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조선조 전기 때는 진주목 동면 오곡리(吳谷里) 덕곡동(德谷洞)이다. 임진왜란 후에는 대곡리에 합병되고 구한말 때까지는 대곡면의 하촌동(下村洞)과 덕곡동(德谷洞)이다. 1914년 지방행정구역 개편으로 하촌동(下村洞), 덕곡(德谷), 대여촌면송곡동(代如村面松谷洞) 일부를 합하여 덕곡리(德谷里)라 하고 대곡면 10개 리의 하나가 되었다. 북쪽은 가정리, 동쪽은 마진 대곡리, 서쪽은 와룡리, 남쪽은 금산면이고 남강을 접하고 있다.
하촌(下村), 옛날 이동, 삼동, 사동이라 하여 오곡(吳谷)에 속하였으나 지방 행정구역 개편으로 큰 오동나무(梧桐)가 있었다하여 오곡(梧谷)이라 부르게 되었다.
오곡(梧谷), 진양지에는 오곡(吳谷)이라고 하였다.
오곡 서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절골 서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절골에서 서쪽 덕곡으로 가는 골짜기이다.
고려때부터 절이 있었다고 한다.
오곡 서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오곡 북쪽에 있는 산이다.
오곡 북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오곡 뒷산 동쪽에 있다.
오곡 뒷산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오곡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오곡 동족에 있는 산이다.
오곡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오곡 동쪽에서 마진으로 가는 고개이다. 옛날 서재(書齋)가 있었다고 한다.
약 130년된 포구나무이다.
오곡 마을 앞 논들이다.
오곡 남쪽에 있는 들이다.
오곡 남쪽에 있는 들이다.
오곡 남쪽, 남강변에 있는 들이다.
오곡 마을 앞에 있는 샘이다.
오곡 남쪽에 있는 산이다.
옥고 남쪽에 있는 등잔같이 생긴 산이다.
남강변에 있는 마을이다.
마을 서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마을에서 송곡으로 가는 길목이다.
마을 서쪽으로 있는 골짜기이다.
거눈골이라고도 한다.
소독곡, 마을 서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갓골 옆에 있는 골짜기이다.
모래나무골 옆에 있는 골짜기이다.
큰 골이라고도 한다.
산박골, 서촌(西村)이다.
마을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마을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옛날 몇 집이 살고 있었다고 한다.
덕곡마을 입구를 말한다.
마을 서쪽에서 송곡으로 가는 길도에 있는 들이다. 지금 강에 떨어져 없어졌다.
몰매들 마을 서쪽에 있는 들이다.
새알자리. 마을 서남쪽에 있는 들이다.
마을 동남쪽에 있는 들이다.
마을 남쪽에 있는 들이다.
마을 남쪽에 있는 들이다.
마을 동남쪽 오동곡 앞에 있는 들이다.
밭안들 마을 동남쪽에 있는 들이다.
바당들이라고도 한다.
샛터 앞에 있는 들이다.
고늪들 아래에 있는 들이다.
마을 북쪽 뒷산이다.
마을 서쪽 산이다.
모개나물골 서쪽에 있는 산이다.
거눈골 서쪽에 있는 산이다.
큰 독매이다.
마을 가운데 있는 산 등이다.
마을 동쪽에 있는 산 등이다.
오동골 동쪽에 있는 산 등이다.
샛터 뒷산이다.
가마기머리 마을 동쪽에 있는 산이다.
몰매들 중간에 있는 늪(경지정리로 없어졌음)이다.
마을 동남쪽 앞산 앞들 중간에 있는 늪. 경지정리사업으로 없어졌다.
청듬이소. 마을 남쪽 청디미들 앞에 있다.
마을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마을 북쪽 절골로 가는 고개이다.
마을 중간에 있는 샘이다.
자근골 중앙에 있는 샘이다.
큰 골 안에 있는 샘이다.
작은 골 입구에 있는 샘이다.
1979년에 제방 축조와 몽리면적 약 121㏊의 경지정리사업으로 비닐하우스 단지가 조성되어 다양한 농산물이 생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