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914년, 진주군 문산면 삼동(三洞), 송곡면 정자동(松谷面亭子洞), 이곡면 어수동(耳谷面魚수洞) 각 일부로서 이곡리(耳谷里)라 하였다.
옛날에는 예늪이라 불렀다. 마을이 처음 형성될 때 오른쪽 숲이 있었는데 숲아래쪽에 있는 못(池)에는 항상 고기가 많이 놀기 때문에 고기어(魚)자와 늪수(藪)자로 하여 어수마을이 되었다고 한다.
어수마을 앞 쑥밭 들판에 있는 자연의 못이다. 토박이들은 오래전부터 「연늪」이라 부르는데 연(蓮)이 많이 생산됨으로 불려진 이름이라 한다.
마을 동쪽에 있는 산이다. 옛날 금을 캐던 곳이라 한다.
외따로 떨어져 있는 골짜기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마을 동쪽에 있다. 꼬불꼬불한 골짜기이다.
마을 남쪽의 골짜기이다.
사들(沙坪) 농업용수의 수원(水源)이다. 영천강(穎川江)을 가로막아 만들어진 보(洑)로서 보 안은 수심(水深)이 좋기 때문에 낚시터로도 유명하다.
지형이 사람의 귀처럼 생겼으므로 귀실(구실)이라고도 하고 사방이 산으로 둘러 싸여있고 중앙에 뫼등이 이어져있어 마치 귀 안과 같이 생기고 입구에 귓밥과 같은 지형(地形)으로 되어 있어 마을 밖으로 (마을을 떠남) 나가면 못산다는 전설이 있다. 임진왜란 때 노(盧)씨, 박(朴)씨, 이(李)씨 성(姓)받이 들이 피난차 이 골짝 마을에 들어온 것이 정착되어 마을이 이루어졌고 또 6·25동란 때에도 이 마을이 유일한 피난처였다.
마을 서쪽에 있는 산으로 거북이등과 같이 생겼다고 지어진 이름이다.
마을 동쪽에 있는 공동우물이다.
마을 동남쪽에 있고「대곡」이라고도 하는 골짜기이다.
마을 남쪽에 있는 산이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