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유행성각결막염】 ○ 병원체 아데노바이러스 8형 및 19형 등
○ 전파양식 유행성 눈병 환자와의 직접적인 접촉이나 환자가 사용한 물건(세면도구), 수영장, 목욕탕 등을 통해서 전파될 수 있고, 전염력이 매우 강하다. 잠복기는 아데노바이러스는 5-12일 정도이다
○ 증상 및 증후 보통 양쪽 눈에 발병하나 한쪽만 발병하는 수도 있으며, 양쪽 눈에 발병한 경우 대개 먼저 발병한 눈의 증상이 더 심하게 나타난다. 발병초기에는 충혈, 중등도의 동통이 있고 눈물 및 눈꼽이 많이 나온다. 각막표면의 손상으로 수명(빛을 보면 눈이 부심)이 나타나기도 하며 이때의 손상이 각막상피하혼탁(subepitelial opacity)을 남겨 수년간 지속되기도 한다. 대개 3-4주간 지속된다. 어린아이에서는 두통, 오한, 인두통, 설사등이 동반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 진단 및 치료 2차적 세균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항생제를 투여한다. 이 질환은 치료보다는 전염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이 눈병은 눈의 감기와 비슷한 것으로 특별한 특효약이 현재까지는 없어 합병증이 생기지 않도록 2차 감염의 방지 및 대증요법을 시행하면 약 보름정도 고생한 후에 호전되는데, 처음 며칠은 오히려 증상이 심해지기도 하지만 적절한 치료를 하면 낫는 병이므로 꾸준히 치료한다. 보기 좋지 않다고 안대를 하는 경우는 더욱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고 눈 위에 얼음 찜질을 해 주는 것이 좋다. 또한 과로를 피하며, 수영장등 대중시설 이용을 삼가고, 개인 위성청결을 철저히 하여야 한다.
○ 환자 관리 환자가 발생한 경우에 환자와의 접촉을 삼가고 수건이나 세수대야 등의 물품을 따로 써야 한다. 환자가 사용한 물건과 접촉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 예 방 : 유행성 눈병을 예방하려면 다음의 사항을 지켜야 한다. - 되도록 유행성 눈병 환자와의 접촉을 삼가 한다. - 가족중에 눈병 환자가 있을 때에는 반드시 수건과 세수대야를 별도로 사용해야 한다. - 기타 눈병 환자가 만진 물건을 접촉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 외출시에 손을 자주 씻고 눈을 비비지 않도록 해야 한다. - 눈병에 걸렸을 경우에는 즉시 가까운 안과 병·의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 수영장 등 대중시설 이용을 삼가 한다.
○ 예방접종 : 없음
【 눈병 대처 방안】 ○ 개인 - 비누를 사용하여 흐르는 수돗물에 손을 자주 씻는다 - 수건이나 개인 소지품(컵 등)을 다른 사람과 함께 사용하지 않는다 -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밀집된 장소는 피하고, 특히 수영장 출입을 삼간다 - 눈에 부종, 충혈, 이물감 등이 있을 경우에는 손으로 비비거나 만지지 말고 안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다 ○ 환자 - 중상완화 및 세균에 의한 이차 감염 또는 기타 합병증 예방을 위하여 안과 치료를 받도록 한다. - 수건이나 소지품은 다른 사람과 같이 사용하지 않는다. - 개인용품은 끓는 물에 소독하거나 500ppm농도의 살균제(치아염소산나트륨 등)에 10분간 소독한후 사용한다. - 눈은 가급적 만지지 않도록 하며, 만지기 전후에는 반드시 흐르는 수돗물에 손을 깨끗이 씻는다. - 전염기간(약 2주간)동안에는 놀이방, 유치원 및 학교 등은 쉬도록 하고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는 피하도록 한다. ○ 학교 및 기타단체 - 질병의 특성(높은 전염력 등)에 대하여 학생에게 교육시키고 가정통신문 등을 이용 하여 가족에게도 교육·홍보한다. - 환자 또는 의사 증세가 있는 학생은 등교를 하지 않도록 하고 수건 등의 공동사용을 피한다. - 개인용품은 끓는 물에 소독하거나 500ppm농도의 살균제(차아염소산나트륨)에 10분간 소독한후 사용한다. - 가급적 끓일 수 있는 것들은 끓여서 소독하고, 책상 등은 차아염소산나트룸 살균제를 (500ppm 이상의 농도)이용하여 닦는다.
【개인위생 4대 수칙】 1. 반드시 끓인 음식물을 섭취하고 날 음식물은 삼갑시다. 2. 외출 후 손을 깨끗이 씻기 등 개인위생에 주의합시다. 3. 조리기구는 청결히 하여 사용합시다. 4. 음식물을 오래 보관하지 맙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