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감나무가 집집마다 서 있기 때문에 생겨진 이름으로 본동의 북쪽에 위치한 마을이다.
본동과 대사골 중간 지점에 위치한 작은 등성이다.
본동의 남서쪽에 위치한 작은 산을 가리키며, 지금은 인가가 많이 들어서 있다.
이현동과 대삿골 사이에 위치한 작은 고개이다.
이현동 골짜기의 총칭이다.
본동의 중심을 이루는 마을로서 2개의 골짜기에 마을이 퍼져 있으며, 고갯길이 2개나 생겨서 생겨진 이름으로 전래된다.
본동의 북쪽으로 두우개에서 한 고개를 넘으면 동네가 있는데, 이 동네는 세모꼴로 몬노실이라고 불리던 것이 차차 변해서 모노실이 되었다고 한다.
두우개에서 판문동으로 넘어가는 길목의 길다란 골짜기이다.
모노실에서 두우개로 넘어가는 골짜기이다.
두우개 앞에 펼쳐진 좁은 들판이다.
두우개 앞산이며, 산이 마치 지네가 기어가는 모양으로 생겼고 산기슭에 인가가 제법들어섰다.
명석면과 이현동의 경계가 있는 마을로서, 그 서쪽에 나불천이 흐르고 있으며, 그 남동쪽 끝에 못이 있어 관개수로 이용되고 있다. 전설에 의하면 신라시대에 이 내 상류에서 부처가 떠내려와 나부리에 와서 멎었다고 하여 그로부터 이 동네를 나부리(羅佛里)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유곡동의 가장 들머리에 있는 마을로서 옛날 대밭이 많았던 곳이라고 한다.
대밭밑과 버드골 사이에 있는 작은 마을로, 그 뒤쪽 산의 돌출부로써 돌을 캐어 내던 곳이었다.
돌깨나모티와 못 밑 사이에 산재하고 있는 골짜기로 버드나무가 많이 심어져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모두 베어버리고 도시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