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914년, 진주군 송곡면 송곡동(松谷面松谷洞) 일부로서 송곡리(松谷里)라 하였다.
본래 소나무가 많았으므로 소실 또는 송곡이라 불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금곡면이 되었다. 약 사백 년 전에 문화류씨가 정착하여 소실이라 불러왔고 지금은 약 오십여호가 살고 있다.
눈덕 가운데 있는 골짜기이다.
발음상 간눈덕골로 불린다. 눈덕옆에 있는 골짜기란 뜻이다.
송곡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용두혈이란 명당인데 밀장을 했기 때문에 개머리라는 뜻에서 용의 머리가 개머리가 되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일명 도천(渡泉)이란 우물이다. 송곡 남쪽에 있던 샘으로 나병환자에게 신통한 영험이 있어 좋은 약물이라 하여 많은 나병환자들이 모여들자 개를 잡아넣어서 그 후에는 약효가 없어졌다 한다.
일명 한자로 구린등(구린嶝)이라고 한다. 송곡 남쪽에 있는 산등성이로서 산의 형국이 거북이가 밟고 지나간 형상이라 하여 지명으로 굳어진 것으로 인정된다. 등(嶝)이 딩으로 바뀌고 거북이가 고부로 발음되고 잔등을 장으로 잘못되어 고부장딩이로 불리게 된 듯하다.
송곡 동쪽 구석진 곳에 있는 골짜기이다.
송곡 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가져다 바치었다는 뜻에서 드린골 또는 방언으로 다린골로 불리어진 듯하다.
송곡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지형이 사람이 누워있는 형국이라 하여 와등(臥嶝)이라 한다. 누워있는 언덕의 준말인 듯하다.
송곡 남쪽 들이다. 달처럼 생겼다 하여 부르는 이름이다.
송곡 동쪽 첫머리에 있는 골짜기이다.
송곡 동쪽에 있는 골이다. 너무 멀어서 나무하러 가다가는 망한다는 뜻이다.
송곡 동쪽에 있는 산이다. 산 정상에서 막을치고 측량표준점을 잡았다 한다.
송곡 동쪽에 있는 골이다. 미영밭골이라 한다. 미영은 목화의 방언이므로 무명밭골 즉 목화 밭이 있는 골이란 뜻이다.
송곡 남쪽에 있다. 지형이 방아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버드나무가 있었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버드나무골을 줄여서 붙여진 이름이다. 일명 유곡(柳谷)이라 한다.
봉암사(鳳岩寺)란 절이 있던 곳이다.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한자로 분매곡(分梅谷)이라고 쓰는 것으로보아 분매가 바꿘 것으로 보인다.
송곡 서남쪽에 있는 나무이다. 약 오백년된 나무로서 전에 벼슬했던 사람이 환향하여 이 나무밑에서 북쪽을 향하여 절을 하였다는 전설에서 지어진 이름이라 한다.
송곡 동쪽에 있는 논이다.
송곡 동쪽에 있는 들 이름이다.
송곡 동쪽에 있다. 등성이를 말한다.
일명 휘영골이라고도 한다. 송곡 동쪽에 있다.
송곡 동쪽에 있다. 을용곡(乙龍谷)이라고도 하고 을용곡이라고도 한다.
오리끝이라 하며 송곡 동쪽에 있다.
한산봉을 말한다.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송곡 동쪽에 있는 골 이름이다.
전짓등이라고도 한다. 송곡 서쪽에 있는 산등성이를 말한다.
송곡 동쪽에서 갈촌리의 칡갈로 가는 고개이다.
송곡 동쪽에 있는 등성이다. 강판서의 묘와 유씨의 묘가 있으나 전란으로 평지가 되었다 한다.
송곡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전에 진사(進士)가 살던 곳으로 화짓대를 세웠다고 한다.
옥산봉이라고도 한다. 성곡 북쪽에 있는 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