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홍보배경
- 전국적으로 가뭄이 심해지고, 금년 배 및 사과 개화시기에 저온으로 피해 심화 우려
- 금년 배, 사과 개화기는 평년대비 4~5일정도 늦어 배는 전엽기~개화 진행 중이며, 사과는 녹색기가 진행중으로 -2.5도씨 이하로 하강시,관수가 미흡한 농가에서는 저온피해 심화 예측
ㅇ 저온피해 우려 시기 : 4월 상순~ 4월 중순
ㅇ 요소, 붕산 처리 : 개화전 요소 0.3%, 붕소 0.1% 엽면 살포
*물 500L 기준 요소 1.5kg, 붕산 500g
ㅇ 저온피해 발생 시 과원관리
** 자세한 내용은 붙임 파일 참조 1. (인공수분 추가 실시) 저온피해 과원은 2∼3회 인공수분 실시 - (배) 2년생 가지에 착생된 액화아를 이용한 착과 유도 * 피해가 심한 지역(1~6번화 피해 등)은 인공수분을 늦추어 실시 - (사과) ‘후지’ 중심화 피해 시 측화 이용 착과 유도 2. (적과작업 늦추어 실시) 적화, 적과작업 생략 또는 늦게 - 피해 상황 확인 후 적화 및 적과 작업 추진 - 적과작업은 착과가 끝난 후에 하고 마무리 열매솎기도 기형과 등의 장해가 뚜렷이 확인되는 시기에 실시 3. (수세관리) 비정형과라도 착과를 통한 수세관리 필요 - 수세 안정을 위해 정형과 이외 과실도 최대한 착과 4. (시비 감량) 착과량이 적으면 질소 시비 감량 및 엽면살포 자제 - 피해 심한 과원은 질소 시비 및 제4종 복비 등 엽면살포 자제 5. (유인 및 전정) 신초 유인 및 하기전정을 통한 수세안정(5∼7월) - 꽃눈 형성 유도 및 수세조절을 위한 하기전정(20% 이내) 6. (과원관리) 관리 소홀시 이듬해 개화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병해충 관리 등의 재배관리 노력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