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조선조 전기 때 진주목 속방의 북면 월배곡리(月背谷里)이다. 임진왜란 후에는 설매곡리(雪梅谷里)에 병합되고 1864년(고종 1년) 리(里)가 면(面)으로 개편되고 다시 설매곡면 월배리로 되었다. 1914년에는 지방행정구역 개편으로 월암리(月岩里)라 하여 미천면으로 편입되었다가 1983년 2월 11일에 대곡면으로 편입되었다. 동쪽으로는 의령군 화정면, 남쪽은 설매리, 서쪽은 미천면 어옥리, 북쪽은 용암리를 접하고 있다.
본시는 황대촌이라 하였다.
옛부터 황씨(黃氏)가 많이 살고 있다하여 부르는 명칭이다.
달처럼 생긴 바위가 있다하여 달배, 달비라고도 한다.
월배 옆에 있는 골짜기이다.
월배에서 북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월배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달비실 동쪽에 있는 땀. 꼬꾸랑 정자나무가 있었다하여 곡정이라고 하였다 한다.
마을 앞에 옛날 꼬꾸랑 큰 정자나무가 있었다. 너무 오래되어 고목으로 자연히 고사(枯死)하여 없어졌다.
마을 앞에 있는 논들이다.
월암 북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마암곡(馬岩谷) 안에 말 모양으로 생긴 바위이다.
의령군 화정면으로 가는 고개이다.
저수지를 말한다.
서쪽 개천에 있는 보(洑)이다.
월암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월암 동쪽에 있는 산이다. 측량 표준점(測量標準点)이 있다. 옛날 도학도가 깃대를 세웠다고 한다.
학교가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월암국민학교, 1934년 학술강습소로 설치하였다가 1941년 간이 학교로 개교, 1943년 국민학교 승격되고 1959년에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
월암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월암 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마을 앞에 있는 논들. 옛날 조상묘가 많이 있었다고 한다.
월암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조상들 아래에 있는 논들이다.
동쪽 의령군 화정면으로 가는 고개이다.
덕촌(德村;黃大村), 달배실(月拜), 샛터(新基洞), 교동(校洞), 곡정(曲亭) 땀을 통털어 월암리(月岩里)라 한다.
1990년 경지정리로 면적이 약 120.76㏊이다. 특산물은 딸기가 유명하다.