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희귀 난치성질환자 의료비 지원사업
가. 신청인 : 본인, 또는 환자가족, 희귀난치성질환 단체 (환자가
서면으로 위임 한 경우) 가 직접 보건소 방문 필요한 서류를
구비하여 의료비 지원 신청서 작성 신청.
나. 기 간 : 연중 수시 접수.
다. 장 소 : 주소지 보건소.
라. 절 차 : 신청서 접수 복지부 전산 프로그램 환자등록신청서
입력 읍 ․ 면 ․ 동 재산,소득조사의뢰 읍, 면, 동 조사서
검토 후 등록 여부 결정 등록.
3. 지원대상 질환 : 희귀 난치성질환자 89종 2005년도 71종지원 2006년
89종으로 확대지원 (지원질환명 : 붙임참조)
4. 지원대상자
가. 의료급여 제2종 수급자(소득, 재산조사 제외 )
나. 건강 보험 가입자 중 환자가구와 부양의무자 가구의 소
득, ] 재산기준이 보건복지부 지침 기준에 합당한자.
(소득, 재산조사 실시 후)
다. 간병 비 지원 대상 질환자
°근육병(G12.0~12.9,G71.0~71.3),다발상경화증(G35),
유전성운동실조증 (G11.0~11.9),뮤코다당증(E76),부신백질
이영양증(E71.3) 지체, 뇌병변장애 1급 등록자
※의료급여 1종도 해당됨.
5. 지원의료비
가. 건강보험 급여비용 중 비급여 의료비를 제외한
『법정본인부담금』의료비
(원본영수증에 한함)
나. 입원기간 식대 50%지원
다. 간병비 :월20만원.
라. 보장구(하지보조기등) :건강보험적용 본인부담금지원
(건강보험80%,본인20%) 보조기상사에서 구입한 비용 지원 제외.
마. 호흡보조기 대여료:월80만원 이내,산소호흡기대여료:10만원이내
6. 의료비지원 방법
가. 매월 등록 된 희귀 난치성질환자 진료비 원본 영수증 집계 지원 금액
확인 검토 복지부 전산 프로그램 개인별 입력 의료비지원 신청서 출력
출력한 개인별 신청서에 원본영수증 첨부 1달 최종 집계 표 보건소장
결재 시청금고 집계표 제출 본인구좌 입금
나. 의료비 본인부담금 보증제 실시 병, 의원에서 환자진료 내역서 첨부 의료비
청구서 접 수 지원금액 확인검토 복지부 전산프로그램 개인별 입력
개인 별 의료비 청구 서 출력 1달 최종집계 표 보건소장 결재
시청 금고 집계 표 제출 해당 병원
계좌로 진료비 입금.
7. 의료비 지급 개시일 및 종료일
가.의료비 지급 개시일.
의료비 지원 신청을 받아 대상자로 선정된 경우에는 의료비
지원 신청일이 아닌 등록 승인일 부터 진료 받은 의료비
영수증으로 지원.
나.의료비 지급 종료일.
의료비 지원 대상자로 선정 의료비를 지원 받는 과정에서 {1종 전
환, 사망, 신장 이식, 전출, 재산 소득초과, 요양원입소} 등 사항
이 발생시는 발생시점을 기준으로 퇴록 조치하고 의료비 지
급을 중단함.
