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 무장애도시란?
장애인,노인,임신부,아동 등의 노약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하고 시설을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개별시설물과 도시기반을 계획,설계,시공하여 장애물을 원천적으로 제거하여 누구나 이용하기 편리한 생활환경을 구축하고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을 만들어 시민모두가 함께 누릴 수 있는 복지시책을 말함
1.도입배경
1)현재의 도시 여건상 보도 진입부터의 턱, 건물 출입구와 접근로 사이의 높이차이 등 장벽으로 인하여 노약자가 이동하거나 시설 이용시 불편을 겪게 됨.
2)신체적 약점때문에 주로 집안에서 생활하는 노약자가 스스로의 힘으로 외부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도시의 기반시설과 건물구조를 만들어야 할 필요성 대두
3)노약자가 불편없이 일상생활을 영위할수 있는 여건을 갖추어 다함께 살기 좋은 복지사회를 만들기 위함.
2.추진방향
1)진주형 BF(Barrier Free) 인증제 도입
2)공공시설물의 무장애(Barrier Free) 의무화
3)다중이용시설의 문턱 없애기 운동 추진으로 접근성 보장
4)노약자에 대한 편의증진사업 실시로 이동권 보장
5)관련 종사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매뉴얼 보급 및 전문교육 실시
6)장애체험관 설치 운영으로 사회적 공감대 형성
7)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하는 통합행사 개최로 시민인식개선 도모
3.주요추진계획
1)공공시설물 BF 의무화
ㄱ.대상
- 진주시청사,읍면사무소,동주민센터,청소년수련관,복지관,도서관,능력개발원,보건소,공원 등
ㄴ.내용
-접근로,출입구,복도,계단,화장실 등을 사회적약자가 이용가능하도록 설계,시공
-공공청사 편의용품 비치
2)보행환경 개선
ㄱ.대상
-신설,개보수 보도
ㄴ.내용
-보도 진입로 높이차이 제거
-도로 장애물 zone 설치
-점자블록, 볼라드 재정비
-험프(hump)식 횡단보도 설치
3)다중이용시설 BF권장
ㄱ.대상
-편의시설 설치의무는 없으나, 시민의 이용이 잦은 소규모 사업장
-병원,약국,금융기관,음식점,슈퍼마켓,편의점 목욕탕,공연장,미용실 등
ㄴ.내용
-BF전환 기여건물 지정
-접근로 및 주출입구 단차 제거, 주출입구 경사판, 도움벨, 자동문 설치 등
-다중이용시설 문턱 없애기 운동 추진
4)노약자 편의증진사업
ㄱ.대상
-거동불편 장애인,노인
ㄴ.내용
-전동휠체어 충전소 설치
-장애인·노인주택 편의시설 설치 사업
-보조기구 교부사업
5)관련 종사자의전문성 강화
ㄱ.대상
-공무원
-관련 분야 민간종사자
ㄴ.내용
-관련 분야 공무원·종사자 장애인 편의시설 전문교육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매뉴얼 및 표준상세도 CD 제작 보급
6)시민인식개선 및 사회분위기 조성
ㄱ.대상
-일반시민
ㄴ.내용
-슬로건, 상징디자인 공모
-위원회 구성 운영
-장애체험관 운영
-인식개선 교육 실시
-편의시설 설치 촉진단 운영
-장애인주차구역 캠페인 개최
-유니버설 디자인 박람회 개최
-글, 그림, UCC 공모전 개최
-BF포럼 개최
-점자 및 수화사용 활성화
4.추진성과
1)추진성과
2)공공시설 개선 : 진주시청사 편의시설 확충
3)보행환경 개선 : 진주역사, 평거3택지지구 내 험프식 횡단보도 설치
4)노약자 편의증진사업 실시 : 전동휠체어 고속충전기 3개소 설치
5)관련 종사자의 전문성 강화
-관련 부서 공무원 전문교육 한국장애인개발원 위탁 실시
-관련 분야 종사자 전문교육 개최
-관련 분야 종사자 전문교재 3종 제작 배포
6)시민인식 개선 및 사회적 분위기 조성
-장애물 없는 세상 만들기 특별강좌 개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이용 준수 캠페인 개최
-진주시 4대복지시책 자원봉사단체 합동토론회 개최
-무장애도시 활성화 토론회 개최
7)다중이용시설 무장애 건축현황
-음식점:38
-소매점:29
-기타:18
-계:85
5.제도적 근거마련
