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조선조 전기 때는 진주목 북면 사죽리 월가동(月家洞)이었다. 구한말 때까지는 사죽면 월아동(月牙洞)이었다가 1914년 지방행정구역의 개편으로 던날, 달갈, 외또리, 바람이, 감나무골, 뻣정지(보정지)를 병합하여 월아리(月牙里)라 하여 대곡면에 편입되었다. 북쪽은 단목리, 동쪽은 금산면, 남쪽은 집현면, 서쪽은 미천면을 접하고 있다.
월아 중심지에 있는 땀이다.
월아리 회관이다.
월아마을 창고이다.
대곡농협 창고이다.
알마을, 안마을, 던날 북쪽에 있는 지역이다. 산지세가 닭이 알을 품고 있는 형태라 하여 지어진 명칭이다.
외또리, 던날 북쪽에 있는 땀이다.
애또리 옆에 있는 땀이다. 옛날 민씨가 살았다. 민씨가 벼슬을 하여 하직대(下直旗台)를 세웠다고 한다.
월아 북쪽 솔밭 밑에 있는 지역이다.
풍암(風岩) 마을 입구 지역이다.
던날 서쪽에 있는 지역이다. 옛날 감나무가 많이 있었다고 한다.
던날 서쪽에 있는 지역이다.
뻣정지 계천에 있는 보(洑)이다. 1968년 경지정리 사업으로 없어졌다.
뻣정지보이다.
지곡 던날 뒤쪽 골짝기이다.
낙석골, 월아 북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월아 서북쪽에 있는 산이다.
남생원뒷골(南生員뒷골) 월아 북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금샛골, 월아 서북쪽 집현면 경계선에 있는 골짜기이다. 옛날 모래같이 금이 나왔다고 한다.
월아 남쪽에 있는 늪(沼)이다.
구실못, 소구시 같이 생긴 못이라 한다. 경지정리로 지금은 없어졌다.
월아 남쪽에 있는 들이다.
월아 서북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몰가대라고도 한다.
월아 남쪽에 있는 들이다.
월아 남쪽 남강변에 있는 들이다.
월아 마을 앞에 있는 들이다.
던날 앞에서 남쪽 집현면 불티로 가는 도중에 있는 다리이다. 1968년 경지정리로 없어졌다.
월아마을 입구 들녘에 시설원예 산지집하장이 92년도 개설되고 대곡농협 월아분소는 1993년 4월 21일 개장 산지공판장으로 활기를 찾고 있다.
1988년 가설, 폭 8.5m, 길이 33.2m로 이전 다리는 6.25때 대부분 파손되어 신설된 것이다.
월아마을 앞 제방을 말한다. 1968년에 면적 45.70㏊ 규모로 축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