※문의: 진주시 보건소 건강증진과 만성병관리담당자 전화: 749-4989
’06년 희귀․난치성질환자 의료비 지원대상 질환
구분 |
코드 |
질환명 |
비고 |
1 |
A81 |
중추신경계통의 비정형 바이러스감염 |
|
2 |
B45 |
크립토콕쿠스증 |
|
3 |
D35.2 |
뇌하수체 양성신생물 |
\'06년 신규 질환 |
4 |
D55.0 |
포도당6인 산탈수소효소[6PD]결핍에 의한 빈혈 |
\'06년 신규 질환 |
5 |
D55.2 |
해당 효소장애에 의한 빈혈 |
\'06년 신규 질환 |
6 |
D60, D61 |
재생불량성빈혈 |
\'06년 신규 질환 |
7 |
D66~D68.4 |
혈우병 |
|
8 |
D69.1 |
정성혈소판 결함 |
|
D69.1 |
글란즈만병 |
| |
9 |
D69.6 |
상세불명의 혈소판감소증 |
|
10 |
D70 |
무과립세포증 |
|
11 |
D71 |
다핵성호중구의 기능적 장애 |
|
12 |
D76 |
림프망 계통을 침범하는 특정질환 |
|
13 |
D80~D84 |
면역결핍증 |
|
14 |
D86 |
사르코이도시스 |
|
15 |
E22.0 |
말단거대증 및 뇌하수체 거인증 |
\'06년 신규 질환 |
16 |
E23.0 |
뇌하수체 기능저하증(칼만 증후군) |
\'06년 신규 질환 |
17 |
E24.0 |
뇌하수체-의존 쿠싱병 |
\'06년 신규 질환 |
E24.1 |
넬슨 증후군 | ||
E24.3 |
딴곳 부신피질 자극호르몬 증후군 | ||
18 |
E25 |
부신성기장애 |
|
19 |
E27.1~2,E27.4 |
부신의 기타장애 |
|
20 |
E34.8 |
기타 명시된 내분비장애(레프리코니즘 등) |
\'06년 신규 질환 |
21 |
E70 |
방향성아미노산 대사장애 |
|
E71 |
측쇄 아미노산대사 및 지방산 대사장애 |
| |
E71.3 |
부신백질영양장애 |
| |
E72 |
아미노산대사의 기타장애 |
| |
E73 |
유당불화증 |
| |
E74 |
탄수화물대사의 기타장애 |
| |
E75.2 |
고셔병 |
| |
E75.2 |
파브리병 |
| |
E76 |
뮤코다당증 |
| |
E77 |
당단백질 대사장애 |
| |
22 |
E80.2 |
기타 포르피린증 |
|
23 |
E83.0 |
구리대사장애(윌슨병 등) |
|
24 |
E84 |
낭성섬유증 |
|
25 |
E85 |
아밀로이드증 |
|
26 |
F84.2 |
레트 증후군 |
|
27 |
G10 |
헌팅톤병 |
|
G11 |
유전성 운동 실조증 |
| |
G12 |
척추성 근육위축 및 관련 증후군(근육병) |
| |
G13 |
중추신경계통에 영향을 주는 전신 위축 |
\'06년 신규 질환 |
28 |
G20 |
파킨슨병 |
\'06년 신규 질환 (장애등급 3급 이상만) |
29 |
G35 |
다발성경화증 |
|
30 |
G41 |
간질지속상태 |
\'06년 신규 질환 |
31 |
G51.2 |
멜커슨증후군(멜커슨-로젠탈증후군) |
\'06년 신규 질환 |
32 |
G56.4 |
작열통 |
\'06년 신규 질환 |
33 |
G60.0 |
유전성 운동 및 감각 신경병증(샤르코-마리-투스병 등) |
\'06년 신규 질환 |
34 |
G61 |
염증성 다발 신경병증 |
|
35 |
G63.0 |
달리 분류된 감염성 및 기생충성질환에서의 다발신경병증 |
\'06년 신규 질환 |
36 |
G70.0~G70.2 |
중증 근무력증 |
|
37 |
G71.0~G71.3 |
근육의 원발성 장애 |
|
38 |
G90.8 |
자율신경계통의 기타 장애 |
\'06년 신규 질환 |
39 |
G95.0 |
척수공동증 및 구공동증 |
\'06년 신규 질환 |
40 |
I42.0~I42.4 |
심근병증 |
|
41 |
I67.5 |
