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어보세요!진주톡포유

무장애도시 홍보 동영상

작성일
2017-07-19 13:33:36
조회수 :
669
용량 :
597.8 MB
여기 초점을 받으면 키보드 화살표 상(↑)·하(↓) 키로 대본 스크롤을 할 수 있습니다. 무장애도시 홍보 동영상
2015 진주시 무장애 도시 홍보영상 시나리오

우리의 생활환경에는 일반인이 느끼지 못하는 장애물이 많이 있습니다.
높은 계단과 출입문의 턱, 좁은 보도는 장애인을 비롯한 어린이·노인·임산부 등 사회적 약자에게는 매우 위험한 장애물입니다.
우리 주변에 흔히 볼 수 있는 계단도 누군가에게는 에베레스트 산과 같이 넘을 수 없는 큰 장벽으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시민의 안전, 불편함이 없는 시설 ‘모두가 편안한 무장애도시 진주시’입니다.
 
2012년 7월 9일 진주시는 전국 최초로 도시전반을 장애물 없는 도시로 만들어 모두가 편안한 “무장애 도시”를 만들기 위해 “무장애 도시”를 선포하였습니다.

무장애 도시는 도로·공원·건축물 등 도시 내 시설물을 설계단계에서부터 원천적으로 장애물 없이 계획하여 시공함으로써 어린이·노인·장애인·임산부 등 사회적 약자를 비롯하여 모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생활할 수 있는 도시를 만드는 사업입니다.

모두가 편안한 무장애 도시 시책은 좋은세상, 장난감은행, 진주아카데미와 함께 민과 관이 하나가 되어 추진되는 진주시만의 독특한 4대 복지시책 중 하나이며, 별도의 공공예산의 투입 없이 장애물 없는 도시, “Barrier-Free City”를 만들어 나가는 비예산 사업입니다.

무장애 도시의 주요 사업으로는
- 진주형 BF 인증제 시행
- 공공시설물 BF인증 의무화
- 민간 다중이용 건축물의 BF인증 시설 확충
- 사회약자 편의증진 사업
- 무장애 시민 운동, 시민인식 개선 및 사회적 참여분위기 조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무장애 도시 추진위원회와 31개 읍면동 위원회, 시민촉진단 등 각 분야의 전문가 및 시민들과 함께 추진해 나가고 있습니다.
- 그간 우리시는 무장애 도시 조성을 위해 지속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조례 및 규칙을 제정하여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고 5개년 중장기 기본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 또한 14개 유관 기관 및 지역 봉사단체와 MOU를 체결하여 무장애 주택 신축 및 주거약자 주택 편의시설 설치공사 그 외 편의증진을 위한 다양한 민관 협력사업을 수행하여 공공예산을 절감하였습니다. 그 결과, 2013년 한국장애인인권상(기초자치부문) 수상에 빛나는 성과를 거두기도 하였습니다.

<인터뷰 :  포낙보청기 진주센터 원장, 진주시 건축사회 회장>

대표적인 민관협력체로는 편의시설 시민촉진단과 무장애도시 추진위원회, 실무·인증위원회, 31개 읍면동 위원회 등이 있으며 모두가 함께 만드는 무장애 도시를 이루기 위해 민관이 합심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한편 우리시에서는 전동휠체어 이용자들의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해 시청사, 장애인복지관 등 주요 공공시설과 병원, 다중이용시설에 이르기까지 총 14개소에 전동휠체어 고속 충전기를 비치하여 전동휠체어 이용자들이 배터리 부족으로 이동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편의를 제공하고 있으며,
장애인 보장구 바로수리센터를 연중 운영하여 보장구의 수리가 어려운 분들을 위해 보장구 순회 방문 서비스사업을 추진하는 등 사회약자를 위한 선제적 서비스 제공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2015년부터 시행된 진주형 BF 인증제는 신설되는 건축물을 대상으로 무장애 시설기준에 대한 자문과 시설인증을 하는 제도로서, 신설 공공 시설물은 의무적으로 인증기준을 반영하고 있으며 인증을 희망하는 민간 건축물에 실무·인증위원회의 자문과 심의를 통하여 모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건축물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에 진주형 BF 인증제가 좀 더 빨리 정착되고 활성화될 수 있도록 관계부서 실무자로 구성된 무장애도시 TF팀에서는 진주형 BF 인증을 원하는 민간건축물의 건축주에 에게도 이익이 될 수 있도록 인증제와 인센티브제도를 지속적으로 개선·추진해나가고 있습니다.

모두가 편한 무장애도시는 시민들이 함께 만들 때 현실화 될 수 있습니다. 
무장애도시는 무엇보다 시민들의 공감과 참여가 필요한 사업으로 공모전, 캠페인, 장애체험장 운영 등 다양한 시민인식 개선 운동을 추진하여 사회적 참여분위기를 조성하고 있습니다. 

주택 내 편의시설의 올바른 설치방법과 장애인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신설·운영되고 있는 장애체험장은 장애인과 노약자가 생활하기 편리한 주거환경을 직접 체험할 수 있으며 장애체험장의 주택구조 및 기타 편의시설을 각종 보조사업으로 추진 중인 저소득층 주거약자 편의시설 설치사업과 사회봉사단체의 집수리 사업에 적용하여 수혜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이처럼 주거환경 내에서도  장애물이 없는 생활환경을 조성하여 누구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무장애 주택을 확충해 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 주민들로 구성된 31개 무장애도시 읍면동 위원회는 우리 동네, 우리 집 앞의 소규모 사업장을 순회하며 문턱 낮추기와 도움벨 설치, 자동문 설치를 지속적으로 계도·홍보하고 영세한 사업장에는 직접 경사로를 설치해주는 등 지역 최일선에서 시민들의 참여를 독려하는 등 무장애 도시는 이제 시민 주도형 사업으로 정착되고 있습니다.

<시민 인터뷰>
<진주시장애인 총연합회장 인터뷰>

모두가 편안한 무장애 도시.... 멀리 있지 않습니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누구나 도심을 거닐 수 있는 도시
누구나 교육, 문화, 여가를 즐길 수 있는 도시
누구나 관광할 수 있는 도시
어린이, 노인, 장애인, 임산부 등 사회 약자와 함께 모두가 편안한 도시

장애물이 없는 무장애 도시 진주를 시민과 함께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페이지담당 :
노인장애인과 장애인시설팀
전화번호 :
055-749-5423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십니까?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