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어보세요!진주톡포유

신기리

1914년, 진주군 명석면 동전동(東田洞), 청계동(淸溪洞), 신기동(新基洞)으로서 신기리라 하였다.

신기(新基)

법정리는 동전을 합하여 신기리라하나 지금은 동전은 행정리로 분리되고 솔기만 신기리에 속해있다. 이 마을은 임진왜란때에 정선전씨(旌善全氏)가 처음 들어와서 살았는데, 대단한 부자였다고 한다. 그 뒤를 이어서 진양강씨(晋陽姜氏)와 능성구씨(綾城具氏)들이 들어와 살면서 새마을이라는 촌명이 생겼다고 한다. 솔기는 집현산 발치에 있는 산촌이니 명석면에서 제일 북쪽에 위치한 마을이다. 근년에 마을 북쪽에 큰 저수지가 생기면서 토지가 편입되어 외지로 나간 사람이 있으나, 아직까지 진양강씨, 정선전씨, 나주임씨, 신안주씨등 여러 성씨가 살고 있다.

천고재(千古峴)

신기리에서 산청군 신안면 청현으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일명 청현재라고도 한다. 예전에는 후미치고 산적들이 많아 천명이 모여야 왕래하였다고 한다.

도적곡(盜賊谷)

천고재 옆에 있는 골짜기이다. 이곳을 근거지로 삼아 도적들이 행인들을 약탈하였다고 한다.

무넘이재

산청군 생비량면 한덤이에서 솔기로 넘어오는 높은 고개이다. 옛날 이곳 사람들이 이 재를 넘나들며 진주를 왕래하였다. 전설에 천지개벽시 물이 넘나들었다 한다.

진등재(長嶝자)

집현산에서 신기 길까지 뻗은 등(嶝)이다. 역시 산길로 한덤이로 간다.

집현산(集賢山)

명석면뿐만 아니라, 여러 군(郡)과 면(面)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진산(鎭山)이다. 상여바위, 까마귀등 같은 괴암의 봉우리가 있으며 금을 채광한 금굴도 여러군데 있다.

동전(東田)

동전은 옛날에 서쪽에 있는 광제사(廣濟寺)의 중들이 재를 넘나들며 동쪽 밭에 농사를 지었다는 유래에서 이렇게 불렀다고 한다. 또한 이 마을을 인근에서 삼거리라고도 부르니 북으로 청현고개를 넘어 단계로 가고, 서쪽으로 밤실 고개를 넘어 단성으로 가고, 남으로 진주로 가는 삼갈래 길목임으로 이렇게 부른 것이다. 본 마을외에 서북쪽에 묵방(墨坊)이 있고 동북쪽에 구배골이 있으니, 구배골은 도승이 이곳에 있는 울돌을 보고 절을 아홉 번 하였다는 유래에서 부르게 된 지명이고, 묵방은 옛날에 묵방사(墨坊寺)라는 절이 있어 이렇게 불러온 것이라고 한다. 묵방에서 동남을 바라보면 봉청동 뒷산 위에 초롱바위가 보이니 풍수지리설에 의하면 초롱불빛이 어두운 묵방을 비춰줌으로 동리가 좋다고 한다. 이에 따라 전해오는 이야기가 있으니, 옛날 이곳에 수원백씨(水原白氏)들이 살았는데 중이오면 동량은 안주고 욕만 보였다. 중들이 이에 앙심을 품고 낯모르는 중을 보내어 백씨들을 설유하되 초롱바위를 깨어버리면 더욱 동리가 잘될 것이라 하였다. 백씨들이 이 말을 듣고, 중이 시킨대로 그 바위를 부수어 버렸더니 일시에 망하여 떠나버리고 지금은 다른 성씨가 살고 있으며 동전앞들을 들안이라하고 골배골 앞들을 당산들이라 하니 수원이 좋고 토질이 비옥하여 마늘 등 모든 곡식이 잘된다.

몰터

묵방 앞에 있는 골짜기이다. 옛날 백씨들이 울리고 살때에 말을 매어둔 곳이라고 한다.

큰골

먹방 서편에 있는 골짜기이다. 이 안에 적은 골이 여러 개 있다.

밤실골

먹방 서편에 있는 골짜기이다. 밤실로 가는 재가 있다.

돈대목골

구복동 동북에 있는 골짜기이다. 마을에서 돌아앉은 모습이다.

백중우제(百中牛祭)

민속, 음력 7월 보름날은 명일의 하나로 허물을 대중 앞에 들어 말해 참회를 구하며 여름동안 안거(安居)를 마치고 절에서 재를 올리는 백중날이다. 百種日, 망혼일(亡魂日), 중원(中元) 등으로 불리는 이날은 고래로 남녀가 모여 가무를 즐기며 머슴들도 하루를 쉬며 취홍에 젖을수 있고 그 해에 농사를 잘 지은 집의 머슴을 소에 태워 위로하기도 하는 날이다. 하지만 유독 진양군 명석면 신기리 동전마을과 홍지마을에는 이날이 되면 여느 시골마을과는 달리 예로부터 독특한 형태의 우제(牛祭)가 매년 거행되고 있다. [...광제산 산신령님, 집현산 산신령님, 일월성신이여, 동네방네 제왕님이여, 거리지신님이여 우리동네 우마대마 험한 산길 다니더라도 가시 하나 거리낌 없이 무사하게 해주소서....] 이날이 되면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온 마을 주민들이 정자나무 아래에 모여 음식을 차려 놓고 마을 뒷산에 방목하고 있는 소들이 무사하고 그 해 농사의 풍년은 물론 마을의 평화를 기원하는 우제가가 그것이다. 이날 소를 먹이는 집에서는 자기 집에서 가장 큰 솥뚜껑 크기 만한 전(煎)을 각각 만들어 우제의 제물로 내놓게 되며 주민들은 이 제물을 정성스레 차려놓고 성대한 제례의식을 치른다. 주민들은 돌맹이 투성이 산인 마을 뒷산 광재산에 방목하는 소들이 무사할 수 있도록 기원하며 아울러 그 해 농사의 풍년과 태평성세를 염원하며 제를 마친 뒤 음식 등을 나눠먹고 농악과 더불어 춤과 노래를 즐기며 흥겨운 하루를 보낸다. 제에 앞서 3일 동안 주민들은 술을 삼가야 하며 제주들은 특히 부부관계까지 일체 금하고 목욕재계후 제를 지내는 등 지극한 정성을 들여야 한다. 이때 제물로 준비하는 음식은 육고기는 금물이며 소가 먹을 수 있는 전이 전부이다. 이같이 특색 있는 동제(洞祭)가 고려시대 이래로 오늘날까지 전통민속으로 전래되고 있다는 이곳 주민들은 기계문명의 발달로 이제 더 이상 소를 많이 먹이지 않고 있어 우제의 필요성은 사실상 없으나 조상의 얼과 전통민속을 받들어야 하는 것이 후손들의 도리라며 지금까지 전통을 보존, 예전처럼 성대하지는 않으나 명맥은 유지해 오고 있다고. 강판호씨는 『예전에는 이 제가 끝나면 덕망있는 동네 어른이 좌상으로 선출돼 평소 못된 짓을 하거나 불효막심한 학동이 있으면 회초리로 엄히 다스리기도 했다』며 『 이제 물질문명에 밀려 이 같은 전통민속과 경로사상이 빛을 잃어가고 있으나 우리 마을은 반드시 조상의 얼과 전통을 후대에 물려주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1991년 8월 25일자 신경남일보 기사 참조)


페이지담당 :
명석면
전화번호 :
055-749-3881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십니까?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