모야모야병 |
|
42 |
I73.1 |
폐색성 혈전 혈관염(버거씨병) |
|
43 |
I82.0 |
버드-키아리 증후군 |
\'06년 신규 질환 |
44 |
K50 |
크론병(국한성 창자염) |
|
45 |
K51 |
궤양성대장염(큰창자염) |
\'06년 신규 질환 |
46 |
K74.3 |
원발성 담즙성경화 |
\'06년 신규 질환 |
47 |
K75.4 |
자가면역 간염 |
\'06년 신규 질환 |
48 |
L10.0 |
천포창 |
|
49 |
L12.3 |
후천성 수포성 표피 박리증 |
\'06년 신규 질환 |
50 |
M08.0~M08.3 |
청소년성 관절염 |
|
51 |
M30.0~M30.2 |
결절성 다발 동맥염 |
|
52 |
M31.0~M31.4 |
기타 괴사성 혈관병증 |
|
53 |
M32 |
전신 홍반성 루프스 |
|
54 |
M33 |
피부다발근육염 |
\'06년 신규 질환 |
55 |
M34 |
전신경화증 |
|
56 |
M35.0~M35.7 |
결합조직의 기타 전신침습 |
|
M35.2 |
베체트병 |
| |
57 |
M45 |
강직성 척추염 |
\'06년 신규 질환 |
58 |
M89.0 |
동통성 신경영양장애 |
\'06년 신규 질환 |
59 |
M94.1 |
재발성 다발 연골염 |
\'06년 신규 질환 |
60 |
N18 |
만성신부전증 |
|
61 |
N25.1 |
콩팥(신장성) 요붕증 |
|
62 |
P22.0 |
신생아의 호흡곤란 |
\'06년 신규 질환 |
63 |
Q05 |
척추갈림증 |
\'06년 신규 질환 |
64 |
Q06.2 |
척수갈림증 |
\'06년 신규 질환 |
65 |
Q07.0 |
아놀드-키아리증후군 |
|
66 |
Q20.0 |
총동맥줄기 |
|
Q20.1 |
양대혈관 우심실 기시증 |
| |
Q20.2 |
양대혈관 좌심실 기시증 |
| |
67 |
Q22.0 |
폐동맥판막 폐쇄 |
|
68 |
Q22.6 |
발육부전성 우심 증후군 |
|
69 |
Q23 |
대동맥 및 승모판의 선천기형 |
|
70 |
Q24.5 |
심장동맥 혈관의 기형 |
|
71 |
Q25.5 |
폐동맥 폐쇄 |
|
72 |
Q26.0~Q26.6 |
대정맥의 선천 기형 |
|
73 |
Q44.2 |
쓸개관(담관)의 폐쇄 |
\'06년 신규 질환 |
74 |
Q75.1 |
머리얼굴뼈 형성 이상(크루종병) |
|
75 |
Q75.4 |
턱얼굴뼈 형성이상 |
\'06년 신규 질환 |
76 |
Q77.4 |
연골무형성증 |
|
77 |
Q77.5 |
이영양성 형성이상 |
|
78 |
Q78.0 |
불완전 골형성증 |
|
79 |
Q78.1 |
다골성 섬유성 형성이상(알브라이트증후군) |
|
80 |
Q79 |
달리 분류되지 않은 근육골격계통의 선천성기형 |
\'06년 신규 질환 |
81 |
Q81.1 |
치사성 표피 수포증 |
\'06년 신규 질환 |
Q81.2 |
이영양성 표피 수포증 | ||
82 |
Q85.0 |
신경섬유종증(비악성 : 폰 렉클링하우젠병 ) |
|
83 |
Q86.0 |
(이상형태증성)태아알코올증후군 |
|
84 |
Q87.0 |
주로 얼굴형태에 영향을 주는 선천기형증후군(Apert, 골덴하증후군 등) |
\'06년 신규 질환 |
85 |
Q87.1 |
주로단신과관련된선천기형증후군 (프라더월리증후군 등) |
|
86 |
Q87.4 |
마르팡 증후군 |
\'06년 신규 질환 |
87 |
Q90 |
다운증후군 |
|
88 |
Q91 |
에드워즈 증후군 |
|
Q91 |
파타우 증후군 |
| |
89 |
Q96 |
터너증후군 |
|
* \'06년 추가된 신규질환(비고난에 표시)은 35개 질환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