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조선조 전기 때는 진주목 동면 대곡리 대동(大同)이다. 골이 깊고 크다고 하여 한실 또는 대곡이라 하였다. 임진왜란 후에도 오곡리를 합하여 계속 대곡리라 하다가 구한말 때에는 대곡면이라 하였다. 1914년 지방행정구역 개편 시에는 대곡면 대동(大同) 일부를 대곡리(大谷里)라 하여 대곡면 10개리의 하나가 되었다. 북쪽은 의령군 화정면, 동쪽은 지수면, 남쪽은 마진리, 서쪽은 가정리를 접하고 있으며 앞에는 남강이 흐르고 있다.
쌔실. 반곡(盤谷), 한실 안골짜기이다.
한실 서쪽에서 중촌으로 가는 고개이다.
옛날에는 임씨(林氏)가 살고 있었다.
옛날 옹기굴이 있었다.
한실 남쪽에서 마진리로 가는 고개이다. 타래고개라고도 한다.
한실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한집이 살고 있었다.
마을 앞산이다.
마을 북서쪽에 있는 산이다. 송태산 상정(上頂)에 성이 있다. 옛날 봉화대(烽火, 烽燧)로 이용하였다고 한다. 성지(城址) 주위가 약 2km이며 성내에 굴샘 (屈井)이 있다.
송대산 밑에 있는 골짜기이다. 옛날 송태사(松台寺)가 있었다. 송댓골이라고도 한다.
한실 남쪽에 있는 산이다.
송대사 윗쪽에 있는 바위이다. 옛날 바위에서 고사를 지냈다고 한다.
마을 앞에 있는 들이다.
마을 동쪽에 있는 들이다.
마을 동쪽에 있는 들이다.
마을 동북쪽에 있는 들이다.
마을 북쪽에 있는 들이다.
마을 북쪽에 있는 들이다.
마을 앞 들이다.
마을 밖에 있는 들이다.
마을 앞에 숲이 있었는데 경지정리로 없어졌다.
아랫마을에 있는 샘이다.
윗아래 마을 중간에 있는 샘이다.
죽방(竹坊). 옛날 교통수단으로서 강(江)을 많이 이용할 때 상인(商人)들이 대(竹)로 뗏목을 하여 마을 앞 강을 왕래하면서 쉬어가거나 야숙(夜宿)하여 갔다. 대(竹)가 많이 있다고 하여 죽방이라고 한다.
1973년에 제방이 축조되고, 1973년 몽리면적 70㏊ 규모로 경지정리 되었다.
대방(竹坊)이다.
대방 북쪽에 있는 등이다.
대방 서쪽 덤 옆에 있는 샘이다.
대방 남쪽에 있는 산 등이다.
밤나무 등이다.
대방 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큰골 옆에 있는 골짜기이다.
절터골. 감나무골 서쪽편에 있는 골짜기이다.
산방 뒷산이다.
송태산(松台山) 상정(上頂)이다.
대방 서남쪽 절툭골 옆 골짜기이다. 옛날 이 골짜기에 오소리(수달)가 많았다고 한다.
오수골이다.
씹삿골, 대방 동쪽편에 있는 굴이다. 덤에 구멍이 있다. 이 구멍이 위에서 밑으로 강에까지 약 50m 정도 나고 있다. 옛날 아들을 낳지 못하는 사람이 왼손으로 돌을 던져서 그 구멍에 넣으면 아들을 낳는다고 하는 전설이 있다.
산방에서 화정으로 가는 길목에 있다.
자근대방에 있다.
방망이등 밑에 옛날 절이 있었다.
자근대방 서쪽편에 있는 등이다. 방망이같이 생겼다고 한다.
옛날 숯(炭)을 구운 곳이다.
자근대방 서쪽에 있는 등이다. 신바이(?)같이 생긴 등이다.
자근대방 서쪽에 있다.
자라등, 자근대방 북쪽에 있는 등이다.
강지 남쪽 강변에 있는 절벽이다.
자근대방 북쪽에 있는 동산이다.
큰 강지 골 안에 있었다. 해방 후 천주교회에서 주선하여 농민을 정착시킨 곳이다.
큰 강지 북쪽 강변에 있는 지역이다. 벼락을 맞았다고 한다.
강지 동쪽에 있는 땀이다.
큰 강지 북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옛날 강지란 사람이 살고 있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