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물놀이 활동시 지켜야 할 안전수칙 |
|
물놀이사고 10대 안전수칙 |
|
1. |
여행을 떠나기 전 응급처치 요령을 충분히 익힙니다. |
|
2. |
야외 물놀이를 계획할 때에는 물이 깨끗하고, 자연 조건이 안전한 지역을 선택해야 합니다. |
|
3. |
지역의 기상 상태나 일기예보를 확인하고 거친 파도, 강한 조류 등에 주의해야 합니다. |
|
4. |
가능한 안전 요원이 있는 물놀이 장소를 선택하고 그 규칙을 따릅니다. |
|
5. |
술을 마셨거나 약물을 복용 후에는 물놀이를 삼가야 합니다. |
|
6. |
어린이들이 물놀이를 할 때는 수영을 할 수 있고 응급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 지켜봐야 합니다. |
|
7. |
혼자 수영하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
|
8. |
물속에서 갑작스런 사고를 줄이기 위해 수영하기 전에는 반드시 준비운동을 합니다. |
|
9. |
깊은 물에 들어가거나 보트, 수상스키, 래프팅 등 수상레저 활동시에는 구명조끼를 착용합니다. |
|
10. |
무리한 다이빙이나 깊은 물에서의 수영은 피해야 합니다. |
|
물에 들어갈 때 지켜야 할 사항 |
|
일반적으로 수영하기에 알맞은 수온은 25~26℃정도이다. 물에 들어 갈 때는 다음 사항을 꼭 지켜야 한다. |
|
- |
준비운동을 한 다음 다리부터 서서히 들어가 몸을 순환시키고 수온에 적응시켜 수영하기 시작한다. |
|
- |
초보자는 수심이 얕다고 안심해서는 안된다. |
|
※ 물놀이 미끄럼틀에서 내린 후 무릎정도의 얕은 물인데도 허우적대며 물을 먹는 사람들을 많이 볼 수 있으므로 절대 안전에 유의한다 |
|
- |
배 혹은 떠 있는 큰 물체 밑을 헤엄쳐 나간다는 것은 위험하므로 하지 않는다. |
|
※ 숨을 들이 쉰 상태에서 부력으로 배 바닥에 눌려 빠져 나오기 어려울 때는 숨을 내뱉으면 몸이 아래로 가라앉기 때문에 배 바닥에서 떨어져 나오기 쉽다 |
|
- |
통나무 같은 의지물이나 부유구, 튜브 등을 믿고 자신의 능력 이상 깊은 곳으로 나가지 않는다. |
|
※ 의지할 것을 놓치거나 부유구에 이상이 생길 수 있다 |
|
- |
수영 중에 “살려 달라”고 장난하거나 허우적거리는 흉내를 내지 않는다. |
|
※ 주위의 사람들이 장난으로 오인하여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
|
- |
자신의 체력과 능력에 맞게 물놀이를 한다. |
|
※ 물에서 평영 50m는 육상에서 250m를 전속력으로 달리는 것과 같은 피로를 느낀다 |
|
- |
껌을 씹거나 음식물을 입에 문채로 수영하지 않는다. |
|
※ 기도를막아 질식의 위험이 있다 |
|
어린이의 물놀이 활동 시 유의사항 |
|
- |
어른들이 얕은 물이라고 방심하게 되는 그곳이 가장 위험 할수 있다. |
|
- |
어린이는 거북이, 오리 등 각종 동물 모양을 하고 보행기 처럼 다리를 끼우는 방식의 튜브사용은 뒤집힐 경우 아이 스스로 빠져 나오지 못하고 머리가 물속에 잠 길수 있다. |
|
- |
보호자와 물 안에서 함께 하는 활동 안에서만 안전이 보장될 수 있으며, 어린이는 순간적으로 짧은 시간 안에 익사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
|
- |
어린이와 관련된 수난사고는 어른들의 부주의 및 감독 소홀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
|
- |
인지능력 및 신체 적응력이 떨어지는 유아 및 어린이들은 보호자의 손을 뻗어 즉각 구조가 가능한 위치에서 감독해야 한다. |
|
- |
활동반경이 넓어지는 만 6~9세 이하 어린이들은 보호자의 통제권을 벗어나려는 경향을 보이므로 사전 안전교육 및 주의를 주어 통제한다. |
|
2. 상황별 대처요령 |
|
파도가 있는 곳에서 수영할 때 |
|
- |
체력의 소모가 적게 편안한 기분으로 수영한다. (긴장하면 그 자체로서 체력소모가 발생한다) |
|
- |
머리는 언제나 수면 상에 내밀고 있어야 한다. |
|
- |
