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무장애 도시』: 우리 시가 전국 최초로 추진하고 있는 보편적 복지시책
- 장애인, 노인, 임산부, 아동 등의 노약자가 개별시설에 접근․이용․이동하는 데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도시기반을 계획․설계․시공하여 장애물을 원천적으로 제거함으로서 사회적 약자를
비롯한 모든 시민이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생활환경이 구축된 도시를 말함.
2. 도입배경
► 현재의 도시 여건상 보도 진입부의 턱, 건물 출입구와 접근로 사이의 높이차이 등 장벽으로
인해 어린이․노인․장애인․임산부 등의 노약자가 이동과 시설 이용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음.
► 신체적 약점 때문에 주로 집안에서 생활하는 노약자가 스스로의 힘으로 외부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도시의 기반시설과 건물 구조를 만들어야 할 필요성 대두
► 노약자가 불편 없이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어 다함께 살기 좋은 복지사회를
만들기 위함
3. 추진방향
► 진주형 BF(barrier free) 인증제 도입
► 공공시설물의 무장애 의무화
► 다중이용시설의 문턱없애기 운동 추진으로 접근성 보장
► 노약자에 대한 편의증진사업 실시로 이동권 보장
► 관련 종사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매뉴얼 보급 및 전문교육 실시
► 장애체험관 설치 운영으로 사회적 공감대 형성
► 장애인와 비장애인이 함께 하는 통합행사 개최로 시민의식 개선 도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