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어보세요!진주톡포유

오미리

1914년, 진주군 오산면 삼항동(吾山面 三巷洞), 오미동(五美洞), 묵곡동(묵谷洞), 명석면 외팔미동(外八美洞), 대평면 대평동(大坪洞) 각 일부로서 오미리(五美里)라 하였다.

오미(五美)

오미는 원래 오산면(吾山面)의 삼항촌(三巷村)지역이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시목(枾木) 회병실(回兵谷) 애기내를 통합하여 오미리라 하였으나, 뒤에 자연마을 단위로 개편되면서 시목과 오미로 분리되었다. 이곳을 예전에 네거리라 많이 불렀으니, 그것은 걸아다닐때에 도내고개를 넘어 함양 산천 가는 길과, 시목 석티고개를 넘어 덕산으로 가는 길과, 서재~가화를 거쳐 사천만으로 가는 길과, 진주로 가는 네 갈래길이 교차되는 곳이었기 때문이다. 그때는 이곳이 명석면에서 제일 번잡한곳이었으니 따라서, 길손들이 쉬어가는 주막도 많았다고 한다. 지금의 경찰지서인 주재소(駐在所)가 일제때에 여기에 있었으니 얼마나 사람들의 왕래가 빈번하였는지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오미라는 지명은 마을 서쪽에 가재가 춤을 추는 오무형(오舞形)의 명산이 있어 이렇게 부르게 된 것이라고 한다. 본 마을 아래에 있는 원전(院田)은 예전에 원전이 있었다하여 부르게 된 지명이며, 동남쪽에 있는 회병실은 군사를 후퇴시킨다는 뜻이며, 애기내(牙旗內)는 장군기를 꽂은 곳이라는 뜻이니 이 두 지명은 시목 서북쪽에 있는 장군대좌(將軍大座)를 따라 붙여진 이름이다. 오미에는 여러 성씨가 모여 살고 있으며 오미 초등학교가 있다.

가재등

마을 서북쪽에 있는 가재형국의 등혈(등穴)을 말한다. 즉 오무형(오舞形)을 가리킴이다.

삼부실못안

가재등 밑의 골짜기이다. 합천이씨와 경주정씨묘각이 있으며, 예전에는 인가가 45호 있었다.

놋종기먼당

동북쪽에 있는 산봉우리이다. 천지개벽 시에 놋종기 만큼 남았다고 한다.

사랑바위

놋종기 먼당 중턱에 있는 바위이다.

산지골

원전 북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시목(枾木)

오미의 서북쪽에 긴 협곡을 따라 여러 마을이 띄엄띄엄 양지편에 자리하고 있다. 이곳을 시목이라 한다. 원래 구한말(舊韓末)까지는 오산면 시목촌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오미리에 속하였다가 자연마을 단위로 개편되면서 분리되었다. 본 마을 시목은 옛부터 주위 산야에 감나무가 많이 자생한다하여 감나무 골이라는 지명으로 불렀다. 평산신씨(平山申氏)와 남원양씨(南原梁氏)가 오래 전부터 살아왔고, 평산신씨의 경모재(敬慕齋)와 화순최씨(和順崔氏)의 염정재(念正齋)가 있었으나 염정재는 진주~대전간의 고속도로 개설로 인하여 오미로 이건하였다. 장수(將帥)가 탄생하였다는 오무(五武)에는 능성구씨(綾城具氏)와 진양정씨(晋陽鄭氏)와 경주이씨(慶州李氏)가 살아왔다. 동편에 있는 살미는 화살꼬리 형국이라 하여 부르게 된 이름인 인동장씨(仁同張氏)들이 이전부터 살아왔다. 골어구에 있는 개식굴(狗食谷)은 앞산이 방아 형국이며 뒷산은 개의 형국으로 개가 절구공에 먹이 먹으로 온다하여 이런 지명이 생겼다고 한다. 동편 오무곡(鰲舞谷)은 새우가 춤을 추는 형국이라 하여 생긴 지명이며 그곳에 삼불암(三佛庵)이란 절이 있다. 시목은 긴골을 따라 들판에 펼쳐져 있어 주민들의 경지면적이 상당히 넓은 편이었으나 남강댐으로 인하여 90%이상이 침수됨으로 오미에 이거단지(移居團地)를 조성하여 주민의 대다수가 이주하고 십여세대가 남아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오미골(鰲尾谷)

시목 동편에 있는 골짜기이다. 춤추는 새우의 꼬리부분이라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흥성골(興盛谷)

시목 뒤편 골짜기이다.

