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애멸구 긴급 방제요령
□ 발생특징
○ 병원체 : 벼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Rice Stripe Virus, RSV)
○ 기주식물 : 벼, 보리, 밀, 호밀, 옥수수, 목초, 화본과잡초 등 20여종
○ 병원바이러스는 애멸구가 매개하며, 알을 통하여 후세대로 전염됨
□ 최근 발생현황
○ ‘01년 경기도 7개 지역 3,062ha 발생, 발병포장율 80%,
○ \'07년 충남 서천, 전북 부안 중심으로 5,094ha 발생
- ‘07년 경기 등 서남해안 지역 조생종 벼 전체포장에서 발생
○ ‘08년 전남 진도, 해남 등 남해안지역 2,828ha 발생
□ 발생 요인분석
○ 겨울철 고온으로 애멸구 월동량 및 보독충 밀도증가(비래추정)
○ 벼 줄무늬잎마름병에 약한 품종 조기 이앙 : 흑미, 동진1호, 호평벼
○ 이앙전 모판에 약제처리 등 본답 초기 해충 방제 미흡
○ 바이러스와 매개충이 논 주변에 상존하고 있으므로,
못자리 초기 예방을 소홀히 한 농가에서는 다 발생 우려
□ 긴급 방제요령
○ 2모작 이앙당일 묘판 살충제 처리 : 입제농약(상자당 50g 살포)
○ 1모작 상자처리 하지 않았거나 대 발생 우려지역은 본답에 경엽처리(유제) 방제약 살포
- 본논 초기방제 수단으로 어린모와 건답직파, 기계이앙에서 상자처리 하지 않은 경우
이앙 후 10~15일경 벼물바구미, 벼잎벌레 등과 동시방제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