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93년 UR개방, '95년 WTO 체제 출범, '96년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가입, '97년말 IMF한파 등 우리는 급변하는 국내외 정세 속에 오늘을 살아가고 있다.
국가 이념을 초월하여 앞으로 잘 살기 위한 경제전쟁은 계속될 전망이다. 미래의 예언자 엔빈토플러는 제3의 물결이란 저서에서 21세기(2년 후)는 인간이 소유한 기술이 부국의 척도라고 말했다. 기술은 그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이 전문인이 되어야 하고 그 분야의 최고 정보를 가져야 한다.
축산을 하는 양축가는 축산정보가 밝고 축산 전문인이 되어야 무한의 경쟁시대에 경쟁력에 대비하여 잘살 수 있는 길이라고 생각한다. 경쟁력이란 한마디로 가격격차를 줄이는 기술이다. 가격 경쟁력으로 생산비를 낮추고 기술과 비가격 경쟁력으로 품질을 고급화(브랜드화)로 개방에 대비해야 될 것이라고 본다.
IMF 한파로 사료가격이 인상되고 축산물 가격이 불안정하여 우리 양축농가는 불안 초조 심리로 충만해 있다. 이 어려운 시기에 우리 양축농가는 먼저 사고의 변화와 축산경영의 기법을 전환해야 할 것이다.
IMF 극복을 위해서는 먼저 조사료 확대이용이다. 배합사료 위주의 사양에서 자급사료(풀) 위주의 사양기법으로 전환하여 생산성 향상과 사료비를 절감해야 될 것이다.
소 1마리당 연간 풀 사료 소요량은 한육우 1일 급여량 20~30kg, 청초 이용 시 5개월간 3,000~4,500kg, 젖소는 1일 급여량 30~40kg으로 청초 이용 시 5개월간 4,500~6,000kg 담근먹이는 한육우 1일 급여량 15~20kg, 청초 이용 시 7개월간 3,200~4,200kg, 젖소는 1일 급여량 20~35kg으로 청초 이용 시 7개월간 4,200~5,200kg 소요되기 때문에 한우는 두당 사료작물은 200평, 젖소는 300평 이상을 재배해야 할 것이다.
정부는 2004년 조사료 기반조성을 위해 총 수요량 54%를 양질의 조사료 생산 공급을 위해 현재 22만9천ha에서 36만ha로 사료작물 확대재배 할 계획이며 우리양축농가는 앞으로 사료작물을 대대적으로 확대 재배 이용해야 될 것이다. 다음은 부존자원의 적극이용이다.
우리나라는 년간 볏짚 생산량이 526만톤, 밀기율 61만톤 등 약 725만 톤 생산되고 있다. 50%정도만 가축에 이용할 경우 229만톤의 배합사료 대체효과가 있다고 한다.
우리 양축농가는 앞으로 부존자원을 적극 활용 사료화 하는데 노력해야 될 것이다. 다가오는 대망의 21세기 축산물의 생산→유통→소비에서 소비→유통→생산으로 전환하고 경쟁력 있는 축산경영으로 저비용 고품질 안전 축산물 생산에 최선을 다하는 전업 양축농가로 발전하길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구분 | 풋베기 (5개월간) | 담근먹이 (7개월간) | ||
---|---|---|---|---|
1일 급여량 | 총소요량 | 1일 급여량 | 총소요량 | |
한·육우 | 20~30kg | 3,000~4,500 | 15~20kg | 3,200~4,200 |
젖소 | 30~40kg | 4,500~6,000 | 20~35kg | 4,200~5,20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연간수량 (kg/10a) | |||||
---|---|---|---|---|---|---|---|---|---|---|---|---|---|---|---|---|---|
생풀 | 마른풀 | ||||||||||||||||
유채 | 귀리 또는 유채 | 수수류 | 이탈리안라이그라스 | 15,000 | 3,160 | ||||||||||||
이탈리안라이그라스 | 옥수수 | 유채 | 19,740 | 4,010 |
풀사료원 | 건물중 thN (%) |
판매가격 (원/kg) | 대비 | ||||
---|---|---|---|---|---|---|---|
풍건물 | 건물 | TDN | |||||
수입가 (U$/톤) |
농가 판매가 |
||||||
수입 | 알팔파큐브 | 60 | 250 | 300 | 337 | 562 | 269 |
알팔파건초 | 60 | 280 | 330 | 371 | 618 | 296 | |
국내산 | 옥수수담근먹이 | 67 | - | - | 139 | 209 | 100 |
호밀 | 51 | - | - | 196.7 | 366 | 185 |
작물 및 초종 | 이용적기 | 생산성 (톤/ha) | 최적이용형태 | 차선이용형태 | |||
---|---|---|---|---|---|---|---|
생초 | 건물 | 가소화양분 | |||||
사료작물 | 옥수수 | 황숙후기 | 57.3 | 20.17 | 13.72 | 담근먹이 | - |
수수류 | 유숙초기 | 59.3 | 21.30 | 11.93 | 담근먹이 | 청예이용 | |
사료용피 | 개화기 | 35.2 | 8.24 | 4.37 | 곤포사료(건초) | 곤포담근먹이 | |
호밀 | 유숙기 | 40.6 | 12.80 | 7.41 | 곤포담근먹이 | 담근먹이 | |
보리 | 황숙기 | 34.5 | 12.06 | 7.72 | 담근먹이 | 곤포담근먹이 | |
귀리 | 유숙기 | 28.2 | 8.27 | 5.04 | 곤포담근먹이 | 담근먹이 | |
I·R | 개화기 | 40.3 | 8.26 | 4.46 | 곤포사료(건초) | 곤포담근먹이 | |
목초류 | 알팔파 | 개화기 | 25.23 | 6.14 | 3.15 | 곤포사료(건초) | 곤포담근먹이 |
혼파목초 | 개화기 | 20.10 | 2.62 | 2.62 | 곤포사료(건초) | 청예, 방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