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시, 생산 ․ 마케팅 지원으로 지역농산물 판매 ․ 수출 ‘앞장’
-‘농산물종합가공센터’에서 농산물 가공 시제품부터 판매품 생산까지 지원 -
- K-농산물 경쟁력 제고 기반 조성·전략품목 통합지원·해외 신시장 개척 나서 -
▶ 농산물종합가공센터, 농산물가공 제품 제조 테스트베드 역할 기대
2024년 4월 식품제조가공업을 등록한 ‘진주시농산물종합가공센터’가 농산물가공 창업 전문인력을 육성하고 창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농산물가공 제품의 성공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Test Bed)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농산물종합가공센터는 농산물 가공품을 다품목 소량 생산할 수 있는 시설로 797㎡ 규모에 가공시설, 복합식문화교육장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88종의 가공 장비를 갖추고 있다. 2024년 7월부터 2025년 3월 말까지 시제품 테스트 86건, 판매제품 생산 22건, 품목제조보고 24건 등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시는 위생적이고 안전한 가공제품 생산을 위해 과채주스와 캔디류 식품군에 대해 식품안전관리인증(HACCP)을 취득했으며, 올해 상반기에 다류(액상차)와 잼류 식품군에 대한 인증을 추가 신청할 예정이다.
또한 농산물가공 창업을 희망하는 농업인을 대상으로 창업 초기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창업에 필요한 기초지식과 실습과정이 포함된 ‘농산물가공 창업 아카데미’를 분기별로 운영하고 있다. 이 과정을 수료한 농업인은 유통전문판매업 신고를 한 후 농산물종합가공센터 내 시설·장비를 사용하여 잼, 분말, 음료 등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며, 제품 기획, 가공 자문 등 컨설팅을 받으며 가공제품을 생산하게 된다.
지역농산물을 활용하여 시제품에서 판매제품 생산, 품목제조보고와 영양성분 분석 및 포장재 지원을 받아 출고된 고추다짐장, 샤인머스캣잼 등 가공제품은 로컬푸드직매장, 진주드림 쇼핑몰, 네이버 스토어팜 등에 농산물종합가공센터를 제조원으로 판매되고 있다.
시는 소비자 트렌드에 맞춰 가공제품의 품목을 다양화하고 소비시장을 확대하기 위해 올해 1억 원을 투입해 지역농산물을 활용한 가공제품과 포장디자인을 개발하고 가공 장비도 구입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농산물종합가공센터는 농업인의 농산물가공·상품화 아이디어를 실제 제품화해 판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창업보육 기능을 하고 있다”며, “앞으로 지역농산물 소비 촉진과 농업인의 새로운 소득창출 기반 마련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K-농산물 경쟁력 제고 기반 조성 및 해외 신시장 개척에 97억여 원 투입
진주시는 급변하는 수출시장에서 수출 농산물 활성화를 위해 K-농산물 경쟁력 제고 기반조성, K-농산물 전략품목 통합지원, 해외 신시장 개척활동 지원 등을 위해 올해 97억 8000만 원의 지원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시는 1993년 첫 농산물 수출을 시작하여 국제적인 경기침체, FTA, 코로나19 등 수출농업의 위기 속에서도 꾸준히 전국 신선농산물 수출 1위를 유지하고 있다. 기존 물량위주 수출에서 품질 고급화를 위해 수출에 적합한 고품질 품종 변경과 프리미엄 포장법 개발로 진주시 농산물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지속가능한 수출을 위해 수출국 다변화 및 품목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계속되는 엔저 영향과 전년도 이상기후로 농작물의 전반적 작황이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신선농산물 5939만여 달러, 가공농산물 94만여 달러 등 총 6034만 달러의 수출 성과를 이루었다.
그 결과 2024년에는 농림축산식품부 원예전문수출단지 평가에서 22개 농단 중 14개 농단이 최우수 단지로 평가를 받았고, 경상남도 수출종합평가에서 수출시책평가 최우수기관 선정, 최고수출농단(수곡덕천 영농조합법인)이 선정되는 쾌거를 달성하였다.
또한 특판행사를 통한 새로운 수출국 확보와 신규품목 발굴을 위한 해외시장 개척 활동을 추진하고 있으며, 오는 11월 안정적인 수출판로를 유지하고 급변하는 시장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수출상담회도 진행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농산물 수출은 국제 무역에서 공산품 수출과는 달리 국가별로 농산물 종류에 따라 생산과 품질 검역기준을 엄격하게 준수해야 하며, 국가 간 교역으로 국제 정세의 영향에 민감하고 기후 영향에 따른 작황부진 등은 수출 여건에 큰 영향을 미친다”며 “물류비 절감을 위해 진주시는 CA 컨테이너 시범 사업 등 향후 물류체계 개선과 수출 경쟁력 제고 사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겠다”고 말했다.
농업정책과
농촌자원팀 055-749-6116
농산물수출팀 055-749-6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