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어보세요!진주톡포유

두문리(斗文里)

1914년, 진주군 성을산면 두문동(省乙山面斗文洞)·석계동(石界洞)·성산동(省山洞)·신대동(申大洞), 고성군 오읍곡면 동동(吾邑谷面東洞)·서동(西洞) 각 일부로서 두문리(斗文里)라 하였다. 두문리는 두문(斗文), 세경(洗간), 석계(石界) 세 개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행정구역 개편 시 금곡면에 편입되어 오늘에 이른다.

두문(斗文)

두문의 이름은 드물, 드리무, 입물, 더문, 도무리, 두무리라는 말로 책에서 전하여 오는 점으로 보아 두문리라는 이름이 만들어 진 데는 사연이 않은 것으로 짐작된다. 영현면에서 흘러드는 도산천(都山川)과 영오면에서 흘러드는 군산천(群山川)이 합하여지는 지점인 것으로 보아 도산천의 도와 군산천의 무리(群)를 합하여 도무리가 두문리의 유래인 듯도 하고, 현재 더문골이란 곳이 옛날 두문리 마을이었는데 세월이 흘러 물이 잘 들어오지 않자 차차 낮은 곳으로 옮겨왔다는 것으로 보아서 드무리라는 말도 일리가 있는 듯하다. 책에 들입(入)자 말물(勿)자로 하여 입물이란 이름도 있는 것으로 보아 물이 들지 말라는 뜻이 있는 듯도 하다. 또 더문이란 말은 드물다는 경상도의 벙언인 것으로 보아 물이 잘 들어오는 일이 드물어서 사람 살기가 좋다는 뜻도 되므로 결국 도무리 또는 두무리로 되었다가 훗날 글을 잘하는 사람이 들어와 살면서 음이 비슷한 두문리로 바꾸어 한자의 두의 뜻은 많다 좋다 대단하다는 뜻이 있으므로 글이 좋다, 글을 잘한다는 의미로 두문리로 바뀌어 온 것으로 추측된다. 또 두문리는 삼면이 강으로 막히어 있어 막을 두(杜)와 면할면(免)을 써서 두면으로 부르게 되고 두면은 마을을 보호한다, 액을 면하게 한다는 등의 뜻이 있다고 한다. 그래서 지금도 대문이 없는 마을이다. 약 백년 전에 학문의 열기가 높으면 선비와 벼슬할 사람이 많이 난다고 하여 두문리라 하여 오늘에 이른다.약 오백년 전부터 김해김씨가 정착하였다는 설이 있으며 현재는 김해김씨가 대성을 이루고 있다.

가마뻔덕산

거레 뒤쪽에 있는 산 이름이다.

거레마을

두문마을에서 보면 서쪽이요, 세경에서 보면 동쪽에 있다.

계산골

골 안 앞에 있는 골짜기이다.

골밭산

북쪽에 있는 산이다.

골안마을

거레 북쪽에 있는 마을이다.

농바우

북쪽에 있는 바위이다.

대마등

뒤쪽에 있는 등성이다. 서씨(徐氏)들이 약 오백년 전에 들어와서 살게 되었고 현재 20호 정도의 후손들이 살고 있다.

더문골

북쪽에 있는 골짝이다. 전에는 두문마을이 여기에 있다가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

동산이

동족에 있는 산이다.

뒷당산

뒤쪽에 있는 산이다.

땡끝머리

북쪽에 있는 절벽을 이룬 산이다.

성지골

북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솔태골

골안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용두산

북쪽에 있는 산이다. 공동묘지가 있다.

우들

거레 북쪽 비탈에 있는 마을이다. 두문 앞에는 감남들을 적시는 감남보와 모담들을 적시는 모담보가 있다. 상부의 것은 감남보요, 아래의 것은 모담보이다. 조금더 올라가서 갈라진 세경 앞의 작은 보는 신대(申大)들을 적시는 남대보라고 한다.

동산미

두문리 동쪽에 위치한 도산 기슭에 있는 마을이다. 동쪽에 있는 좋은 아름다운 마을이란 뜻이다. 약 4백년 전에 만석이란 거부가 살았다는 전설이 있고 이곳은 제비설이란 말이 전해오는 바와 같이 언제인가 따뜻한 봄날이 와서 한 번은 번창 할 것이란 암시가 있는 마을이다.

동산뻔덕

동산 위에 있는 넓은 곳이다. 옛날부터 마을 어린이들이 모여 놀기도 하고 씨름판이 벌어진 곳이다. 동사미는 서씨가 주류를 이루고 다음으로는 김씨, 우씨가 살고 있다. 서씨는 약 백년 전에 영오면 오동리에서 건너와서 살았다고 한다.