면앵골(眠鶯谷)

서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잠자는 꾀꼬리 형국이라 하여 생긴 지명이다.

석티(石峙)

서남쪽에 있는 고개이다. 옛날 걸어다닐 때에 덕산 삼장 사람들이 진주와 사천을 가고, 이곳 사람들이 그곳을 갈 때 모두 이 고개를 이용하였다고 한다.

절골

예전에는 큰 사찰이 있어 절골이라 불렀다. 지금도 절터에는 주춧돌과 계단이 남아 있다. 골 안쪽에 중상골이 있으니 중이 죽으면 화장하던 곳이라 한다. 중상골 옆에 구리방아골이 있으니 절 양식을 찧는 구리쇠 방아가 있었다고 한다.

자라바위먼당

시목 서북쪽에 있는 산먼당이다. 정상에 자라모양의 바위가 있다.

장군대좌(將軍大座)

북쪽에 있는 산봉우리이다. 장군이 투구를 쓰고 앉아있는 형상이다.

불당골(佛堂谷)

오무 북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불당이 있었다고 하며, 인가가 몇집 살고 있다.

삼박골

오무 북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셋통의 박이 달려 있는 형국이다. 인가가 네댓집 살고 있다.

눗탁골

위에 까마귀 먼당이 있고, 아래 시신형의 산록이 있어, 까마귀가 누워있는 시신을 쫓는다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체분골(替墳谷)

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비가 오면 토사가 많이 전답에 내려와 그것을 걷어내면 없던 무덤이 생김으로 불러진 이름이다.

고개밑

신기로 넘아가는 재밑을 말한다.

팔미(八美)

주위의 높고 낮은 산 세속에 여덟 군데 명지가 있다하여 팔미란 지명이 붙었다고 한다. 이러한 지명에 걸맞게 멀리서 두줄기 산맥이 갈라지며 깊숙한 골을 이루었으니 양편산록을 따라 밖에 있는 마을을 외팔미라 하고 안쪽에 있는 마을을 내팔미라고 한다. 내팔미에는 진양강씨(晋陽姜氏), 김녕김씨(金寧金氏), 밀양박씨(密陽朴氏)들이 오래 전부터 살아왔고, 외팔미에는 경주최씨(慶州崔氏)와 칠원제씨(漆原諸氏)가 옛날부터 살아왔다. 외팔미 어구에 국도가 남북으로 뻗어있고, 이 길을 따라 조금 올라가면 나지막한 고개가 나오니 이를 평고개라 한다. 고개넘에 마을이 있어 창밭이(倉田)라 부르니 고개밑 좌편에 거창에서 떠내려온 산 무더기가 있어 여기에서 유래되었다 하고, 일설에는 옛날 이곳에 큰 세미(稅米)창고가 있어서 이렇게 불렀다고 한다. 이 마을에는 안동권씨(安東權氏)가 옛부터 살아왔으나 지금은 여러 성씨가 한 두집씩 땀을 이뤄 살고 있다.

밤나무골

외팔미 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예전에 밤나무가 많이 자생하였다.

황태밭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민둥산으로 황토가 많아 이렇게 불렀다.

용산골

동편에 있는 골짜기이다. 용산으로 사는 재가 있다.

약샘골

동편에 있는 골짜기이다. 중턱에 약샘이 있다.

가는골

동편에 있는 골짜기이다. 골안이 좁아 이렇게 부른다.

감나무골

동쪽에 있다. 돌감나무가 많이 있다.

새미골

내팔미 동북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좋은 샘이 있다.

나비등

외팔미 동북쪽에 있다. 산등이 나비모양으로 생겼다.

병풍골(屛風谷)

내팔미 안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병풍을 두른 듯이 경관이 좋다.

방아등골

내팔미 안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방아모양의 등(登)이 있다.

숯 골

내팔미 안에 있는 골짜기이다. 예전에 숯을 많이 구웠다.

등잔설

내팔미 북쪽에 있다. 산이 등잔 모양으로 생겼다.

돌곳설

내팔미 북쪽에 있다. 산이 돌곳 모양으로 생겼다.

큰골

외팔미 뒷산 골짜기이다.


페이지담당 :
명석면
전화번호 :
055-749-3881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십니까?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