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914년, 진주군 이반성면 용암동(龍岩洞), 간동(間洞), 하서동(荷西洞) 각 일부로서 용암리(龍岩里)라 하였다. 용암리의 행정 리동은 용암, 모곡, 하동 등으로 분류한다.
본 면 중앙에 있는 마을로 마을 뒷산이 영봉산이다. 영봉산 줄기가 용암을 에워싸고, 주변의 산세와 암석의 형태가 용과 같은 형세라 하여 용암이라고 부른다. 이 마을에는 해주정씨가 집단으로 거주한다.
동촌 북쪽에서 장안 정수로 가는 고개이다.
동촌 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영봉산에서 내려다보면 말꼬리처럼 생겼다고 한다.
서촌 동남쪽에 있다. 이곳에서 기우제를 지냈다.
서촌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이곳에 배나무가 많이 자생한다.
옛날 숲이 우거져 새들이 많이 모였다고 한다.
메실 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악새미가 있다.
메실 동쪽에 있다. 옛날에 처녀가 말 타고 가다가 떨어져 죽었다고 한다.
메실 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통장수가 지나다가 죽었다고 함.
옛날부터 마을 앞에 조그마한 못이 있었다 하여 동명을 모곡이라 하였고, 이 마을을 모곡, 밤실, 면소땀 등으로 분류하는데 면소땀에는 본 면 중앙지로서 면사무소, 중학교, 농협, 지서, 중대본부, 우체국, 보건소, 복지회관 등 관청이 밀집되어 있다. 주된 성씨는 밀양박씨이고 그 외 여러 성씨가 살고 있다.
마을 뒤쪽 산세가 새우등과 같다고 하여 새우골이라 부른다.
영봉산 꼭대기에 있다. 한발이 계속되면 이곳에서 기우제를 지냈다.
영봉산 바위틈에서 나는 물을 홈으로 인용, 연결하여 용암사 절까지 대었다고 한다.
용암사지 앞에 있는 골로서 용암사에 왕래하는 승려들이 이곳에서 쉬어갔다고 한다.
용암사가 있는 골짜기이다.
영봉산 북쪽에 있다. 이 바위 위에 서면 주위를 모두 구경할 수 있다는 뜻이다.
용암부락 중앙에 있다. 약 400여년의 수령을 가진 정자나무로 매년 음력 1월 15일에 전 동민들이 모욕재계하여 동신제를 지내고 돼지머리를 나무밑에 묻었다고 한다.(군 보호림)
용암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옛날에는 못이 있었다고 한다.
용암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옛날에 잣나무가 많았다고 한다.
용암사지에 있는 해주정씨의 재실이다.
용암사지에 있는 탑 (보물 372호로 지정)이다.
본면 사무소는 1935년에 가수개리에서 본면 중앙지인 용암리 290의 5번지로 이전하였고, 1973년에 이반성중학교 운동장지(運動場地) 확장으로 학교 설립자인재일교포 김옥석이 사비로서 면 청사 맞은편 290의 31번지로 이전하였다.
1964년 1월 30일부로 재일교포 김옥석이 설립하였다.
1972년 8월 25일에 설립되었다.
옛 용암사 절터에 있다. 가산 정찬의(可山鄭鑽毅)가 그의 종족으로 더불어 공동으로세워서 장수(藏修)하던 곳이다. 계산(溪山)에 운림(雲林)의 흥취가 있고 농포(農圃)충의공의 문집판을 소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