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914년, 진주군 가수개면 대동(可樹介面大洞)), 가산동(佳山洞), 외진성면 답천동(外晋城面沓川洞) 각 일부로서 대천리라 하였다. 그전의 동명은 한골이었고, 이 마을의 주된 성씨는 장흥 고씨이며 행정리동은 대동, 오동, 심신 등으로 분류된다.
대천리 전체 마을을 말한다.
대천 서북쪽에 있는 마을이다. 마을 앞에 오리가 많이 왔다고 한다.
깊은 한골) 대천 위쪽에 있는 마을이다. 골짝 안의 끝 마을을 뜻한다.
한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옛날 홍역과 날수 많은 병 등으로 죽었을 때 땅을 파지 않고 임시매장 하던 골짜기이다.
깊은 한골 동쪽이다. 옛날 금광이 있었다고 한다.
보담산의 정상이다. 세부 측량 때 기점 표시 깃대를 꽂았다고 한다. 또 봉화를 올렸다고도 한다.
한골 동쪽에 있는 들이다. 동신제를 지내던 당이 있었다.
당산 들에 있던 느티나무와 회나무이다. 옛날 맹씨가 심었다고 한다. 지금은 경지정리로 없어졌다.
한골 중앙에 있다. 장흥 고씨 재실이다.
한골 중앙에 있는 삼거리이다. 전에 연못이 있었다.
모의재 앞에 있는 사거리이다. 옛날에 뽕밭이 많았다고 한다.
한들 북쪽에 있는 들이다. 베를 짤 때 쓰는 북처럼 생긴 북등이라는 등뫼가 있었다가 지금은 경지정리로 없어졌다.
생이밭골에 있는 바위이다. 상여처럼 생겼다.
한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옛날에 성당이 있었다.
선들에 있는 두 개의 바위이다. 옛날 길성에서 반성으로 돌이 걸어가는 것을 보고 가산마을 처녀가 "돌이 걸어간다"고 하자 그 자리에 서버렸다고 한다.
잔대산에 있는 골짜기이다. 성제암이라는 절이 있었다.
한골재 서쪽에 있다. 옛날에 숯을 굽던 곳이다.
깊은 한골 서쪽에 있다. 말안장처럼 생겼다고 한다.
오동 서쪽에 있다. 옛날에는 여우가 많았다고 한다. 지금은 경남 임업시험장 조수원으로 조성되고 있다.
오동 남쪽에 있다. 옛날 옹기를 굽던 곳이다.
깊은 한골 서쪽에 있다. 옛날 절이 있었다.
깊은 한골 남쪽에 있다. 능선이 길다는 뜻이다.
한골 서쪽에 있다. 말고 찬 새미가 있었다.
한골 주위에 있는 7개의 바위이다. 잔대산에서 장군이 공놀이를 하다가 던져버린 것이라는 전설이 있다.
깊은 한골 남쪽에 있는 고개이다. 옛날 고개가 깊고 험하여 행인들이 고개밑 주막에서 이레동안 여러 사람이 같이 고개를 넘었다는 뜻이다.
숯골에 있는 능선이다. 함박꽃이 자생했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