며 지금도 기왓장과 그릇이 출토되곤 한다. 「진골」은 길다는 방언으로 골이 길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짜린골」은 골이 짧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갓골」은 사람이 쓰는 갓과 같이 생겼다 하여 갓골이라 하고 갓골 위의 산을 관산(冠山)이라 부른다.

돌라리거리

엄정마을 앞에는 엄정장터가 있었다. 장터의 일부는 강바닥이 되고 일부는 논이 되었다. 여기를 지나는 길이 영천강을 건너는데 강에는 돌 징검다리가 있었다. 지금도 강바닥에는 풀무질한 쇳덩이가 대장간 터에서 나온다.

사구정(砂丘亭)

엄정에서 나오는 개울이 봇도랑을 지나면서 밑으로 모래언덕을 만들었는데 이 모래언덕 위에 정자나무가 있었기에 붙여진 이름이다. 엄정빨래터 맞은편 논을 사구정이라고 통칭한다.

개앙들

사구정들 밑에 있는 낮은 들을 전부 개앙들이라 한다. 큰바위 맞은 편에 물레방아가 있었다. 지금은 메워져서 높아져 물레방아를 설치할 수 없다.

새뻔덕엄정과 나래골 사이의 서쪽 들판이다. 옛날에는 강 사이에 언덕 풀밭이 있었으므로 붙여진 이름이다.

못안들

못안에 있는 들판이란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모담들이라고도 한다. 모담 보와 엄정다리 사이에 큰 보(洑)가 있었을 당시 나래골 앞에는 큰 못이 있었는데 그 못 안쪽에 있는 들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인 듯하다.

운문

운문은 지형이 구름가운데로 학이 나르는 형국이라 하여 운중학설(雲仲鶴說)이라는 말이 전하여 오며 여기에서 연유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운문을 훈을 따서 부르면 구름문이 되므로 통칭 발음상 줄여서 굴문으로 들리고 그렇게 부르고 있다. 학은 고래로 길조이고 부와 귀의 상징처럼 인식되어 왔다. 지금도 많은 학이 군집을 이루며 살고 있다. 운문에는 마을을 지키는 수호신격으로 느티나무가 세 곳에 심기어 있다. 마을 바로 앞에 서 있는 나무는 형이요, 마을 어귀에 있는 나무는 둘째요, 동편에 있는 나무는 막내로 일컬어진고 있다. 또한 뒷산에 있는 서낭당(城낭堂)과 마을 사방에 있는 목신(木神)이 마을을 모든 질병으로부터 지켜준다고 전하여 고고 있다. 특히 백호등(白虎嶝)이 마을을 모든 질병으로부터 지켜준다고 전하여 오고 있다. 특히 백호등을 길게 이어 마을을 보호한다는 뜻에서 느티나무를 심고 장석을 세우고 돌탑을 모았다고 한다. 또한 마을의 상징으로 검암국민학교 뒷편에 백일홍이 있다. 이 나무의 수령은 약 오백년으로 추정되며 마을의 역사를 말하여 준다. 운문의 역사는 하씨 선대 하 순(河淳)이 1414년에 생원한 사실이 있고 그의 며느리 박씨부인이 1470년에 별세하고 세운 비석이 현재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하씨가 600년 정도 살았다고 추정된다. 이 비석은 금곡면에서 가장 오래된 비석으로 역사적 보존 가치가 있다. 마을 앞에는 세 개의 큰 바위가 있다하여 운문을 삼암리라는 말로도 전하여 오고 있다. 하씨의 집성촌이며 역사가 깊은 마을이다.

운수동(雲水洞)

운문 동쪽에 있는 마을이다. 옛날에는 여기가 운문의 본마을 이라는 전설이 있다. 일명 세곡동(細谷洞)이라고도 한다. 운수동은 운문에 사는 하씨들이 진양하씨의 시조이신 시랑공과 선대의 운수당을 모신 운강서원이 있으므로 붙여진 이름이다. 운강서원은 유래는 조선조 연산군시대부터 내려오던 영모재의 새로운 이름이다.

집수골(集水谷)

물이 모인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과연 지금 못이 되어있다. 일명 집시골이라고도 불리어지나 정확한 발음은 집수골이다. 운문 남쪽 맞은편 골이다.

성자골(聖者谷)

성자같이 어진사람이 살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옛날에 윤진사가 살았는데 과연 성인같이 어질었다고 한다. 지금도 기왓장이 나온다.

오도방

운문 남쪽 맞은편 골짜기이다. 하씨가 몇집 살고 있다.

오도실

오도방 바로 밑 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하씨가 몇집 살고 있다. 뒷산의 대나무밭은 금곡면에서 제일 크다. 도곡정(道谷亭)이란 하씨 재실이 있고 하진사 효행비와 정려문이 있다. 도 밖으로 나와 강쪽으로 보면 검암이란 이름이 붙여졌다는 큰 바위가 아직도 남아있다. 언젠가 장사가 지나다가 이(이)를 잡기 위하여 주먹으로 쳐서 바위가 갈라졌다는 전설이 있다. 갈라지면 좋지않다 하여 지금은 시멘트로 붙여놓았다.

범장골

운문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옛날에 범이 살았다는 전설과 범같은 장수가 살았다는 전설이 있다.

둥둥산

집수골 안의 높은 봉우리이다. 멀리서 보면 숲 위에 둥둥 떠 있는 듯 하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란 전설이 있다.

소똥멀렝이

운문에서 소실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옛날 천지 개벽 때에 세상이 물에 다 잠기고 이 산봉우리만 소 똥무더기만큼 남았다는 전설에서 유래되었다 한다.

여지당

운문 바로 뒷산 모퉁이에 있는 돌무덤이다. 서낭당(서낭당)이 있던 자리라 한다.

차현(車峴)

수레가 고개를 넘었다는 말에서 유래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차현은 수레재와 서삼미로 이루어져 있다. 동쪽마을은 수레재요, 서쪽망을은 서삼미이다. 서쪽에 삼미정(三美井)이라는 좋은 우물이 있다하여 서삼미(西三美)란 이름이 붙여졌다 한다. 차현에는 진양강씨가 살았는데 임란때 피난갔다가 돌아오지 못하고 약 이백년간 마을이 비었다고 한다. 그 후 진양정씨, 초계정씨, 문화류씨 삼성이 이주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신담(新潭)

새로 생긴 마을이란 뜻도 있고 신담마을앞의 못이 옛날에는 강이었는데 강이 돌아서 차현 앞으로 흐르면서 새로 못이 생겼다는 뜻도 된다. 옛날에 이 못이 강이었을 때에는 마을이 없었다고 한다. 신담은 거문당과 더불어 두 개의 마을이다. 거문당의 본명은 검소한 집이란 뜻에서 검당(檢堂)이라 하였다 한다. 옛날에 검소한 사람이 살았는데 이 댁을 일러서 검당이라 불렀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한다.

도람산

인담입구에서 가봉으로 가는 길 삼거리 옆에 있는 산이름이다. 위에서 북쪽으로 내려다 보면 산이 돌아 앉은 것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전설로는 도람산이 아니었다면 금곡들이 큰 도읍지가 될뻔 했다는 전설이 있다.

구면소 터

거문당 맨 위쪽에 있는 터로서 행정상 검암리 1197번지이다. 1943년 금곡면 청사가 두문리 594번지로 이전하기 전까지 금곡면 사무소가 있던 집터이다.


페이지담당 :
금곡면
전화번호 :
055-749-3091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십니까?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