물을 먹지 않으려고 기를 쓰고 참기보다 마시는 쪽이 오히려 편안한 경우도 있다. |
|
- |
큰 파도가 덮칠 때는 깊이 잠수할수록 안전하다. |
|
- |
지쳐가 휴식을 할 때는 바람이 부는 방향에 따라 다르다.(눕거나, 선헤엄) |
|
- |
큰 파도에 휩싸였을 때는 버둥대지 말고 파도에 몸을 맡기고 숨을 중지해 있으면 자연히 떠오른다 |
|
- |
파도가 크게 넘실거리는 곳은 깊고 파도가 부서지는 곳이나 하얀 파도가 있는 곳은 일반적으로 얕다. 또 색이 검은 곳은 깊고, 맑은 곳은 얕다. |
|
- |
간조와 만조는 대개 6시간마다 바뀌므로 간만 때의 조류변화 시간을 알아두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조류가 변할 때는 언제나 흐름이나 파도, 해저의 상태가 급격하게 변화하게 된다. |
|
- |
거센 파도가 밀려났을 때는 파도에 대항하지 말고 비스듬히 헤엄쳐 육지를 향한다. |
|
수초에 감겼을 때 |
|
- |
수초에 감겼을 때는 부드럽게 서서히 팔과 다리를 움직여 풀어야 하고 만약 물 흐름이 있으면 흐름에 맡기고 잠깐만 조용히 기다리면 감긴 수초가 헐겁게 되므로 이때 털어 버리듯이 풀고 수상으로 나온다. |
|
- |
놀라서 발버둥 칠 경우 오히려 더 휘감겨서 위험에 빠질 수 있으므로 침착하게 여유를 가지고 호흡하며, 서서히 부드럽게 몸을 수직으로 움직이면서 꾸준히 헤어 나오도록 한다. |
|
물을 건널 때 |
|
 |
하천이나 계곡 물을 건널 때는 |
|
- |
물결이 완만히 장소를 선정하여, 가급적 바닥을 끌듯이 이동한다. 시선은 건너편 강변 둑을 바라보고 건너야한다. |
|
- |
이동 방향에 돌이 있으면 가급적 피해서 간다. |
|
- |
다른 물체를 이용 수심을 재면서 이동한다.(지팡이를 약간 상류 쪽에 짚는다) |
|
- |
물의 흐름에 따라 이동하되 물살이 셀 때는 물결을 약간 거슬러 이동한다. |
|
 |
무릎 이상의 급류를 건널 때는 |
|
- |
건너편 하류 쪽으로 로프를 설치하고 한 사람씩 건넌다. |
|
- |
로프는 수면위로 설치한다. 로프가 없을 때 여러 사람이 손을 맞잡거나 어깨를 지탱하고 물 흐르는 방향과 나란히 서서 건넌다. |
|
물에 빠졌을 때 |
|
|
- |
흐르는 물에 빠졌을 때는 물의 흐름에 따라 표류하며 비스듬히 헤엄쳐 나온다. |
|
- |
옷과 구두를 신은 채 물에 빠졌을 때는 심호흡을 한 후 물속에서 새우등 뜨기 자세를 취한 다음 벗기 쉬운 것부터 차례로 벗고 헤엄쳐 나온다. |
|
침수ㆍ고립지역에서의 행동 |
|
 |
침수지역에서의 행동은 |
|
- |
부유물 등을 이용하며, 특히 배수구나 하수구에 빠지지 않도록 유의한다. |
|
- |
도로 중앙지점을 이용 가급적 침수 반대 방향이나 측면 방향으로 이동한다. |
|
 |
고립지역에서의 행동은 |
|
- |
자기 체온 유지에 관심을 가져야 하며 무리한 탈출 행동을 삼가한다. |
|
- |
가능한 모든 방법을 이용하여 구조 신호를 한다(옷이나 화염을 이용) |
|
- |
가능하다면 라디오나 방송을 청취하여 상황에 대처한다. |
|
보트를 탈 때 |
|
- |
보트에 들어 갈 때는 배를 도크나 강변에 나란히 대놓고 안정시키고 선미 쪽에서 양손으로 뱃전을 잡고 용골위의 바닥으로 발을 천천히 옮긴다. |
|
- |
배안에서 균형이 잡히면 중심을 낮춘 자세로 자리를 이동한다. |
|
- |
보트에서 나올 때는 보트에 들어 갈 때와 반대로 하고 내릴때 뒷발이 배를 강 쪽으로 밀지 않도록 유의한다. |
|
- |
물속으로 떨어졌을 때는 즉시 수면으로 올라와 배를 붙잡아야 하고 잠시 휴식한 후 선미 쪽으로 돌아와서 몸을 솟구쳐 상체부터 올려놓는다. |
|
- |
모든 승선자는 구명조끼를 착용해야 한다. |
|
계곡에서 야영지를 선택 할 때 |
|
계곡에서 야영지를 선택할 때는 물이 흘러간 가장 높은 흔적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하고, 대피할 수 있는 고지대와 대피로가 확보된 곳을 선정하며 또한 낙석 위험 및 산사태 위험이 없는 곳이어야 한다 |
※ 물놀이 사고 및 안전사고 발생시 즉시 119 (해상 122) 또는 1588-3650으로 신고하시기 바랍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