세경(洗간)

세경마을은 본래 사람이 살지 않은 들판이었다. 한국이 현대화 되면서 1918년에 현대 산업도로(당시 새로 생긴 도로란 뜻에서 신작로(新作路)라고 불렀다고 한다)가 처음으로 생기고 뒤이어 십년도 못되어 엄정마을 앞에 있던 어정시장(현재는 일부가 강바닥으로 돌징검다리 옆이고 일부는 대밭과 논이 되어있다. 아직도 풀무질 하던 대장간 터에서 쇳물 녹은 쇠돌덩이가 강바닥에 흩어져 있다) 이 1927년에 세경마을 현재의 시장터로 옮겨오면서 본격적으로 마을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관공서로써는 처음으로 경찰관 주재소가 1938년에 검암리 999번지에서 두문리 612번지의 1호로 이설되고, 다음으로는 면사무소가 1943년에 검암리 1197번지에서 두문리 594번지로 옮겨왔다. 1963년에는 두문 우체국이 두문리 613번지의 2호에 창설되었고, 금곡농협은 1972년에 두문리 612번지의 3호에 개설되었다. 이렇게 하여 관공서가 세경부락에 모이게 되었다. 학교로는 두문국민학교가 1948년 두문리 682번지의 5호에서 개교하였다. 이렇게 하여 마을이 성장하여 오던 중 1979년에 소도읍이 가꾸어지면서 오늘에 이른다. 마을이 커지자 마을 이름을 만들어야 겠다는 중론이 일어나서 1952년에 면의회가 형성되어 면의회에서 정확한 마을 이름도 없이 시장부락으로 부를 수 없지 않느냐는 중론이 일어났다. 이 때 두문리 대표 면의원이었던 김동열의원이 앞의 내의 이름이 김유신 장군이 대첩을 하고 칼을 씻었다는 세검내(洗檢川)일진대 여기에서 세자를 따고 거울과 같이 깨끗하게 살자는 뜻으로 경자를 따서 세경으로 마을 이름을 지으면 좋겠다는 의제가 면의회에서 채택되어 오늘의 세경으로 불리어지게 되었다 한다.

석계(石界)

석계는 돌곶이 또는 돌곶이라 불리어진다. 석계라는 뜻은 진양군과 사천군사이의 경계돌로서 표시를 하고 큰돌을 꽂아 둔데서 돌로 경계를 표시했다는 뜻으로 석계라 하고 돌을 꽂아 두었다는 뜻으로 돌꽂이 마을 또는 돌곶이라 불리어진다고들 한다. 또는 마구 할머니 물레돌이란 전설도 있다. 옛날 마구 할머니가 물레돌을 하려고 두 개를 갖고 오다가 하나는 작아서 구암마을 앞에 버리고 큰 것은 현위치에 두었다는 전설이 전하여 온다. 청태산마구(靑台山馬駒) 할머니는 여장사(女壯士)였는데 힘이 얼마나 세었던지 동해바다에서 물레돌을 할려고 돌 두 개를 가져온 것이 하나는 구암마을 앞에 꽂힌 작은 것이요, 나머지 하나는 돌꽂이 고개에 꽂힌 큰 돌이다. 1977년에 사천 공군부대에서 이 돌을 뽑아 가버린 것을 알고 석삼수(石三壽)가 진양군청에 항의하여 다시 제자리에 갖다 놓게하여 현재에 이른다.

성인곡(聖人谷)

옛날에 성현(聖賢)이 살았다는 전설에 의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어전곡(御殿谷)

옛날에 궁전궁실(宮殿宮室)이 있었다는 말에 의하여 전하는 말이다.

왜인곡(倭人谷)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 왜인들이 주둔하고 있었다는 말에 의하여 전하는 말이라 한다.

봉황산(鳳凰山)

봉황은 임금의 상징임으로 어전곡과 성인곡의 뒷산을 이른 말이다. 동쪽의 봉우리는 북을 친다는 뜻으로 고봉(鼓峰)이요, 서쪽 봉우리는 병력을 지휘한다는 뜻으로 지휘봉(指揮峰)으로 불리어지고 있다. 그 아래 내려와서 도령산(道令山)과 나팔을 불었다는 나팔봉(喇叭峰)이 있다. 여덟가지 소리를 내었다는 팔음곡(八音谷)도 있다. 말인즉 어전곡과 성인곡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면 도령산에서 명령을 내리고 지휘봉에서 지휘를 하고 고봉에서 북을 치고 나팔봉에서 나팔을 불고 팔음곡에서 여덟소리를 내는 거문고가 노래를 불렀다는 전설이 전하여 온다.


페이지담당 :
금곡면
전화번호 :
055-749-3091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십니까?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