1)「진주시 무장애 도시 조성 조례」제정 추진 중
2)「진주형 BF 인증제도」제정 추진 중
6.향후 추진계획
-글, 그림, UCC동영상 공모전 개최
-슬로건, 상징디자인 제정
-노약자 주택 편의시설 설치사업
-장애체험관 설치 운영
-사업장 문턱 없애기 시민운동 전개
-편의시설 설치 시민 촉진단 운영
7.기대효과
-장애인, 노인 등 사회적 약자의 이동권 보장으로 자유롭게 일상생활과 사회 생활이 가능하도록 균등한 기회를 제공하여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해소하고, 완전한 사회참여와 평등 실현
-모든 시민에게 편리한 생활환경 구축으로 복지도시 위상 제고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고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 분위기 조성
o주요사례
사례 1 : 공공시설 편의시설 확충
-2012. 10월 5,600만원의 예산을 들여 시청사와 의회동에 장애인용 편의시설을 재정비하고, 임산부 휴게시설과 수유실을 설치함
-공사 후 시각장애 1급 김○○씨는 장애인연금 문의 차 시청 4층에 있는 사회복지과를 방문 하면서 활동보조인 없이도 혼자 업무를 볼 수 있게 되었고, 8개월 아이를 둔 하○○씨는 외출 중에 아이가 변을 보거나 모유를 먹여야 할 때 가장 어려움을 겪는데, 안락하고 쾌적한 휴게시설이 생겨 편안한 마음으로 시청을 방문할 수가 있게 되었다고 함
사례 2 : 접근로와 출입문 단차 제거(식당)
-소 재 지 : 진주시 새들말로 74(평거동)
-사업장명 : 한바다횟집(건축주 박○○)
-설치일자 : 2012. 11월 사용승인 후 점포 개업
-건축 허가 신청 시 진주시의 권유로 장애인편의시설을 설치할 법적인 의무는 없지만, 접근로와 출입문의 단차를 없애고, 출입문 입구의 폭을 넓게 설치하였는데, 추가예산을 들이지 않고도 더 편리한 건축물이 되었음 업주는 무장애 건축물로 설계 건축한 이후로 손님들이 출입하기가 편해졌으며 문턱 없고 넓은 출입문을 편하게 이용하면서 손님들이 만족해하고, 타 업소보다 이용이 편리해지자 매출도 더 증가했다고 함
사례 3 : 출입구 자동문 설치 및 문턱 제거(어린이집)
-소재지 : 진주시 봉수대길 41-12(망경동)
-사업장명 : 아이숲어린이집(건축주 차○○)
-설치일자 : 2013. 2월 사용승인
-타 어린이집에는 설치하지 않은 자동문 설치를 권장 받았을 때, 약간의 거부감이 있었으나, 선생님과 아이들이 모두 이용하기 편리하여 만족하고 있음. 특히 접근로와 출입문을 단차 없이 설계 시공하여 아이들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부모들이 호응이 높아 시설 입소 문의가 많음
사례 4 : 공공시설 편의시설 확충(한국토지주택공사(LH) 신사옥 BF 인증)
-소재지 : 경남진주혁신도시 혁신클러스터용지 이전
-우리시 경남진주혁신도시 내 건립예정인 한국토지 주택공사(LH) 신사옥이 2012. 8. 21일자로「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최우수 등급으로 예비 인증을 득하여 현재 건립 중에 있으며, 향후 LH 신사옥을 방문하는 모든 시민들이 불편 없이 이용할 수 있는 「무장애 도시」진주의 랜드마크(Landmark)가 될 것임
사례 5 : 장애인전용 엘리베이터 설치 및 접근로와 출입문 단차 제거(식당)
-소재지 : 진주시 남강로309번길 10-9(평거동)
-사업장명 : 뚱보화로불고기(건축주 박○○)
-설치일자 : 2013. 4월 사용승인 후 점포 개업
-법적 의무 설치대상이 아님에도 모든 시민이 편리하게 시설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장애인전용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고, 접근로에서부터 건물 내 문턱을 모두 제거하여 장애인 및 노약자 등 거동이 불편한 손님들의 불편함이 없도록 설계·시공하였음. 사업주는 진주시의「무장애도시 조성」시책에 일조할 수 있어 뿌듯함을 느끼며 손님들이 편리 하게 시설을 이용할 수 있어 만족해하고 있음
출처:진주시홈페이지(http://www.jinju.go.kr/05life/11_01.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