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재선충병 확산 방지를 위한 안내 ※
- 진주시, 2015년 4월말까지 소나무류 고사목 전량 제거 목표 -
○소나무재선충병 이란?
1.피해수종 : 소나무, 해송(곰솔), 잣나무(중부지방)
2.소나무재선충 특성(크기 : 0.6 ~ 1.0㎜ - 육안으로 식별불가)
- 1쌍의 재선충이 20일 후에는 200천마리 이상으로 증식
- 자체로는 이동을 하지 못하고 매개충(솔수염하늘소)에 기생하여 이동
3. 솔수염하늘소(매개충) 특성(크기 : 2.2 ~ 3.0cm - 육안으로 식별가능)
- 소나무 목질부에서 탈출하는 시기 : 5월 중순 ~ 8월 상순
- 솔수염하늘소 1마리가 재선충을 약 15천마리 지니며, 먹이(소나무)가 풍부할 경우 100m 이내, 먹이가 부족할 경우 3~4km까지 이동
4. 감염
- 솔수염하늘소 몸에 기생하는 재선충이 솔수염하늘소가 소나무의 새로 자란 가지를 갉아먹을 때 생긴 상처부위를 통하여 감염
5. 월동(방제)
-솔수염하늘소 월동기간(9월 중순 ~ 이듬해 5월 상순) 중에 고사한 소나무, 해송을 전량 제거하여 약제처리하면 100% 방제가 가능함
○소나무류를 무단으로 이동시키면 무거운 처벌을 받습니다.
「소나무재선충병 방제특별법」에 의거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
- 반출금지구역에서의 감염목, 굴취된 소나무류의 무단 이동 등
- 훈증처리 후 6월이 경과되지 아니한 훈증처리목의 훼손 및 이동
- 산지전용허가지 등에서 생산되는 소나무류의 사업장외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